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조지아주 잭슨 카운티 커머스시에 짓고있는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공장.

정부와 배터리 기업은 캐나다에서 생산되고 있는 이차전지를 미국 외 국가에 수출 가능한지 검토한다. 미국 싱크탱크 전문가를 섭외해 한미 배터리 동맹 필요성을 담은 분석 보고서도 발간한다. 자동차 업계는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늘리고, 멕시코산 자동차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생산지 변경에 나선다.

정부는 5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미 신정부 출범에 따른 산업별 영향 및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개최됐으며, 반도체·배터리·조선·자동차·철강 협회장이 참석했다.

배터리 업계는 트럼프 2기의 통상 안보 정책이 양날의 검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를 할 경우, 캐나다에 투자한 우리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반면 중국산 배터리 제품 관세 인상 시 우리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상승해 중국 공급망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 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피해를 막기 위해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이차전지 모델을 유럽 소재 공장에 수출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협회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3사는 대미 아웃리치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미국에 공장이 있는 3사는 투자지역 7개주정부·의회·카운티를 대상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중요성 ▲한국 기업의 미국산 배터리는 미국 국가 안보 이익에 부합하다는 점 ▲한국 배터리 기업이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 ▲한국 기업의 배터리는 미국산 배터리라는 점을 강조한다. 또 워싱턴 D.C에서 한미 배터리 포럼을 개최하고, 주요 핵심 인사를 면담한다. 미 국제전략연구소(CSIS), 미국우선정책연구소(AFPI)를 비롯한 싱크탱크의 전문가를 섭외해 한미 배터리 동맹 필요성을 담은 분석 보고서도 발간할 예정이.

자동차 업계는 한국에 보편 관세가 도입될 경우 수출 물량 유지에 차질을 빚고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현재 한국 자동차의 대미 수출 비중은 50% 이상이다. 멕시코산 차량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에도, 현지공장 대미 완성차 수출이 감소하고, 수익성이 악화될 뿐 아니라,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어 가격 경쟁력 하락 우려가 있다. 자동차 업계는 이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관세, 쿼터 설정 부과, 전기차 보조금 폐지 정책을 펼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 투자확대와 현지화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앨라바마·조지아, 매타플랜트 생산공장, 연구개발(R&D)시설을 포함해 약 200억달러를 투자하고, 57만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아세안 지역으로도 투자·수출을 다변화한다. 멕시코에 관세 부과시 멕시코산 자동차의 생산지를 변경하고, 멕시코산 자동차는 북남미, 유럽 등으로 판로를 확대한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 15만대 규모의 완성차 공장을 세우고, 베트남에 20만대 규모의 조립공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주요국을 대상으로 민·관 네트워킹 활동을 추진한다.

또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시나리오별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대미 자동차 무역수지 흑자국인 유럽, 독일, 일본 등의 자동차협회들과 협력에 나선다.

철강 업계는 미국에서 철강 수입 장벽 강화 정책을 시행하게 되면, 공급망에 차질이 생길거라 우려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철강 232조 재조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4월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을 대상으로 한 연간 263만톤 무관세 쿼터가 폐지될 경우 현대기아차, 삼성, LG 등의 소재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철강 업계는 화석 에너지 공급 확대, 인프라 건설 신속 추진 등 관련 행정명령을 분석해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겠다는 논리를 수립하고, 수급이 부족한 품목의 쿼터 확대를 위해 대응 논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 미국 정부, 상하원의원, 싱크탱크를 대상으로 한국산 상품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아웃리치를 추진한다. 이외에도 수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무역 구제 조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한편, 조선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 중 하나다. 미국이 해양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어 군함 유지·보수·운영(MRO) 수주를 확대하고, 신조 수주를 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범부처 협의체를 통해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한·미 조선업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41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장기 소유… 중동 '휴양지'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2.05
47340 [속보]경찰, 한덕수 국무총리 2차 피의자 조사···비상계엄 국무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5.02.05
47339 “돌아온 트럼프” 취임 첫날 행정조치 46건, 환율 들썩들썩 랭크뉴스 2025.02.05
47338 김문수, 한달새 '10%p' 급등…이재명 41.4%·김문수 20.3%[에이스리서치] 랭크뉴스 2025.02.05
47337 대만 언론 “구준엽 아내, 면역력 약해 유산도… 패혈증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05
47336 선릉역에서 쓰러진 30대 남성…주머니에서 ‘이것’ 발견돼 랭크뉴스 2025.02.05
» »»»»» 韓 배터리 업계, 캐나다산 이차전지 유럽 수출 검토… 멕시코산 자동차는 생산지 변경나선다 랭크뉴스 2025.02.05
47334 이재명 “국민의힘은 여당 아냐…세상 사람들 괴롭히는 산당” 랭크뉴스 2025.02.05
47333 [속보] 경찰, 전날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 국무회의 '쪽지' 여부 등 조사 랭크뉴스 2025.02.05
47332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소유해 경제 발전시킬 것” 랭크뉴스 2025.02.05
47331 "자기 보수야? 그럼 우리 헤어져"···10명 중 6명은 "정치성향 다르면 연애·결혼 안돼" 랭크뉴스 2025.02.05
47330 경찰, 어제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계엄 국무회의 상황 조사 랭크뉴스 2025.02.05
47329 [속보] 崔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규모 랭크뉴스 2025.02.05
47328 [속보] 최상목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랭크뉴스 2025.02.05
47327 [속보] 최상목 대행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원 규모” 랭크뉴스 2025.02.05
47326 올해 전기차 갈아탈까…아이오닉5 구매자, 1000만원 아낀다 랭크뉴스 2025.02.05
47325 "부끄럽고 자괴감 든다"…전한길 때린 일타강사 강민성 랭크뉴스 2025.02.05
47324 트럼프 "美, 가자지구 점령·소유할 것"…네타냐후 "역사 바꿀 결단" 랭크뉴스 2025.02.05
47323 [속보] 경찰, 한덕수 국무총리 2차 피의자 조사…‘비상계엄’ 국무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5.02.05
47322 [속보] 경찰, 어제 한덕수 국무총리 소환…계엄 국무회의 관련 조사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