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병원 등 소속 교수 529명 전면휴진
전체 진료 참여 교수 967명의 의 54.7%
62.7%에 그쳤던 수술장 가동률 33.5%로
환자·일부 의료단체, 의료계 휴진에 불만
16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노동조합 게시판에 대자보가 붙어 있다. 서울대병원 교수 529명이 17일부터 전체 휴진에 참여한다. 진료에 참여하는 교수 절반 이상이 휴진하는 것으로, 수술장 가동률 역시 반토막이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반발하고 있는 서울대병원 소속 교수들이 오늘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다.

17일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비대위는 이날부터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소속 교수 529명이 전면 휴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진료 참여 교수 967명의 54.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날 비대위는 오전 10시부터 서울대 의대에서 집회를 여는 한편, 오후 1시에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심포지엄 또한 진행할 예정이다. 교수들이 집단 휴진에 돌입하면서 62.7%에 그쳤던 수술장 가동률은 33.5%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서울대의대 비대위는 한시가 급한 중증·희귀질환자 진료까지 전면 중단하는 것이 아닌,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한 환자들의 정규 외래진료 및 전규 수술을 중단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울대의대 뿐만 아니라 의협 등 의대교수 단체 등도 오는 18일부터 집단 휴진에 나설 계획이다. 의협은 지난 16일 정부에 △의대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 △전공의·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처분 취소 및 사법처리 위협 중단 등을 요구한 바 있다.

환자들과 일부 의료단체는 의사들의 집단 휴진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지난 14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는 성명을 내고 의료계에 집단 휴진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넉 달째 진료를 거부하는 전공의들이 하루빨리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설득하는 대신, 전공의들에게 힘을 실어주기 위해 의대 교수들이 진료를 팽개치는 것은 정당성이 없다"라며 "중증·응급환자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치료 적기를 놓치게 만드는 집단 휴진을 철회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같은 날 대학병원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전국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도 입장문을 발표하고 집단 휴진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은 세 번째 의사단체 집단 휴진 불참을 선언에 해당한다. 협의체는 뇌전증 치료가 중단된다면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는 이유로 휴진에 불참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사단법인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등 92개 환자단체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이은영 한국백혈병환우회 공동대표는 “넉달 간의 의료공백기간동안 버티고 적응한 환자들에게 무기한 휴진 결의는 참담하고 절망적인 소식”이라며 “정부도 의료계도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 상황에서 고통받는 것은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라고 비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908 “결혼식 밥 안 먹으면 안 되나”…‘축의금’ 논쟁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4.06.17
39907 "성수보다 합정?" 20대부터 넥타이부대까지 다 잡은 마포 상권[마포구의 비밀③] 랭크뉴스 2024.06.17
39906 형제복지원 수사 검사의 추락 [현장에서] 랭크뉴스 2024.06.17
39905 푸틴 24년 만에 평양으로... 시진핑 넘어서는 北 '역대급' 환대 랭크뉴스 2024.06.17
39904 2011년생 동갑내기 발전소… 왜 석탄은 살아남고 풍력은 삽도 못 떴나 [창간기획: 초당적 '30년 전략' 짜자] 랭크뉴스 2024.06.17
39903 尹대통령 지지율, 1.4%p 떨어진 30.1%…10주째 횡보만 랭크뉴스 2024.06.17
» »»»»» 서울대병원 교수, 오늘부터 집단 휴진… 환자·의료계 불안감 랭크뉴스 2024.06.17
39901 "尹대통령 지지율 30.1%…10주 연속 30% 초반대"[리얼미터] 랭크뉴스 2024.06.17
39900 7만 명이 춤췄더니 땅이 '흔들'…지진까지 일으키는 스위프트 '위엄' 랭크뉴스 2024.06.17
39899 양육비 떼먹는 아빠의 직업은 ‘아동 학대’ 전문 인권변호사 [창+] 랭크뉴스 2024.06.17
39898 ‘50도 육박’ 사우디 메카 성지순례서 요르단인 14명 숨져 랭크뉴스 2024.06.17
39897 "직접 벌어 해결해라" 아들을 거리로 내몬 이유는? 랭크뉴스 2024.06.17
39896 박세리 집 강제 경매 넘어갔다…직접 설계한 '나혼산' 그 건물 랭크뉴스 2024.06.17
39895 엔비디아 못지 않네…Z세대 사로잡은 K컬처 ETF 수익률 '쑥쑥' 랭크뉴스 2024.06.17
39894 “도우미, 가정부, 파출부, 식모 아닌 근로자입니다”…법 시행 2년 휴·폐업 왜? 랭크뉴스 2024.06.17
39893 서울대병원, 오늘부터 휴진…정부 “진료거부 방치 엄정 대응” 랭크뉴스 2024.06.17
39892 법사위, 소위 열어 채 상병 특검법 심사…여당 불참할 듯 랭크뉴스 2024.06.17
39891 [최훈 칼럼] 여의도에 공룡이 산다 랭크뉴스 2024.06.17
39890 김 여사 도움으로 韓서 수술…누워만 있던 아이, 이젠 뛴다 랭크뉴스 2024.06.17
39889 "제발 승진시키지 마세요"…가늘고 길게 가고 싶은 '임포족'을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