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자지구, 팔레스타인인들 땅"…"역내 안정 위협 요인"
아랍연맹 "국제법 위반"…'두 국가 해법' 이행 강조 '한목소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파리·모스크바=연합뉴스) 송진원 최인영 특파원 =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하고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에 서방 동맹국을 비롯해 각국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프랑스 외무부는 5일(현지시간)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주민에 대한 강제 이주에 반대한다"며 "이는 국제법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자 팔레스타인인들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두 국가 해법(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공존)을 저해하고, 이집트와 요르단을 비롯한 역내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프랑스 외무부는 "가자지구의 미래는 제3국의 통제가 아니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국가 틀 안에서 바라봐야 한다"며 "프랑스는 역내 장기적인 평화와 안정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인 '두 국가 해법'의 이행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장관도 성명에서 "가자지구 민간인들이 추방돼서는 안 된다"며 "가자지구는 요르단강 서안이나 동예루살렘과 마찬가지로 팔레스타인인들 땅으로, 이 지역들은 미래 팔레스타인 국가의 기반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베어보크 장관은 "팔레스타인인들의 의사를 무시한 해결책은 있을 수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이 현실화할 경우 "또 다른 고통과 증오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영국의 데이비드 래미 외무장관도 이날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인들이 가자지구와 서안의 고향에서 살고 번영하는 걸 봐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원하는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반대했다.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룰라 대통령은 현지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은 어디에서 살아야 한다는 말인가"라며 "이는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주장으로, 가자지구를 책임질 이들은 팔레스타인인들"이라고 말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동 문제 해결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잘 알려져 있다. 두 국가 해법에 기반해서만 이뤄질 수 있다는 것으로,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에도 명시돼 있다"고 말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요르단과 이집트가 가자지구 주민을 이주시키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거부한 것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가자 휴전 중재국 중 하나인 이집트는 이날도 거듭 팔레스타인 주민이 재건 의무를 맡아 현지를 떠나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신속한 재건을 촉구했다.

이집트 외무부 성명에 따르면 바드르 압델라티 장관은 카이로에서 무함마드 무스타파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다만 이집트 외무부는 가자지구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대해서는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아랍권 22개국으로 구성된 아랍연맹(AL)은 미국이 가자지구를 점령해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이 "충격적"이라며 "국제법을 위반해 더 큰 불안정을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가 미래 팔레스타인 국가의 영토를 구성하고 팔레스타인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두 국가 해법'의 실행을 촉구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정상회담 한 뒤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을 가자지구가 아닌 다른 지역에 재정착시켜야 한다면서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할 것(take over)"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가자를 소유할 것이며 현장의 모든 위험한 불발탄과 다른 무기의 해체를 책임지고, 부지를 평탄하게 하고, 파괴된 건물을 철거하고, 지역 주민에게 일자리와 주거를 무한정으로 공급하는 경제 발전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41 '다이빙 성지' 필리핀 보홀, 고래상어 관광 막았다…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40 진술로 본 ‘정치인 체포 지시 의혹’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9 [단독] ‘국내 2위’ 로펌서 새나간 공개매수…수십억 원까지 꿀꺽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8 정부·민간기업, ‘딥시크’ 이용 잇단 제한…“민감 정보 유출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2.06
» »»»»» 트럼프 가자 구상에 각국 비판 쇄도…"말도 안 되는 소리"(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6 [사설] 법원 난동 피의자 영치금 보낸 김용현... 사법테러 부추기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5 카카오 “딥시크 쓰지 마”…커지는 중국 AI 견제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4 강남역 1억 ‘간접흡연 방지시설’ 만들었지만… 행인은 콜록콜록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3 알리·테무, 압도적 물량 공세… 유통 내수시장 주도권 내주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2 12살 아들 ‘전치 6주’ 학폭 당했는데…교육청 "가해 학생 강제 전학 못 보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1 트럼프 눈치보기?…"베이조스 펀드, 기후 조직 지원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30 트럼프·딥시크 충격에…정부, 34조원 이상 첨단산업기금 조성한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9 한덕수 측, 탄핵심판서 “계엄 국무회의 위법···신속 결정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8 결국 구치소 청문회 안 나온 윤·김용현…야당 “무례한 증인들…고발 조치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7 이재명 ‘위헌심판 제청 신청’ 두고 공방…증인은 3명만 채택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6 ‘트럼프 무풍지대’ 전선업계 실적 신바람 타고 전력질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5 관세 총구 겨눈 미·중…한국, 수출 1·2위국 사이 눈치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4 악성 ‘준공후 미분양’ 10년 만에 2만가구 돌파…금융위 “DSR 완화 고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3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소형 아파트로 옮기고, 여윳돈 ETF 넣으면 유동성 ‘든든’ new 랭크뉴스 2025.02.06
47622 ‘서부지법 난동’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 연달아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