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방어권을 보장해야한다는 취지의 전원위원회 안건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정효진 기자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상임위원이 부정선거론 등을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강사 전한길씨를 옹호하며 “헌법재판소가 대통령을 탄핵한다면 두들겨 부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권위 회의에서 이에 대한 비판이 나왔으나 헌법재판관 출신인 안창호 인권위원장은 사실상 수수방관했다.

김 상임위원은 지난 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헌법재판소가 주권자인 국민의 뜻을 거슬러 대통령을 탄핵한다면, 국민은 헌법재판소를 두들겨 부수어 흔적도 남김없이 없애버려야 한다”고 썼다. 김 상임위원은 전씨를 향해 “절대 쫄거나 무서워하지 말라”며 “제가 인권위 상임위원으로서 공직자 신분이기는 하지만 기꺼이 무료 변론을 해드리겠다”고 했다. 김 상임위원은 “헌법재판소는 야당으로부터 대통령 탄핵 용역을 하청받은 싸구려 정치용역업체가 되어 재판이라는 이름의 대국민 사기극을 벌이고 있다”며 “한길쌤이 이를 통렬하게 비판해주니 내가 너무 고마워 눈물이 난다. 좌파세력의 광기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는 투사는 바로 한길쌤”이라고 했다.

전씨는 헌법재판관을 비난해 윤 대통령 지지자들을 선동한 혐의(내란 선동) 등으로 지난 5일 경찰에 고발당했다. 전씨는 지난 1일 부산역 광장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해 헌법재판관 자진사퇴를 촉구하며 “국민이 헌재를 휩쓸 것이고 모든 책임은 불의한 재판관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씨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옹호하며 직무 복귀를 촉구했다.

인권위 상임위원들은 6일 열린 상임위원회에서 이 문제로 공방을 벌였다. 남규선 상임위원은 전씨를 무료 변론하겠다는 김 상임위원의 발언에 관해 인권위원회법 10조의 ‘위원 겸직 금지’ 조항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김 상임위원은 “무식하다는 소리 안 들으려면 법령을 검토해야 한다”며 “무료 변론은 법에 위배가 되지 않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 상임위원은 “헌법재판소를 부수어 없애야 한다”는 주장에 관해서도 “대한민국 국민의 표현의 자유는 인권위 상임위원도 가지는 것”이라며 “표현의 자유를 제한해야 하는 이유가 있으면 근거를 대달라”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회의가 진행되는 동안 김 상임위원의 논란에 관해 “유념하겠다”는 취지의 말만 반복했다. 안 위원장은 “제가 (겸직 금지 관련) 조항 확인을 하지 않아서 어떤지 모르겠지만 남 위원이 말씀한 사항을 김 위원은 유념해달라”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2012~2018년 헌법재판관을 역임했다. 남 상임위원은 “본인이 상임위원임을 드러내면서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인데, 일반 국민이 그저 개인의 의견으로만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며 “안 위원장님은 헌법재판관으로 6년간 재직하셨는데, 이런 상황에 관해 말씀을 좀 해달라”고 말했다.

김 상임위원은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 전씨를 변호하기는 법적으로 불가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재성 변호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변호사법 38조에 따라 현재 휴업일 것으로 보이는데, 휴업 상태에서 변론 활동을 하면 처벌된다”면서 김 상임위원은 차관급 공무원 신분으로서 변론활동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변호사법 38조는 “변호사는 보수를 받는 공무원을 겸할 수 없다”는 겸직제한 조항이다.

김 상임위원은 헌법재판소 등 사법부와 수사기관에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사건의 방어권을 철저히 보장할 것’ ‘윤 대통령을 불구속 수사할 것’ 등의 권고 내용을 담은 안건을 발의해 논란을 일으켰다. 지난달 13일 인권위 직원들과 시민단체의 저지로 해당 안건을 논의하는 회의가 열리지 못했다. 인권위는 오는 10일 이 안건을 재상정해 논의할 예정이다. 김 상임위원은 재상정한 안건에 “비상계엄 선포는 고도의 정치적·군사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통치행위” “헌법재판소는 계엄 선포를 판단할 권한이 있는지 근본적 의문이 제기된다”는 문구를 추가했다.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전날 페이스북에 쓴 글. 페이스북 갈무리


인권위, ‘윤석열 보호권 보장’ 안건 10일 재상정국가인권위원회가 논란이 된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을 전원위원회에 다시 상정한다. 인권위는 오는 10일 제2차 전원위에서 ‘계엄 선포로 야기된 국가적 위기 극복 대책 권고의 건’을 상정해 공개 논의한다고 4일 밝혔다. 인권위는 지난달 20일 이 안건을 논의하려던 전원위 회의를 취소했다. 지난달 19일 발생한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와 극...https://www.khan.co.kr/article/202502041927001

“내란 동조” 반발에 막혀…인권위 ‘윤석열 방탄 안건’ 무산국가인권위원회가 13일 ‘윤석열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상정을 위해 개최하려던 전원위원회가 시민단체와 인권위 직원들의 거센 반발로 무산됐다. 12·3 비상계엄의 위헌·불법성을 일절 언급하지 않은 인권위가 정작 수사를 거부하고 있는 윤 대통령의 ‘방어권’을 운운하며 계엄을 두둔한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인권위는 이날 오후 3시 전원위를 열고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132018025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75 검찰, ‘부당합병 무죄’ 이재용 사건 상고심의위 심의 요청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4 [2보]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3 정부, 대왕고래 시추 1회만에 실패 인정 "경제성 확보 어렵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2 尹 "홍장원·곽종근 공작으로 탄핵공작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1 금연 더 늘어날까…담배 성분 공개 의무화, 흡연 피해 소송도 '영향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0 윤 대통령, 시간 더 주라며 ‘툭툭’…김현태 발언 뭐였기에?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9 [속보] 피치,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8 [단독] 졸지에 ‘사슴 고추 테러범’ 된 한국 청년…日서 퍼지는 ‘혐한’ 가짜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7 중부에 대설특보…도로 미끄럼 사고 유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6 尹 "홍장원·곽종근 때문에 내란·탄핵 공작 시작"‥음모론 제기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5 시작부터 의문 가득했던 '대왕고래'...尹이 부풀린 기대감은 거품으로 끝났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4 尹 “홍장원·곽종근이 ‘탄핵 공작’ 시작… 의도 다분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3 尹 "홍장원·곽종근 때문에 탄핵 공작 시작…의도 다분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2 “30초에 115억원”… 오픈AI, 슈퍼볼 광고 나선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1 “LG CNS 너마저”… IPO 한파에 올해 8개 중 7개 새내기株 ‘첫날 마이너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0 '딥시크 포비아' 전방위 확산…민간도 끊는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59 ‘내맘대로’ 권한행사 최상목···여권에서도 “자기가 대통령인 줄 아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58 윤석열표 ‘대왕고래’ 사실상 실패…시추 결과 “경제성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57 尹은 안 줬다는 '쪽지'… 최상목 "윤 대통령이 참고하라고 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56 대왕고래 첫 탐사 시추 완료…“경제성 확보 수준 못 미쳐” new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