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대통령 경호처의 비화폰이 내란 수사의 핵심 열쇠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계엄 당시 국회 봉쇄를 맡았던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경호처 비화폰을 받아 계엄 당시 가장 많이 사용했다"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평소 군 비화폰이 아닌 경호처 비화폰으로만 연락해 의아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비상계엄에 관여한 인사 상당수도 이 경호처 비화폰을 쓴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경호처 비화폰에 대한 강제수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구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검찰은 지난해 12월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을 조사하면서 "경호처 비화폰을 사용했다"는 진술을 확보했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이 대통령경호처장일 때 '경호·경비 작전 지휘관들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며 줬다"는 겁니다.
'무궁화폰'이라고도 불리는 경호처 비화폰을 받은 시점은 2023년 말에서 지난해 초 사이라고 했습니다.
이 전 사령관의 전속 부관은 별도 검찰 조사에서 "2024년 봄 쯤이었다"고 수령 시기를 특정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 전 장관 등이 계엄 모의를 시작했다고 검찰이 특정한 시기에 사령관에게 비화폰이 주어진 겁니다.
이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이 국방장관으로 자리를 옮긴 뒤에도 군 비화폰 대신 경호처 비화폰으로만 전화해 의아했다"면서, "가장 많이 전화가 온 건 비상계엄이 터진 뒤"라고도 털어놨습니다.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이상민·박성재·조태열·김영호 등 국무위원은 물론, 민간인이었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까지, 계엄에 깊숙이 개입된 인물들은 하나같이 '무궁화폰'을 갖고 있었습니다.
[박종준/전 대통령경호처장 (지난 6일)]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중요한 정부 요인들은 대부분 다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도·감청이 불가능하고 통화 녹음도 안 된다는 특성을 믿고, 증거를 남기지 않으려 비화폰을 조직적으로 활용했다는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비화폰에 대한 그릇된 확신은 진실이 드러나는 '반전'의 계기도 됐습니다.
[곽종근/전 특수전사령관 (지난 6일)]
'김용현 전 장관이 저한테 '비화폰이 녹화가 되고 녹음이 안 되니까 당당하게 가라'라고 얘기를 5일날 저녁에 저한테 했습니다."
곽종근 전 사령관은 계엄 직후 김 전 장관의 이 말을 듣고 양심의 가책을 느껴 '국회의원 끌어내라'는 대통령 지시를 털어놨다는 겁니다.
비화폰은 수·발신 내역이 서버에 남는 만큼,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군·경찰 수뇌부와 통화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3 내란 사태의 전말을 보다 명백히 확인하기 위해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의 측근인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애써 막고 있는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은 필수적이라는 지적입니다.
MBC뉴스 구민지입니다.
영상편집: 윤치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