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지난해 12월1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현 시국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도해 온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의 변호인단에 합류했다.

5일 경향신문 취재결과 황 전 총리는 이날 윤 대통령 재판을 담당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에 변호인선임서를 제출했다.

황 전 총리는 재판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주장하는 ‘부정선거 의혹’을 지원하기 위해 변호를 맡은 것으로 전해졌다. 황 전 총리는 2022년 1월부터 ‘부정선거·부패방지대(부방대)’라는 단체의 총괄대표로 활동하며 부정선거 음모론을 제기해왔다. ‘부방대’는 21·22대 총선 과정이 의심된다며 윤 대통령에게 부정선거 수사를 촉구해온 단체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검찰 수사에서 부정선거 의혹의 출처로 ‘부방대’를 지목하기도 했다.

황 전 총리는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인 지난해 12월19일에도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은 내란을 위한 것이 아니라 부정선거를 철저히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날까지 황 전 총리를 포함해 윤 대통령 형사재판 변호인단에는 총 14명이 이름을 올렸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는 오욱환 변호사가 전날 새로 선임돼 총 17명이 대리를 맡고 있다.

내란 계기라는 ‘부정선거’ 음모론, 황교안의 ‘부방대’가 출처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병력을 보내 부정선거 의혹을 수사하려 했던 배경에 대해 “비상계엄을 하게 되면 그 기회에 부정선거 의혹도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 대통령의 생각”이라는 취지로 수사기관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정선거 의혹의 출처로는 ‘부정선거·부패방지대’(부방대)라는 단체를 지목했다고 한다. 부...https://www.khan.co.kr/article/202501262000025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93 ‘법원 난동 가담’ 전광훈 목사 특임전도사 윤모씨 구속 랭크뉴스 2025.02.05
47592 ‘부정선거론’ 황교안, 尹 내란죄 형사재판 변호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2.05
47591 '서부지법 난동' 2번째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 구속(종합) 랭크뉴스 2025.02.05
47590 국방·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카카오 등도 '금지령'(종합3보) 랭크뉴스 2025.02.05
47589 '이재명이 틀렸다'… 비명계 3金 '李 약한 고리' 때리기 협공 랭크뉴스 2025.02.05
47588 “어머니는 정말 강했던 분…사랑해요 맘” 랭크뉴스 2025.02.05
47587 손발 안 맞는 尹 측‥발언 도중 마이크 뺏기도 랭크뉴스 2025.02.05
47586 트럼프 '가자 점령' 발언에 들끓는 아랍… "미국 '피의 전쟁' 휘말릴 것" 랭크뉴스 2025.02.05
47585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윤, 계엄 당시 총 언급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584 日 언론 “닛산, 혼다와 경영 통합 협상 중단키로” 랭크뉴스 2025.02.05
47583 외교·산업·국방부 ‘딥시크 차단’···한수원·카카오도 ‘금지령’ 랭크뉴스 2025.02.05
47582 [단독] 재계 "이재명, 52시간 양보 제안…4대그룹은 무응답" 랭크뉴스 2025.02.05
47581 모르겠다 답 못한다 했지만 이미 쌓여 있는 진술들 랭크뉴스 2025.02.05
47580 "ㅈㅌㅅㅂ 4인 각오" 여인형 폰서 발견…최재영 이름도 있었다 랭크뉴스 2025.02.05
47579 외교·국방·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생성형 AI 사용 유의 요청” 랭크뉴스 2025.02.05
47578 대만 최대 폭력조직 죽련방 두목 황사오천 사망 랭크뉴스 2025.02.05
47577 불경기에 “장사 못 해먹겠다”…1인 자영업자 6년 만에 감소 랭크뉴스 2025.02.05
47576 마이클 조던 아들 음주운전·마약소지 혐의로 체포 랭크뉴스 2025.02.05
47575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민감 기밀정보 유출 우려" 랭크뉴스 2025.02.05
47574 산업부, 中 딥시크 접속차단… “개인정보 보호 조치 불투명”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