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둘러싼 미국과 파나마 간 갈등 속에 7일(현지시간)로 예정돼 있던 양국 정상 간 통화가 연기됐다.
파나마 대통령실은 7일(현지시간) “미국 대통령 일정이 막판에 변경됨에 따라 정상 간 전화 연결은 미뤄졌다”며 “백악관에서 우리 외교부에 그렇게 알려왔다”고 밝혔다.
파나마 대통령실은 이어 “외교부가 새롭게 일정을 조율한 뒤 세부 사항을 공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당초 이날 오후 3시 30분(파나마시티 시간 기준) 전후 통화하기로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물리노 대통령은 이를 계기로 파나마 운하 통제권 환수 위협 빌미로 여겨지는 홍콩계 회사의 운하 일부 시설운영 실태에 관해 설명하고, 미국 선박 무료 통항(통행) 허용 위법성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일간 라프렌사파나마는 “이날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기간 파나마의 대미 외교에 이정표가 될 수 있다”고 기대하기도 했다.
파나마 운하를 놓고 확대돼온 미국과 파나마 간 갈등은 전날 진실 공방 양상으로 번졌다.
미국 정부가 해군을 비롯한 미국 정부 선박의 운하 무료 통항(통행)에 대해 파나마 정부와 합의했다고 발표하자 파나마가 이를 정면으로 부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파나마 대통령은 미 정부의 관련 발표에 대해 ‘일방통행’이라며 “거짓에 기반한 외교를 규탄한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그는 “파나마 운하 통행료 현상 변경이 현행법상 불가하다는 점을 (전날) 미국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전달했다”면서 “대통령에겐 운하 통행료(변경)와 관련한 권한이 없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 해상무역의 핵심 통로인 파나마 운하는 1914년 처음 개통됐다.
미국이 파나마와 조약을 맺어 건설한 뒤 80년 넘게 관리·통제하다가 영구적 중립성 보장 준수 등을 조건으로 내걸어 1999년 12월 31일 정오를 기해 파나마에 통제권을 넘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파나마 운하 5개 항구 중 2곳을 위탁 관리하는 홍콩계 CK 허치슨 홀딩스의 자회사(Hutchison Ports PPC)를 염두에 둔 듯 ‘중국의 파나마 운하 운영’ 주장을 펴왔고, 이를 이유로 운하 통제권 환수 가능성을 예고해왔다.
이에 대해 파나마 정부는 “사실무근”이라고 맞대응하는 한편 해당 홍콩계 회사에 대한 감사와 계약 취소 여부를 살피고 있다.
파나마 대통령실은 7일(현지시간) “미국 대통령 일정이 막판에 변경됨에 따라 정상 간 전화 연결은 미뤄졌다”며 “백악관에서 우리 외교부에 그렇게 알려왔다”고 밝혔다.
파나마 대통령실은 이어 “외교부가 새롭게 일정을 조율한 뒤 세부 사항을 공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당초 이날 오후 3시 30분(파나마시티 시간 기준) 전후 통화하기로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물리노 대통령은 이를 계기로 파나마 운하 통제권 환수 위협 빌미로 여겨지는 홍콩계 회사의 운하 일부 시설운영 실태에 관해 설명하고, 미국 선박 무료 통항(통행) 허용 위법성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일간 라프렌사파나마는 “이날 통화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기간 파나마의 대미 외교에 이정표가 될 수 있다”고 기대하기도 했다.
파나마 운하를 놓고 확대돼온 미국과 파나마 간 갈등은 전날 진실 공방 양상으로 번졌다.
미국 정부가 해군을 비롯한 미국 정부 선박의 운하 무료 통항(통행)에 대해 파나마 정부와 합의했다고 발표하자 파나마가 이를 정면으로 부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파나마 대통령은 미 정부의 관련 발표에 대해 ‘일방통행’이라며 “거짓에 기반한 외교를 규탄한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그는 “파나마 운하 통행료 현상 변경이 현행법상 불가하다는 점을 (전날) 미국 국방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전달했다”면서 “대통령에겐 운하 통행료(변경)와 관련한 권한이 없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 해상무역의 핵심 통로인 파나마 운하는 1914년 처음 개통됐다.
미국이 파나마와 조약을 맺어 건설한 뒤 80년 넘게 관리·통제하다가 영구적 중립성 보장 준수 등을 조건으로 내걸어 1999년 12월 31일 정오를 기해 파나마에 통제권을 넘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파나마 운하 5개 항구 중 2곳을 위탁 관리하는 홍콩계 CK 허치슨 홀딩스의 자회사(Hutchison Ports PPC)를 염두에 둔 듯 ‘중국의 파나마 운하 운영’ 주장을 펴왔고, 이를 이유로 운하 통제권 환수 가능성을 예고해왔다.
이에 대해 파나마 정부는 “사실무근”이라고 맞대응하는 한편 해당 홍콩계 회사에 대한 감사와 계약 취소 여부를 살피고 있다.
파나마운하 통과 선박.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