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테일러스위프트 SNS 캡처

[서울경제]

세계적인 미국의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가 역대 최대 규모의 월드 투어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스코틀랜드 공연에서 지진으로 인정될 규모의 진동이 일어났다고 전해졌다.

13일(현지시간) 미 CNBC 뉴스 등 외신은 "스위프트의 7만 3000명 관중이 춤과 함성만으로 땅을 흔들어 놓았다"라고 보도했다.

실제로 영국 지질조사서(BGS)는 지난 7일부터 3일간 스위프트의 '디 에라스 투어' 공연이 진행된 스코틀랜드 머리필드 스타디움에서는 하루도 빠짐없이 지진계를 작동할 수 있는 수준의 진동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BGS는 "공연장에서 6㎞ 이상 떨어진 연구소에서도 진동을 감지했으며, 이는 과학적으로도 '지진'으로 인정 가능한 수준"이라며 "또 3일 중 가장 큰 지진이 감지된 7일에는 지면이 최대 23.4nm(나노미터) 움직였다"라고 설명했다.

칼럼 해리슨 BGS 지질학자는 "이날 콘서트장에는 차량용 배터리 최대 16대를 충전할 수 있는 80kW(킬로와트)가량의 에너지가 발생했다"며 "스코틀랜드인들이 세계에서 가장 열정적인 관중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라고 자찬했다. 스코틀랜드 사상 최대 관중이 일으킨 이 진동은 특히 스위프트의 최고 히트곡인 'Cruel Summer', 'Champagne Problems', 'Shake It Off' 등을 노래할 때 가장 크게 일었다고 알려졌다.

스위프트의 공연에서 '지진 급' 진동이 인 것은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7월 22~23일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루먼필드에서 열린 스위프트의 두 차례 공연 내내 인근 관측소의 지진계에 규모 2.3의 진동이 감지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스위프트 지진'(Swift Quake)이라는 별칭을 붙이기도 했다. 이 스위프트 지진은 2011년 같은 장소에서 미국 프로풋볼(NFL) 시애틀 시호크스 경기 도중 관측된 '비스트(괴물) 지진' 기록을 경신했다. 당시 '비스트 모드'라는 별명을 가진 선수 마숀 린치가 인상적인 터치다운에 성공하자 관중들이 일제히 일어나 환호했고, 그 진동은 지진계에 규모 2.0으로 관측됐다. 비스트 지진과 스위프트 지진의 진동 규모는 0.3차이지만, 한 지진학자는 "흔들림은 2배 이상 강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미식축구에서 터치다운 후의 함성은 일시적이지만, 콘서트에서는 함성뿐 아니라 음악·스피커 비트 등의 진동이 계속해서 땅을 파고들어 꾸준히 진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902 서울대병원 교수, 오늘부터 집단 휴진… 환자·의료계 불안감 랭크뉴스 2024.06.17
39901 "尹대통령 지지율 30.1%…10주 연속 30% 초반대"[리얼미터] 랭크뉴스 2024.06.17
» »»»»» 7만 명이 춤췄더니 땅이 '흔들'…지진까지 일으키는 스위프트 '위엄' 랭크뉴스 2024.06.17
39899 양육비 떼먹는 아빠의 직업은 ‘아동 학대’ 전문 인권변호사 [창+] 랭크뉴스 2024.06.17
39898 ‘50도 육박’ 사우디 메카 성지순례서 요르단인 14명 숨져 랭크뉴스 2024.06.17
39897 "직접 벌어 해결해라" 아들을 거리로 내몬 이유는? 랭크뉴스 2024.06.17
39896 박세리 집 강제 경매 넘어갔다…직접 설계한 '나혼산' 그 건물 랭크뉴스 2024.06.17
39895 엔비디아 못지 않네…Z세대 사로잡은 K컬처 ETF 수익률 '쑥쑥' 랭크뉴스 2024.06.17
39894 “도우미, 가정부, 파출부, 식모 아닌 근로자입니다”…법 시행 2년 휴·폐업 왜? 랭크뉴스 2024.06.17
39893 서울대병원, 오늘부터 휴진…정부 “진료거부 방치 엄정 대응” 랭크뉴스 2024.06.17
39892 법사위, 소위 열어 채 상병 특검법 심사…여당 불참할 듯 랭크뉴스 2024.06.17
39891 [최훈 칼럼] 여의도에 공룡이 산다 랭크뉴스 2024.06.17
39890 김 여사 도움으로 韓서 수술…누워만 있던 아이, 이젠 뛴다 랭크뉴스 2024.06.17
39889 "제발 승진시키지 마세요"…가늘고 길게 가고 싶은 '임포족'을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4.06.17
39888 "홍대병의 고장, 마포구 상권이 오래가는 이유" 도보마포 신현오 인터뷰 [마포구의 비밀④] 랭크뉴스 2024.06.17
39887 [무너지는 제주 부동산] ③카페·민박 수요 넘치던 빈집… 이제는 마을마다 흉물로 방치 랭크뉴스 2024.06.17
39886 [단독] “군장학생·3사 출신 장교, 육아휴직 불허”…출신 차별하는 국방부[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6.17
39885 李 ‘애완견’ 후폭풍… 여권“희대의 망언” 친명 “그것도 높임말” 랭크뉴스 2024.06.17
39884 다가오는 채상병 순직 1년…밝혀진 것과 밝혀야 할 것들 [뉴스AS] 랭크뉴스 2024.06.17
39883 '휴진 불참' 신경과 교수 "10년 후 의사 수 때문에 지금 환자 죽어도 되나" 랭크뉴스 202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