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씨엔에스, 코스피 첫날 9.9% 하락 마감
코스피200·MSCI 조기 편입 힘들 듯
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대어(大魚)로 꼽혔던 LG씨엔에스(LG CNS)가 상장 첫날부터 주가가 공모가를 밑돌았다. 공모주 청약에 나섰던 개인 투자자는 평가가치가 하루 만에 340억원가량 감소했다.
LG씨엔에스 주식은 5일 코스피시장에서 5만5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가 공모가(6만1900원)보다 9.85%(6100원) 하락했다. LG씨엔에스는 이날 시초가 6만500원으로 거래를 시작, 공모가 밑에서만 주가가 움직였다. 장초반 한때 6만1900원을 터치하긴 했지만 수십만주나 매도 물량이 걸려 있던 탓에 뚫고 올라서지는 못했다.
이날 기록한 최저가는 5만4900원이다. 공모가 기준 6조원에 육박했던 시가총액은 5조4062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앞서 LG씨엔에스는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이 흥행하면서 공모가를 희망범위(5만3700~6만1900원) 상단으로 정했다. 이어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 때는 청약 증거금을 21조원 넘게 끌어모았다.
하지만 이날 장 초반부터 주가가 내림세를 보이자, 일부 투자자가 투매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기관 투자자가 받아간 LG씨엔에스 공모주 물량 중 78.7%가 의무보유 기간을 확약하지 않아, 상장 첫날부터 유통 가능한 주식이 전체 발행주식 중 29.22%(2831만3660주)에 달했다.
투자자별로 보면 이날 기관과 외국인은 LG씨앤에스 주식을 각각 1560억원, 290억원 순매도했다. 사모와 투신의 매도 규모가 컸다. 개인만 1860억원 ‘사자’에 나섰다.
LG씨엔에스 공모주 청약에 참여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볼멘소리를 쏟아냈다. LG씨엔에스가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6조원에 육박하는 대형주이고, 올해 첫 코스피시장 상장사인 만큼 기대가 컸기 때문이다. LG씨엔에스 주식토론방에는 “치킨값 벌어보려다가 소고깃값 잃게 생겼다” “개미 돈으로 설거지했다” “또 뻥튀기 상장이다” “풀청약했는데 반년치 공모주로 번 이익을 모두 날렸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개인이 청약한 LG씨엔에스 주식은 총 555만7414주로 공모가 기준 총 3440억원어치였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단순히 계산하면 평가가치가 3101억원으로 줄었다. 개인 중에선 LG씨엔에스 주식을 최대 741주 받은 투자자도 있는데, 그대로 보유했다면 평가손실 규모가 452만원이 넘는다.
LG씨엔에스가 첫날부터 약세를 기록하면서 주요 주가지수에 조기 편입하기도 쉽지 않아졌다.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자금이 유입돼 주가를 끌어올리길 기대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코스피200지수에 들어가려면 정기 변경과 특례 편입이 있다. 정기 변경은 매년 6월과 12월 선물옵션 만기일에 최근 6개월 평균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한다. LG씨엔에스는 상장 기간 때문에 오는 6월 정기 변경 때 편입이 불가능하고, 연말 정기 변경 때를 노려봐야 한다.
특례 편입도 쉽지 않다. 코스피200지수 특례 편입 조건은 크게 2가지다. 먼저 신규 상장일부터 15거래일 평균 시가총액이 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1% 이내인 경우다. LG씨엔에스 시가총액이 21조원을 넘겨야 해서 이날 종가보다 4배 넘게 주가가 뛰어야 한다.
15거래일 평균 시가총액 순위가 50위 이내여도 가장 가까운 선물옵션 만기일에 편입된다. 이날 50위인 대한항공의 시가총액이 8조7452억원인 점을 고려할 때 주가가 62% 이상 상승하고, 이를 오는 25일까지 유지해야 한다.
문제는 한국거래소가 코스피200지수 대형주 특례 편입 요건을 최근 강화했다는 점이다. 배철교 NH투자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유동주식 수를 기준으로 한 유동시가총액도 50위 종목 시가총액의 50%를 웃돌아야 특례 편입될 수 있다. LG씨엔에스의 유동시가총액이 대한항공 시가총액의 절반인 4조3726억원을 넘어서야 한다는 의미다.
LG씨엔에스의 유동주식 비율(29.22%) 기준 유동시가총액은 1조5797억원이다. 이날 종가보다 3배 가까이 주가가 오르고, 이를 남은 14거래일 유지해야 한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편입도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MSCI 지수에 조기 편입하려면 시가총액 8조3000억원, 유동시가총액 4조2000억원을 넘어서야 하는데 LG씨엔에스의 이날 시가총액과 격차가 크다.
게다가 MSCI는 지수 구성 종목을 매년 2·5·8·11월에 정기 변경한다. 2월 정기 변경을 위한 평가 절차가 마무리돼 5월 정기 변경을 기다려야 한다. 5월 정기 변경 때도 유동시가총액이 관건이다. 보통 2조5000억원 이상을 편입 안정권으로 평가한다. LG씨엔에스 주가가 5월 정기 변경을 위한 평가가 이뤄지는 오는 4월 중순 이후 주가가 지금보다 60%가량 높은 수준이어야 한다.
