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 “이틀째 제3자 특검 추천 발의”
대통령실 “공수처 수사 우선” 불쾌감
당권주자들도 일제히 견제 나서
국민의힘 당대표 출마 선언을 한 윤상현 의원(앞줄 왼쪽부터),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초선 의원 공부모임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7·23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출마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당대표가 되면 ‘채 상병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예고하며 대통령실과 본격적 ‘차별화’에 나서자 24일 대통령실과 친윤석열계에서는 불쾌한 반응을 보였다. 나머지 당권 주자들도 “당정이 파탄 난다”며 일제히 한 전 위원장을 집중 공격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에 “채 상병 특검에 대한 대통령실의 입장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 수사기관의 수사 결과 진상 규명이 미진하다고 판단될 때 특검법을 발의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수사 결과를 보고 특검을 판단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기존 입장을 확인한 것으로, 전날 “공수처 수사 종결 여부를 특검법 발의 조건으로 달지 않겠다”고 말한 한 전 위원장을 직접적으로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하지만 한 전 위원장은 이날도 에스비에스(SBS) 라디오에 출연해 “그동안 충분히 설명할 기회를 실기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순하게 그런 법적인 논리를 가지고 특검은 안 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며 제3자가 특별검사를 추천하는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한 전 위원장과 가까운 인사는 “한 전 위원장은 (용산과) 차별화하고, 분명한 의사를 밝히고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위원장의 러닝메이트로 이날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한 장동혁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무작정 대통령 의중을 살펴서 의중대로 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싸우는 게 잘 싸우는 건지, 어떤 방법이 정쟁에서 벗어나 민생 현안으로 갈 수 있는지 창조적인 전략과 대안을 제시하는 게 진정 대통령을 위한 것”이라고 했다. 여당 내 소장파로 꼽히는 김재섭 의원도 페이스북에 ‘제3자가 특검을 추천하자’는 한 전 위원장의 제안을 “충분히 합리적”이라고 평가하며 힘을 실었다.

대통령실과 친윤계는 격앙된 감정을 드러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 전 위원장이 나름의 작전 카드로 들고나온 것 같은데, 당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득이 될지 모르겠다”고 했다. 한 친윤계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이 이런 식으로 자기 정치를 하는 데 대해서 윤석열 대통령이 화가 나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친윤계 의원은 “언론에 특검 한다고 선동하고, 대통령을 탄핵 분위기로 몰고 가겠다는 거 아니냐”며 “필요할 때는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팔아먹고, 단물만 빨아먹고 대통령을 이용하냐”고 반발했다. 친윤계 의원들은 한 전 위원장의 채 상병 특검법 입장이 당원들의 반발을 사 표심이 떠나갈 것이라 내다봤다.

당권 주자들도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집중 견제에 나섰다. 윤상현 의원은 와이티엔(YTN) 라디오에서 “반윤으로 만약 당대표가 되면 매번 이런 식으로 당 운영을 해나갈 거냐”며 “당정이 파탄 난다. 그럼 윤 대통령 탈당을 원하는 거 아니냐”고 말했다. 나경원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여론에 따라간다면, 요즘 민주당이 특검법을 너무 많이 발의하는데 다 받을 거냐. ‘한동훈 특검법’도 발의됐는데, 그것도 받을 거냐”고 했다.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도 윤석열 정부 초대 법무부 장관으로 1년7개월간 재임한 한 전 위원장을 겨냥해 “김건희 여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을 지난 2년간 검찰이 수사했는데 결론을 냈느냐”며 “민주당의 특검 소재로 주렁주렁 끌려오는데 2년 동안 우리 법무부는 뭘 했고, 우리 사법부는 무엇을 했고, 여당 지도부는 뭘 했느냐”고 꼬집었다.

한 전 위원장을 비판해온 홍준표 대구시장은 페이스북에 “현 정권과의 차별화는 대선 1년 전부터 시작돼야 하는데 얼치기 후보는 벌써부터 현 정권을 흔든다”며 “본인 특검 받을 준비나 하라”고 적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8957 상반기 신명품 인기 컬러, '베이비 블루'인 이유는 랭크뉴스 2024.06.25
38956 [속보] 해경 “침몰 추정 어선 정상 항해 중…신호만 끊겨” 랭크뉴스 2024.06.25
38955 [속보]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22시간여 만에 완진…수색 계속 랭크뉴스 2024.06.25
38954 “엄마, 일요일에 회사 가?”…주말도 워라밸도 사라졌다 랭크뉴스 2024.06.25
38953 공정위 VS 쿠팡…알고리즘 놓고 날 선 공방전 랭크뉴스 2024.06.25
38952 "그자가 내 가정도 파괴했습니다"…또 고소당한 무속인 수법 랭크뉴스 2024.06.25
38951 혼다 오토바이 ‘슈퍼커브’ 단종한다 랭크뉴스 2024.06.25
38950 [단독] 최태원 회장, 아들과 어깨동무… 다정한 모습 포착 랭크뉴스 2024.06.25
38949 [Why] 왜 ‘한국’ 맥도날드만?... 3년 만에 감자튀김 공급 또 끊긴 이유 랭크뉴스 2024.06.25
38948 OB맥주 팔고 빚내서 산 두산밥캣…17년 만에 빛 본다 랭크뉴스 2024.06.25
38947 코스피·코스닥 강보합 출발… 반도체는 엔비디아發 약세 랭크뉴스 2024.06.25
38946 [속보] 해경 “제주 침몰 추정 어선 정상 항해 중…신호만 끊겨” 랭크뉴스 2024.06.25
38945 무더위 한풀 꺾여...낮 최고기온 24~29도 랭크뉴스 2024.06.25
38944 “승강기 오래 잡아뒀다고”…택배차에 ‘욕설’ 낙서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6.25
38943 북한 오물풍선에 기생충 '우글우글' 랭크뉴스 2024.06.25
38942 [속보] 제주 해상서 12명 탄 어선 침몰 추정‥수색 중 랭크뉴스 2024.06.25
38941 [속보] 제주 해상서 12명 탄 어선 침몰 추정 사고…경비함정 급파 랭크뉴스 2024.06.25
38940 "고교생 막내는 어쩌고..." "누나 좀 찾아주세요"... 화성 화재 빈소 눈물바다 랭크뉴스 2024.06.25
38939 ‘22명 사망·1명 실종’ 화성 리튬전지 공장 오늘 합동감식 랭크뉴스 2024.06.25
» »»»»» 한동훈 ‘채상병 특검’ 차별화에…친윤 “대통령 탄핵 몰아가나” 랭크뉴스 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