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 측, 법원에 구속취소 청구 “구속기간 도과” 주장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잠시 눈을 감고 있다. 이준헌 기자


윤석열 대통령 측이 경향신문 등 일부 언론사에 대한 “단전·단수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윤 대통령 측 윤갑근 변호사는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5차 변론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때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일부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했다는 공소 사실과 관련해 “(윤 대통령은) 그런 지시한 적도 없고 그게 말이 되지를 않는다”며 “단전·단수를 할 것 같으면 병력이 출동한 국회를 해야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방청장 이야기를 하는데 단전·단수를 소방청장이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느냐”며 “객관적으로 맞지 않는 상황을 자꾸 뭘 이렇게 지어내려고 하다 보니까 억지가 따른다고 본다.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는 없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측 발언은 검찰 수사 결과와 배치된다. 윤 대통령 공소장을 보면,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를 소집한 자리에서 대통령 집무실에 들어온 이상민 전 장관에게 “자정에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 단수를 하라”는 내용이 적힌 문건을 보여주며 계엄 선포 이후 조치사항을 지시했다.

언론사들에 대한 단전·단수 지시는 지난달 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질의에 나온 허석곤 소방청장의 발언으로 알려졌다. 허 청장은 이 전 장관으로부터 단전·단수에 협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직접 지시했다는 사실은 검찰의 공소장 내용으로 처음 알려졌다.

윤 대통령 측은 기소 전 검찰의 구속기간 계산이 잘못됐다며 전날 법원에 구속 취소를 청구했다. 윤 변호사는 “구속기간이 도과됐다고 판단했고 수사권 없는 기관의 수사와 그에 터 잡은 기소”라며 “위법 사항이라 구속 취소를 청구했다”고 말했다. 형사소송법은 체포적부심사나 영장실질심사 등을 위해 법원이 수사 관계 서류와 증거물을 접수한 때부터 결정 후 검찰청에 이를 반환할 때까지의 기간을 구속기간에 산입하지 않는다고 규정한다. 검찰은 법 해석에 따라 구속기간을 1월27일까지로 판단해 이보다 하루 전인 지난달 26일 윤 대통령을 구속 기소했다.

윤 대통령 측은 구속영장 실질심사에 소요된 시간을 구속 기간에서 뺄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의 구속기한은 1월25일 밤 12시까지였는데, 검찰이 이보다 하루 뒤에 윤 대통령을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긴 것은 불법이라는 주장이다. 구속 기소시에는 1심 재판 기간 동안 최장 6개월 동안 구속 상태로 재판을 받는 반면, 불구속 기소시에는 재판도 불구속 상태로 받아 큰 차이가 있다.

윤 변호사는 “사안의 본질에 있어서도 비상계엄이 내란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종합해서 구속 취소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구속 취소 청구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취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 사건은 오는 20일 첫 공판준비절차가 진행된다.

[단독]윤석열, 경향신문 등 언론사 단전·단수 직접 지시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이 경향신문 등 언론사들에 대한 단전·단수 조치를 직접 지시한 것으로 검찰 수사 결과 밝혀졌다. 해당 지시를 받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해 국무위원들의 내란죄 성립 여부에 대해선 검찰·경찰 수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이 3일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검찰의 윤 대통령 ...https://www.khan.co.kr/article/202502031724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81 배현진, 故 오요안나 사건에 "MBC, 괴롭힘 쉬쉬하는 사내 문화" 랭크뉴스 2025.02.05
47380 [정책 인사이트] 아이 낳고 85% 산후조리원 이용… 평균 12.6일 머물며 286만원 랭크뉴스 2025.02.05
47379 이재명, 尹 향해 “내란사태 희화화 정신차리길… 나라 망할 뻔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8 김용현, ‘서부지법 난동’ 구속 30여명에 영치금…“애국청년” 랭크뉴스 2025.02.05
47377 10억치 마약 전국 풀렸다… 집단투약 온상 된 ‘外 전용’ 업소 랭크뉴스 2025.02.05
47376 헌재, 尹 탄핵심판에 '건강 이유 불출석' 조지호 다시 부른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5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랭크뉴스 2025.02.05
47374 '한국어 성능 떨어지는 딥시크' AI 스타트업들, 위기이자 기회 [한국 뒤흔드는 딥시크 폭풍] 랭크뉴스 2025.02.05
47373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인수할 것…중동의 리비에라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2 생활고 지인에 돈 보내며 "힘내"…故오요안나의 마지막 통화 랭크뉴스 2025.02.05
47371 내란 국조특위, 동부구치소 찾아... “김용현 거부로 현장조사 무산” 랭크뉴스 2025.02.05
47370 ‘尹 내란 우두머리 혐의’ 공소장과 군 지휘부 증언 엇갈려 랭크뉴스 2025.02.05
47369 그냥 감기인 줄 알았는데 후두암 말기?…'이것' 방치했다간 큰일 난다는데 랭크뉴스 2025.02.05
47368 [속보] 경찰, 계엄 이후 첫 고위직 승진 인사…새 치안정감에 박현수 내정 랭크뉴스 2025.02.05
47367 이틀만에 5.5만명 돌파…전한길도 가입한 '尹국민변호인단' 뭐길래 랭크뉴스 2025.02.05
47366 최상목 대행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배터리 등 첨단산업에 34조 원 이상 지원 랭크뉴스 2025.02.05
47365 尹, 책상 내려치며 "계엄 무관"‥홍장원 "전 토씨까지 기억"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5
47364 탑골 공원은 옛말…어르신들 ‘핫플’로 뜨는 이 곳 랭크뉴스 2025.02.05
47363 '장바구니 물가' 다시 들썩…연초부터 팍팍해진 살림살이 랭크뉴스 2025.02.05
47362 “우리은행 부당대출 현 경영진 책임” 이복현, 임종룡 직격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