코스피200·MSCI 조기 편입 힘들 듯
올해 상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대어(大魚)로 꼽혔던 LG씨엔에스(LG CNS)가 상장 첫날부터 주가가 공모가를 밑돌았다. 공모주 청약에 나섰던 개인 투자자는 평가가치가 하루 만에 340억원가량 감소했다.
LG씨엔에스 주식은 5일 코스피시장에서 5만5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가 공모가(6만1900원)보다 9.85%(6100원) 하락했다. LG씨엔에스는 이날 시초가 6만500원으로 거래를 시작, 공모가 밑에서만 주가가 움직였다. 장초반 한때 6만1900원을 터치하긴 했지만 수십만주나 매도 물량이 걸려 있던 탓에 뚫고 올라서지는 못했다.
이날 기록한 최저가는 5만4900원이다. 공모가 기준 6조원에 육박했던 시가총액은 5조4062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일러스트 = 챗GPT 달리3
앞서 LG씨엔에스는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이 흥행하면서 공모가를 희망범위(5만3700~6만1900원) 상단으로 정했다. 이어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 때는 청약 증거금을 21조원 넘게 끌어모았다.
하지만 이날 장 초반부터 주가가 내림세를 보이자, 일부 투자자가 투매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기관 투자자가 받아간 LG씨엔에스 공모주 물량 중 78.7%가 의무보유 기간을 확약하지 않아, 상장 첫날부터 유통 가능한 주식이 전체 발행주식 중 29.22%(2831만3660주)에 달했다.
투자자별로 보면 이날 기관과 외국인은 LG씨앤에스 주식을 각각 1560억원, 290억원 순매도했다. 사모와 투신의 매도 규모가 컸다. 개인만 1860억원 ‘사자’에 나섰다.
LG씨엔에스 공모주 청약에 참여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볼멘소리를 쏟아냈다. LG씨엔에스가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6조원에 육박하는 대형주이고, 올해 첫 코스피시장 상장사인 만큼 기대가 컸기 때문이다. LG씨엔에스 주식토론방에는 “치킨값 벌어보려다가 소고깃값 잃게 생겼다” “개미 돈으로 설거지했다” “또 뻥튀기 상장이다” “풀청약했는데 반년치 공모주로 번 이익을 모두 날렸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개인이 청약한 LG씨엔에스 주식은 총 555만7414주로 공모가 기준 총 3440억원어치였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단순히 계산하면 평가가치가 3101억원으로 줄었다. 개인 중에선 LG씨엔에스 주식을 최대 741주 받은 투자자도 있는데, 그대로 보유했다면 평가손실 규모가 452만원이 넘는다.
LG씨엔에스가 첫날부터 약세를 기록하면서 주요 주가지수에 조기 편입하기도 쉽지 않아졌다.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자금이 유입돼 주가를 끌어올리길 기대하기 힘들다는 의미다.
코스피200지수에 들어가려면 정기 변경과 특례 편입이 있다. 정기 변경은 매년 6월과 12월 선물옵션 만기일에 최근 6개월 평균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한다. LG씨엔에스는 상장 기간 때문에 오는 6월 정기 변경 때 편입이 불가능하고, 연말 정기 변경 때를 노려봐야 한다.
특례 편입도 쉽지 않다. 코스피200지수 특례 편입 조건은 크게 2가지다. 먼저 신규 상장일부터 15거래일 평균 시가총액이 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1% 이내인 경우다. LG씨엔에스 시가총액이 21조원을 넘겨야 해서 이날 종가보다 4배 넘게 주가가 뛰어야 한다.
15거래일 평균 시가총액 순위가 50위 이내여도 가장 가까운 선물옵션 만기일에 편입된다. 이날 50위인 대한항공의 시가총액이 8조7452억원인 점을 고려할 때 주가가 62% 이상 상승하고, 이를 오는 25일까지 유지해야 한다.
문제는 한국거래소가 코스피200지수 대형주 특례 편입 요건을 최근 강화했다는 점이다. 배철교 NH투자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유동주식 수를 기준으로 한 유동시가총액도 50위 종목 시가총액의 50%를 웃돌아야 특례 편입될 수 있다. LG씨엔에스의 유동시가총액이 대한항공 시가총액의 절반인 4조3726억원을 넘어서야 한다는 의미다.
LG씨엔에스의 유동주식 비율(29.22%) 기준 유동시가총액은 1조5797억원이다. 이날 종가보다 3배 가까이 주가가 오르고, 이를 남은 14거래일 유지해야 한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 편입도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MSCI 지수에 조기 편입하려면 시가총액 8조3000억원, 유동시가총액 4조2000억원을 넘어서야 하는데 LG씨엔에스의 이날 시가총액과 격차가 크다.
게다가 MSCI는 지수 구성 종목을 매년 2·5·8·11월에 정기 변경한다. 2월 정기 변경을 위한 평가 절차가 마무리돼 5월 정기 변경을 기다려야 한다. 5월 정기 변경 때도 유동시가총액이 관건이다. 보통 2조5000억원 이상을 편입 안정권으로 평가한다. LG씨엔에스 주가가 5월 정기 변경을 위한 평가가 이뤄지는 오는 4월 중순 이후 주가가 지금보다 60%가량 높은 수준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