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 뉴스1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정치인 체포 지시’와 연관된 핵심 증인인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4일 탄핵심판에서 자신의 형사재판이 진행중이라는 이유로 제한적 답변을 이어갔다. 그러면서도 경찰에 ‘특정 명단’ 위치 파악을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국회 측 대리인단으로부터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14명의 체포 명단을 받은 사실이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으나 “형사 재판에서 다투겠다”고만 답변했다.

국회 측은 헌재 재판부가 증거로 채택한 진술을 언급하며 재차 물었지만, 여 전 사령관은 “형사 재판에서 엄격하게 따져 봐야 할 상황으로 이 자리에서 증언이 어려운 것을 양해 부탁드린다”고 답변을 거부했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 당일 오후 10시 30~40분 사이에 조지호 경찰청장과 통화를 했느냐’는 질문엔 “통화한 적 있다”고 답했다. ‘정치인 15명 정도를 체포할 건데 경찰에 위치 확인해달라고 요청한 적 있느냐’는 국회 측 대리인 질문에 그는 합수본 경찰 인력 지원과 더불어 “‘특정 명단 위치를 알 방법이 없으니 위치를 알려달라’는 점을 협조 요청했다”고 위치 정보를 요청한 사실은 인정했다. ‘특정 명단을 알려줬느냐’는 질문엔 “명단 구술이 있었지만 조지호 경찰청장의 기억과 제 기억이 일부 다르다. 형사재판에서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조 청장에게 두 가지를 협조 요청한 것으로 기억한다”며 “첫 번째는 법령과 작전 계획에 따라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돼야 하니 경찰 인력을 보내달라는 것, 두 번째는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파악이었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 12월 4일 새벽 12시 38분쯤 부하들에게 우원식·이재명·한동훈부터 체포하라고 지시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대해선 “증거 기록을 보면 이와 전혀 반대되는 진술도 많다”고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과의 통화 여부를 묻자 “홍장원씨가 제게 먼저 전화했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에게 체포 대상자들의 위치 확인을 요청했는지에 대해선 “형사재판에서 정확히 따질 부분”이라며 홍 전 차장이 언급한 내용과 관련해선 따져볼 부분이 많다는 취지로 답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비상계엄 선포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계엄에 대한 소신을 말하면서 언성이 올라간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국회 측이 ‘식탁을 치면서 고성이 오갔다는 진술을 구체적으로 말해달라’고 하자 “다소 고성이 오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언성이 올라간 것이지, 상식적으로 3성 장군이 장관한테 (고성을 지르고) 그렇게 하진 못한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에 대통령 지시라고 말한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제가 사령관으로 누구에게 말할 때 대통령 지시라고 말한 경우는 거의 없다”고 답했다. 이어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대통령은 국군통수권자고, 굉장히 높으신 분”이라며 “장관님 말씀을 전하면 전했지 대통령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고 그게 밑에까지 내려가는 건 군 체계상 그런 식으로 지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 전 사령관은 또 “방첩사령부 책임자로서 참담하고 안타까운 심정”이라며 “국군 통수권자로부터 구체적으로 부여된 명령을 따르지 않을 군인은 없다”고 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부여된 지시를 군이 어떤 마음으로, 어떤 신중한 태도로 했는지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여 전 사령관은 대통령 측이 ‘비상계엄 선포가 합법 절차였다고 생각했느냐’고 묻자, “국군 통수권자가 하는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짧은 순간에 합법, 위법 생각하다는 것 자체가 군인들에게 쉽지 않은 문제”라고 했다.

국회에 출동한 방첩사 요원들이 포승줄과 수갑을 준비한 경위에 대한 윤 대통령 대리인단의 질문에는 “수갑과 포승줄은 출동하면 들고나가는 기본 장비로, 특별한 목적을 가진 게 아니라 훈련하면서 쓰는 것”이라며 “(요원들에게) 비무장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또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오래전부터 알았다고 인정하면서도 계엄 직후 정 처장에게 노 전 사령관의 핸드폰 번호를 주며 연락해보라고 했냐는 질문에도 형사재판에서 진술하겠다고 답변했다.

노 전 사령관이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수사를 위해 설치하려 했다는 계엄사 합동수사본부 ‘제2수사단’과 관련해서는 “그 계획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 여인형 "조지호에 정치인 명단 구술, 위치 확인 협조 요청" 랭크뉴스 2025.02.05
47212 "레이싱 게임하냐"…15억 든 중학교 운동장 덮친 '무법 차량'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05
47211 SK하이닉스 ‘딥시크 타격’ 우려에…한신평 “단기 영향 크지 않을 듯” 랭크뉴스 2025.02.05
47210 스웨덴 교육시설서 대낮 총기난사…"용의자 포함 약 10명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5.02.05
47209 삼성 찾은 손정의 “이재용 회장과 스타게이트 논의하러 왔다” 랭크뉴스 2025.02.05
47208 故오요안나 입연 배현진…“이지메, MBC 나쁜 사내문화” 랭크뉴스 2025.02.05
47207 검찰, 황운하·송철호 2심 무죄에 "수긍 어려워, 상고 예정" 랭크뉴스 2025.02.05
47206 루비오 "엘살바도르, 美범죄자 수용 제안…트럼프가 결정할 것" 랭크뉴스 2025.02.05
47205 트럼프표 ‘스타게이트’ 잰걸음…올트먼, 서울서 최태원·이재용 만나 랭크뉴스 2025.02.05
47204 딥시크, ‘제번스의 역설’처럼 고성능 칩 수요 늘릴까 [유레카] 랭크뉴스 2025.02.05
47203 베일 싸인 딥시크 창업자 량원펑, 동명이인 사진이 잘못 퍼져 랭크뉴스 2025.02.05
47202 윤석열 “내가 선관위 군 투입 지시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201 “구준엽 통곡에 가슴 찢어져”…눈감은 아내에게 마지막 인사 랭크뉴스 2025.02.05
47200 서초·강남 평당 1억, 도봉·강북 3000만… 짙어지는 양극화 랭크뉴스 2025.02.05
47199 트럼프 구조조정 정책 추진…"美 연방공무원 2만명 자발 퇴직" 랭크뉴스 2025.02.05
47198 "보조배터리, 기내에 들고 타고 되나요?" 질문에…파일럿 출신 교수 꺼낸 말 랭크뉴스 2025.02.05
47197 7년간 뭘 했길래…'188만원→305만원' 국민연금 마법의 비결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랭크뉴스 2025.02.05
47196 80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번아웃' 병원 치료 랭크뉴스 2025.02.05
47195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랭크뉴스 2025.02.05
47194 카카오, 오픈AI와 손잡았다…‘AI 서비스 대중화’ 첫걸음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