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다시 국회로 갑니다.
어제 열린 '내란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서, 비상계엄 전날,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즉 민간인에게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노 씨에게 비화폰을 준 것으로 의심받는 인물은 대통령 경호처 김성훈 차장입니다.
김지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더불어민주당은 12·3 내란 사태의 '비선 기획자'로 지목된, 민간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안보상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비화폰'이 지급됐다는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끝 번호는 9481, 지급된 날짜는 계엄 하루 전인 12월 2일이라는 겁니다.
[김대경/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 - 윤건영/더불어민주당 의원]
"<끝번호 9481 이 번호 기억나십니까?> 세부적인 번호까지는 좀… <경호처에 김성훈 차장 비서관이 와서 비화폰 가져갔잖아요. 맞습니까, 아닙니까?> ……"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노 전 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했다면 김 차장이 내란에 깊숙이 관여한 증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경호처가 전·현직 군 장성들에게 비화폰을 지급하면서 불출대장에 구체적 직위 대신 '테스트'라고만 적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는 괄호 속 '방' 자를,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에게는 '특' 자를 기재했고, 민간인이자 예비역인 노 전 사령관에게 지급한 비화폰은 불출대장에 '예' 자를 적시했다는 겁니다.
노 전 사령관의 비화폰 반납 시점에 대해선, 비상계엄이 실패한 이후인 12월 7일로 특정하고, 이후 김성훈 차장의 불출대장 삭제지시도 뒤따랐다고 맹공했습니다.
[김대경/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 - 윤건영/더불어민주당 의원]
"<12월 13일 금요일 날 본부장한테 지시를 했습니다. 불출대장을 삭제하라고. 본부장님과 실무자들이 온몸으로 저항했고 막았습니다.> 제가 여기서 좀 언급들이 조금 제한이 됩니다."
'김건희 여사가 여전히 비화폰을 사용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도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민주당은 김 차장에 대한 즉각적인 구속과 서버 확보 등 강제수사를 촉구했는데,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해당 내용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만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지인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