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기 정부 출범 보름만에 개시된 무역전쟁…中 즉각 보복조치 발표

中, 석탄·원유 등에 10일부터 10~15% 관세…텅스텐 등 수출통제

오는 10일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발효 전에 극적 타협할지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펜타닐 등의 문제로 중국에 대해 예고한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4일(현지시간)부로 공식 발효됐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임기가 시작하고서 정확히 보름만이다.

지금까지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약 20%의 관세율이 적용됐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이제부터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들에 10% 더 높은 평균 30%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미 관세를 올린 중국의 전략산업 분야 중 전기차의 관세율은 100%에서 110%로, 전기차 리튬배터리와 배터리 부품 관세율은 25%에서 35%로 올랐다.

태양광 웨이퍼 및 폴리실리콘 관세율은 50%에서 60%로, 텅스텐·알루미늄 등의 관세율도 25%에서 35%로 인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유예한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중국과도 24시간 안에 대화하겠다고 밝혀 대중 관세도 유예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일었지만, 반전은 없었다. 10%의 추가 관세 부과 시한인 4일 0시를 넘긴 시점까지 미·중 양국 어느 쪽에서도 관세 유예와 관련한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가 발효되자 즉각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의 관세를 추가하고, 원유·농기계를 비롯해 대배기량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아울러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의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하는 한편, 미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중 하나인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법 위반 조사도 개시하기로 했다.

중국은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의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선제공격'으로 촉발된 미·중 간 무역전쟁은 그러나 양국 정상 간 대화를 통해 극적으로 유예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2019년 일본에서 회동한 미·중 정상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과 국경을 맞댄 나라들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예고한 미국의 관세 조치는 발효를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두 나라 정상 간에 통화가 이뤄지면서 시행이 한 달간 유예됐다.

중국 국무원이 대미 보복관세 조치를 발표하면서 발효 시점을 오는 10일로 설정한 가운데, 이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양국 정상의 통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에는 무역전쟁이 시작된 지 18개월 만에 2020년 1월 양국이 이른바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하면서 갈등이 봉합된 적이 있다.

당시 중국은 2020∼2021년까지 미국 제품 구매를 최소 2천억 달러 늘리기로 했고,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중국의 대미 수입 확대를 대가로 광범위한 중국 상품에 대한 추가 고율관세 부과를 보류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92 [속보] 윤 대통령 "계엄 당시 군 열 몇 명 정도가 국회에 겨우 진입" 랭크뉴스 2025.02.04
46991 ‘부정선거 의혹’ 장동혁 논스톱 8분 질의에 김용빈 한 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4
46990 "채 해병 죽인 사람 당신 아니야!" "싸가지? 선 넘네?" 국조특위에서 맞붙은 두 의원 [엠빅뉴스] 랭크뉴스 2025.02.04
46989 한동훈, 보수 원로에 이어 유인태 만나 "12·3 계엄 때 대통령 말 바꿔‥내가 경솔했다" 랭크뉴스 2025.02.04
46988 [속보]윤석열 “호수 위에 떠있는 달그림자 쫓는 느낌”…내란 행위 실체 없다 주장 랭크뉴스 2025.02.04
46987 곽종근 前특전사령관 “의원 아닌 요원? 빼낼 요원 없었다” 랭크뉴스 2025.02.04
46986 [속보] 이진우 "비상계엄 적법하다고 생각" 랭크뉴스 2025.02.04
46985 尹측 "이념·소신 버리고 양심 따라 판단하라" 헌재에 당부 랭크뉴스 2025.02.04
46984 ‘내란 피의자’ 윤석열, 법원에 ‘구속 취소’ 청구 랭크뉴스 2025.02.04
46983 무속인 비단 아씨 “김용현 생년월일 가져온 노상원” [영상] 랭크뉴스 2025.02.04
46982 오프라인까지 번지는 극우 ‘좌표 찍기’···일자리 찾아와 “탄핵 찬성 누구냐” 랭크뉴스 2025.02.04
46981 [비즈톡톡] 日선 생중계로 ‘딥 리서치’ 발표, 韓선 비공개 행사… 샘 올트먼의 노림수? 의도된 차별? 랭크뉴스 2025.02.04
46980 낙동강 주민 코에 ‘녹조 독소’…환경부 민관 합동조사 하겠다지만 랭크뉴스 2025.02.04
» »»»»» 미, 대중 추가관세 10% 공식 발효…中, 원유·LNG 등에 맞불 관세 랭크뉴스 2025.02.04
46978 "언론사 단전·단수" "싹 다 잡아들여"···101쪽 분량 尹 공소장 공개 랭크뉴스 2025.02.04
46977 중국, 트럼프에 맞대응…미국산 석탄·석유에 15% 보복 관세 랭크뉴스 2025.02.04
46976 [속보] 이진우 전 사령관 “윤 대통령, 병력 투입은 적법” 랭크뉴스 2025.02.04
46975 中, 관세에 자원 통제·기업 제재까지 얹어 반격… G2 무역전쟁 향방 어디로 랭크뉴스 2025.02.04
46974 “‘테스트(예)’는 노상원 비화폰이죠!” 추궁에, 경호처 답변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4
46973 전한길 '부정선거론' 논란에 유명 강사 강민성 "부끄럽다" 랭크뉴스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