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학로의 한 작은 서점.
시를 쓰는 유희경 시인이 직접 운영하는, 시집 전문 서점입니다.
시는 작가 한강의 출발점이기도 하지만, 이제는 소설보다 찾는 사람이 훨씬 적은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데도 시집 서점이 가능할까?
유희경 / 시인 실제로 시집 서점이 처음 열렸을 때 정말 많은 언론사와 인터뷰를 했는데, 그때 제가 이런 얘기를 했었어요. 2년 그러니까 보통 임대 기간이죠. 2년을 버티면 잘 버텼다고 생각한다. 곧 9년이고 10년 차를 바라보고 있는데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10년이 되도록 유지되고 있는 시집 서점이 한국의 시 독자들이 살아있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
실제로 시집은 얼마나 판매되고 있을까?
유희경 / 시인 제가 일본 아사히 신문사하고 인터뷰를 한번 한 적이 있는데 시집이 1만 부, 2만 부, 어떤 시집은 5만 부도 나가고 10만 부도 나간다고 얘기했더니 너무 깜짝 놀라는 거예요. 그거는 한국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대단히 흥미로워합니다. |
누구나 휴대전화로 영상을 보는 시대에도 문학의 역할은 남아 있을 거라고 시인은 말합니다.
유희경/시인 영상은 그대로 현시해요. 바로 보여줍니다. 그래서 여기에 대해서 내가 어떤 상상을 하거나 판단을 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요. 그래서 웃긴 장면에서는 다 웃고요. 슬픈 장면에서는 다 슬퍼하고 화내야 될 장면에서는 화내게 되죠. 그런데 활자로 만들어진 세계는 그것에 대해서 판단을 해야만 앞으로 전개가 가능합니다. 내가 여기서 무엇을 생각해야 할 것인가, 어떤 고민을 해야 할 것인가, 어떤 감정을 가져야 할 것인가. 책은 여전히 책만이 할 수 있는 일을 이야기할 거예요. |
영상의 시대에도 책과 우리 문학을 살아있게 하는 힘은 여전히 독자들에게서 나옵니다.
내년이면 창간 60주년을 맞는 대표적인 문예 계간지 <창작과 비평>.
염종선 / 창작과비평사 대표 매호 잡지의 발행 부수는 조금씩 편차가 있기는 한데 1만 부 가까이, 그래도 7~8천 부 이상은 기본으로 해서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
<창비>와 다른 대여섯 종의 주요 문예지를 합하면 수만 명의 독자들이 잡지가 나오는 계절마다 적극적으로 문학작품을 읽고 있는 겁니다.
염종선 / 창작과비평사 대표 그렇게 가장 열성적이고 핵심적인 독자들이 존재하시고 그분들이 항상 반응을 해주시기 때문에, 한강 작가님을 비롯해서 한국 문학의 주요한 작가와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그런 토대가 된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
수상 발표 직후에만 100만 부가 넘게 팔렸다는 한강 작가의 책들.
100만 부가 넘는 문학 베스트셀러는 이제 쉽지 않은 일이지만, 문학은 여전히 출판계의 중심축입니다.
염종선 / 창작과비평사 대표 과거에는 100만 부짜리가 1년에 두세 종 이상은 나왔었는데, 요즘에는 10만 부 정도 판매되는 문학서적이 한 서너 종, 많으면 네다섯 종 정도가 나오고 있고 그게 그간의 흐름이었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문학은 전체 예를 들어서 베스트셀러 목록이 한 100권이 있다고 그러면, 그중에서 20권 이상 22~23권 정도는 문학이 차지하는 그런 통계가 나오고 있거든요. |
혼란의 시대, 아름다움보다는 고통과 슬픔이 가깝게 느껴지는 시간.
우리 시대, 문학의 의미를 물었을 때 한강 작가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강 / 작가 문학이라는 것은 끊임없이 타인의 내면으로 들어가고, 또 그런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을 깊게 파고 들어가는 그런 행위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그런 행위들을 반복하면서 어떤 내적인 힘이 생기게 되죠. 그래서 어떤 갑작스러운 상황이 왔을 때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최선을 다해서 어떤 결정을 하기 위해서 애쓸 수 있는 어떤 힘이 생긴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문학은 언제나 우리에게 어떤 여분의 것이 아니고 꼭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
문학이 꼭 필요한 이유.
노벨문학상 심사위원은 같은 질문에, 우리가 인간으로 살 수 있는 힘이라고 답했습니다.
안나-카린 팜 / 노벨문학상 심사위원 경험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보거나 경험한 것이다. 또는 등장인물이 보거나 경험한 것이라고 말하는 겁니다. 이것은 우리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간으로 살아남을 수 있고, 소통할 수 있고 예술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취재 : 유동엽
촬영 : 임현식
편집 : 안영아
스웨덴 코디 및 통역 : 정재욱
자료조사: 이혜담
조연출 : 김세빈 최명호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39&ref=pMenu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b31RoX5RnfYENmnyokN8A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