메뉴 건너뛰기

시 주석 “한·중 관계 안정적 유지 희망”
트럼프 대응 위해 주변국 관계 개선 뜻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중국 하얼빈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국회 의장실 제공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개막식에 초청받아 중국을 방문한 우원식 국회의장이 중국으로부터 ‘눈에 띄는’ 환대를 받았다.

우원식 의장은 개막식이 열린 7일 오후 헤이룽장성 하얼빈 타이양다오호텔에서 시진핑 중국국가 주석을 만났다. 시진핑 주석이 한국 국회의장을 접견한 것은 2014년 12월 정의화 당시 국회의장과 만난 이후 처음이다. 2019년 5월 중국을 방문한 문희상 의장, 2022년 2월 베이징 겨울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박병석 국회의장과 시진핑 주석의 면담은 없었다. 우 의장은 5일 카운터파트인 자오러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국회의장 격·공식 서열 3위)과 회담한 데 이어 시진핑 주석과도 단독으로 만났다. 시 주석과 우 의장은 약 40분 동안 대화를 나눴다. 예정된 15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시진핑 주석의 발언 내용도 매우 우호적이었다. 우 의장이 오는 10월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의 참석을 요청하자, 시 주석은 “APEC 정상회의에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하는 것은 관례”라며 “관련 부처와 함께 참석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국회의장실이 전했다.

우 의장은 또 “중국에서 한국 콘텐츠를 찾기 어렵다. 문화 개방을 통해 청년들이 서로 소통하고 우호감정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시 주석은 “문화 교류는 양국 교류에 매력적인 부분으로, 과정에서 문제가 불거지는 일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국회의장실이 전했다. 우 의장의 발언은 중국에서 한국 콘텐츠를 제한하는 이른바 ‘한한령’의 해제를 에둘러 요청하는 것이다.

중국 당국이 통제하는 관영언론의 보도에서도 우 의장에 대한 중국의 극진한 환대가 두드러졌다. 8일치 인민일보 2면에는 오른쪽 맨 위에 시진핑 주석의 우 의장 접견 기사와 사진이 실렸다. 2023년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식에 참석한 한덕수 총리와 시진핑 주석이 만난 기사와 사진이 2면 하단에 실린 것에 비해서도 더 대우를 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 의장은 이날 오후 시 주석 주재로 여러 국가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겨울아시안게임 연회에도 참석했는데, 관영 ‘CCTV’ 저녁 메인 뉴스는 시 주석과 우 의장이 맨 앞줄에 서서 연회장에 입장하는 장면과 두 사람의 면담 장면을 보도했다.

인민일보 8일치 2면 상단에 시진핑 주석의 우원식 국회의장 접견 기사가 실렸다.

