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이 비화폰 관리와 관련해 김대경 대통령 경호처 지원본부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일 12·3 비상계엄 사태의 비선 실세로 지목된 민간인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도 대통령경호처가 비화폰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주요 공직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지급되는 비화폰이 민간인인 노 전 사령관에게도 제공됐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노 전 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준 것이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으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에서는 비화폰 관련 의혹에 “확인해줄 수 없다, 양해 바란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청문회에서 김대경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에게 질의하며 “여러 루트로 확인한 결과 경호처에서 노상원 씨에게 직접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그 사항은 정확하게”라며 말을 흐렸다.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는 비화폰을 담당하는 부서다. 비화폰은 도·감청과 통화 녹음이 불가능한 보안전화로 대통령 등 주요 공직자에게 지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의원은 “계엄 하루 전인 12월2일 민간인인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주라고 한 사람이 있다”며 “경호처의 김성훈 차장 비서관이 와서 비 화폰 가져갔지 않나”라고 물었다. 김 본부장은 “확인해보겠다”고만 답했다. 윤 의원은 “김성훈 차장이 내란의 비선 설계자인 노상원에게 비화폰을 바쳤다는 것은 김성훈 차장이 사전에 비상계엄을 알고 함께 공모했다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이외에도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도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는 비화폰 불출대장을 제시하며 “‘테스트 특’은 특수전사령관한테 비화폰을 줬다는 것이고 ‘테스트 수’는 수방사령관한테 줬다는 것이다. ‘테스트 예’가 바로 노상원 씨한테 간 비화폰입니다. 예비역이라고 해서 예자를 썼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12월13일 김성훈 경호처장이 본부장한테 지시를 한다. 자신이 내란의 관련인인 것을 두려워서 관련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한다. 그 요구 받은 적 있나”라며 “본부장님과 실무자들이 버텨서 기록을 삭제하지 않았다고 들었다. 용감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본부장님과 실무자들이 온몸으로 막았다고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