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태영 교수 연구팀, 아시아 최초 자국 문화에 특화된 가족치료모델 개발
“자신의 소통 방식 탐구, 갈등 요소 통찰하며 해결점 찾아야”
“소통과 관계로 인한 갈등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는 모든 문제의 시작점과 같습니다. 독실한 신앙을 가진 사람도 예외가 없어요. 중요한 건 자신의 소통 방식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디로부터 기인했는지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 그리고 고통을 감내하면서도 해결해나가려는 의지를 잃지 않는 것입니다.”

박태영(64) 숭실대(사회복지학부) 교수는 불통(不通)의 심각성과 소통 회복으로의 과정에 대해 이렇게 강조했다. 4일 연구실에서 만난 그는 30여년간 1500여 가정을 상담하며 치료 모델을 연구해 온 가족치료 전문가다. 가족치료는 개인의 심리적 장애와 문제가 가족 간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여러 부적응으로 인해 생긴다는 점을 연구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집단치료의 일종이다.

박 교수 연구팀이 그동안의 연구 결과들을 집대성해 개발한 ‘한국의 통합적 가족치료모델’은 지난달 가족치료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저널인 ‘패밀리 프로세스(Family Process)’에 게재됐다. 아시아 최초로 자국 문화에 특화된 가족치료모델을 개발한 사례이자, 문화적 차이로 인해 적용하는데 한계점이 있었음에도 수십년간 사용해왔던 미국의 가족치료 이론을 대체할 수 있는 첫 결과물이다.

박 교수는 “치료과정에서 한국의 문화적 특징에 해당하는 효(孝) 한(限) 화병(火病) 같은 요소가 배제된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많았는데 오랜 기간 임상모델을 분석한 끝에 치료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가족치료 분야의 ‘사이언스’ 또는 ‘네이처’로 불리는 ‘패밀리 프로세스’ 저널에 게재된 건 학자로서 평생 기도제목으로 품어왔던 열매”라고 덧붙였다.

오랜 기간 상담 현장을 지키면서 발견한 시대적 변화상도 치료 모델에 반영됐다. 그는 “상담을 시작한 1995년 당시엔 가부장적 의식과 충돌하는 가정들이 많았는데 2000년대 들어서는 이혼 가정이 부쩍 많아졌고 이후엔 재혼 가정으로 변하더니 2010년대부터는 다문화 가정 비중이 높아졌다”며 “최근엔 자녀 교육 문제로 인한 상담 사례가 많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모델의 핵심은 세 가지다.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식, 원가족과의 해결되지 않은 감정이 배우자나 자녀에게 전이되는 것, 유교문화에서 비롯된 효 문제다. 박 교수는 “한국인들은 정서적으로 분화되지 않은 민족성을 특징으로 보이는데 가족 상담을 통해 가계도를 그려보고 각자의 성향을 분석해보면 자신의 소통 방식이 부모와 형제 자매, 조부모와의 경험에 기반을 두고 있음이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기에 효를 둘러싼 갈등을 통찰하고 상대방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연습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라고 제시했다.

상담을 의뢰하고 치료 과정을 거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용기를 필요로 한다. 박 교수는 “신앙적 신념이 너무 강해 오히려 상담에 어려움을 겪는 크리스천들도 많다”며 “크리스천들이 문제 상황과 상대방의 소통 방식에 보다 수용적으로 대하고, 힘겹더라도 이 과정 끝에 얻게 될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담에 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한국적 통합치료모델이 인정을 받은 만큼 타 문화권에서도 치료모델이 지속 개발되고 아시아와 세계 각국에서 치료자로서 쓰임받는 것이 소명”이라고 밝혔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87 원래 내 자리가 여기인데…서산 ‘부석사 불상’, 647년 만의 슬픈 귀향 랭크뉴스 2025.02.09
44586 “라면만 먹던 쪽방촌의 존엄한 아침 한 끼” [아살세] 랭크뉴스 2025.02.09
44585 경찰 “연세대 논술, 시험 전 유출 없어”…챗GPT로 풀어 본 1명만 송치 랭크뉴스 2025.02.09
44584 경찰 “연대 논술, 시험 전 유출 없어”…챗GPT로 풀어 본 1명만 송치 랭크뉴스 2025.02.09
44583 이재명, 내일 국회연설서 조기대선 청사진…"회복과 성장 주제" 랭크뉴스 2025.02.09
44582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가능 지역, 14일부터 단계적 확대” 랭크뉴스 2025.02.09
44581 태진아 "치매 아내도 형 기억하더라, 잘가"…송대관 발인 눈물바다 랭크뉴스 2025.02.09
44580 "여성 수감자 165명 성폭행뒤 불질러 죽여"…콩고 충격 참사 랭크뉴스 2025.02.09
44579 트럼프·이시바, 대중 협력에…중국 “일본 전략적 자율성 제한” 랭크뉴스 2025.02.09
44578 김건희 힘 보탠 ‘개 식용 종식법’ 시행 반년…농장 40% 폐업 랭크뉴스 2025.02.09
44577 "슬픈 척 비 맞더니…악마같은 사람" 구준엽 분노글, 무슨일 랭크뉴스 2025.02.09
44576 與, ‘李 재판 신속 종결’ 탄원서 제출… “위헌심판제청으로 재판 지연” 랭크뉴스 2025.02.09
44575 트럼프와 더불어 돌아온 ‘미치광이 전략’…관세 전쟁의 빛과 그늘 랭크뉴스 2025.02.09
44574 139t 대형선박 제22서경호, 조난신호 없이 연락두절·침몰 랭크뉴스 2025.02.09
44573 여수 해상서 어선 침몰…3명 사망·6명 실종 랭크뉴스 2025.02.09
44572 여수 어선 전복사고, 최상목 "장비, 인력 총동원해 구조하라" 랭크뉴스 2025.02.09
44571 100년전 753mm 대홍수 재앙…오늘날 서울, 이후 만들어졌다 랭크뉴스 2025.02.09
44570 전남 여수 어선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랭크뉴스 2025.02.09
44569 법원 폭동날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09
44568 트럼프 ‘정부 비판’ 기자에 “즉시 해고돼야”···주류 언론 때리기 노골화 랭크뉴스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