중국의 우원식 의장에 대한 ‘환대’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의 중국 때리기 와중에 중요한 국가인 한국과의 관계를 잘 관리하겠다는 중국의 전략적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진핑 주석은 이날 우 의장에게 “한·중 관계의 안정적 유지를 희망한다”며 “중국은 개방과 포용정책을 굳건하게 유지하고,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반대한다”고 말했다고 국회의장실은 전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무역 전쟁의 여파를 염두에 둔 발언이다. 시 주석은 “현재 국제·지역 정세에 불확실성이 늘었는데, 중국과 한국은 응당 함께 노력해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을 공고히 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미국 싱크탱크인 스팀슨센터의 윤선 중국 담당 국장은 6일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에 쓴 ‘중국의 트럼프 전략(China's Trump Strategy)’에서 중국 지도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경제의 회복력 강화에 집중하는 동시에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는 ‘울타리 고치기’를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주변 안정을 통해 불필요한 외교적 분쟁을 줄이는 동시에 미국이 동맹국들과 협력해 중국을 압박하는 전략을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한국 외에 일본, 인도 등과도 최근 무비자 정책, 수산물 수입 재개, 국경 분쟁 관리 등으로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5일 우 의장을 만난 자오러지 전인대 상무위원장은 우 의장에게 “민감한 문제를 원만히 처리해 중·한 관계의 정치적 기초를 유지·보호하자”고 말했다. ‘민감한 문제’는 중국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지칭해온 용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동맹과 파트너에게 제공하는 미국의 미사일 방어 역량을 늘리고 가속하라”는 조항이 포함된 “미국을 위한 아이언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한국에 사드를 추가 배치할 가능성이 제기된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자 오 위원장은 또 이날 회담에서 “간섭을 배제하자”, “‘디커플링(탈동조화)’을 함께 저지하자”라고도 언급했다. 우 의장은 간담회에서 이같은 발언에 대해 “그런 얘기는 자오 위원장이 했는데 뭐라고 답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12.3 내란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이 ‘중국 스파이’ 등을 거론하며 중국을 비상계엄 선포의 이유로 거론한 것을 신호탄으로 중국 관련 음모론이 급속히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도 이런 중국의 외교 신호를 잘 활용하면서, 중국과의 외교·경제 관계를 현명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시 주석은 우 의장 접견에서 “한중이 인문교류를 증진해야 하고, 국민 간의 우호적인 정서를 강화해야 한다”며 ‘우호적 정서’를 강조한 것도 눈에 띈다. 우 의장은 시 주석에게 한한령 완화 등도 요청했다. 양갑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시진핑 주석과 우 의장이 회담에서 한중 간 우호적인 ‘정서’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한 것은 양국 국민 간 ‘정서’ 이반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며 향후 한중 간에 인적 교류 또는 인문교류 등으로 가시적인 교류 협력의 성과를 내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19 주 52시간 예외 무게 싣다가 주 4일제?... 좌우 깜빡이 모두 켠 이재명 랭크뉴스 2025.02.10
45218 대전 초교서 8세 흉기 찔려 사망…교사도 목 찔린 채 발견, 뭔일 랭크뉴스 2025.02.10
45217 "헌재 불 지르겠다" 작성자 구속영장‥헌법재판관 경호팀 배치 랭크뉴스 2025.02.10
45216 인권위 ‘윤석열 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윤 지지자 몰려와 시위 소동 랭크뉴스 2025.02.10
45215 '캡틴 아메리카' 방패 든 尹 지지자…기자들에게 "이재명 개XX 해봐라" 랭크뉴스 2025.02.10
45214 트럼프 철강 관세 예고에 분주한 세계…“부당한 조처에 대응할 것” 랭크뉴스 2025.02.10
45213 [속보]대전 초교서 8살 아이 흉기에 찔려 숨져…함께 있던 교사도 부상 랭크뉴스 2025.02.10
45212 인권위, '尹 탄핵심판 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 랭크뉴스 2025.02.10
45211 철강 관세 이미 35% 중국…상대적으로 덜 불리하다 랭크뉴스 2025.02.10
45210 서부지법 난입·난동 63명 재판행…검찰 “중대한 범죄” 랭크뉴스 2025.02.10
45209 이준석 “주4일제, 자영업자에게는 날벼락 같은 이야기” 랭크뉴스 2025.02.10
45208 인권위 난입 尹 지지자들, 길 막고 “이재명 욕하면 통과” 랭크뉴스 2025.02.10
45207 [단독] MS 이어 스타게이트도 타켓…LG '빅테크 칠러 전담팀' 신설 랭크뉴스 2025.02.10
45206 [속보] 인권위, ‘윤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 랭크뉴스 2025.02.10
45205 대전 초교서 8살 여아·교사 흉기에 찔린채 발견…여아는 숨져 랭크뉴스 2025.02.10
45204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다시 꺼낸 이재명… 정치권 ‘개헌’ 논의 맞불 랭크뉴스 2025.02.10
45203 "가난하고 천한 게" 교사가 학부모에 막말 문자...교육청은 '구두경고' 랭크뉴스 2025.02.10
45202 [속보] 인권위, '尹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 랭크뉴스 2025.02.10
45201 [단독] 방첩사 간부 “선관위 출동팀에 특사경 수사관 20명” 檢진술 랭크뉴스 2025.02.10
45200 "그거 진심입니까" 與항의에, 이재명 "품격 좀 지키시라니까"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