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광주광역시 동구의 한 신축 아파트가 1차 사전 점검 당시 세대 당 100~150건에 달하는 하자 지적을 받았다. 사진은 입주 예정자가 공용 공간 벽면 부실 마감을 지적하는 모습. 황희규 기자
14일 오전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H아파트 신축 현장.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는데도 지하 주차장 벽면엔 누수 자국들이 남아 있었다. 집 안에 들어가 보니 일부 세대의 벽지가 뜯겨 있거나 예비 화장실의 변기 설치가 완료되지 않는 등 곳곳이 보수 중이었다.

이 아파트의 민재홍 입주예정자 대표는 “가구마다 하자가 평균 150건이 나왔다. 공용 공간의 하자는 수백 건으로 셀 수 없을 정도”라고 주장했다.



“가구당 150건 하자”…입주 거부
광주광역시 동구의 한 신축 아파트가 1차 사전 점검 당시 세대 당 100~150건에 달하는 하자 지적을 받았다. 사진은 해당 아파트 세대 내 마감 불량과 외부에 벽돌이 떨어져 나간 모습. 사진 독자
광주에서 준공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파트에서 다수의 하자가 발견돼 입주예정자들이 준공승인 취소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아파트 전체를 대상으로 하자를 집계한 결과 시공·부속품·마감 불량, 누수 등 수백건에 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4일 광주 동구 등에 따르면 구청은 금남로에 위치한 99가구 규모의 신축 아파트에 대해 지난 4월 25일 준공을 승인했다. 이후 지난달 31일부터 사전 입주가 시작됐지만, 다수의 하자가 발견되면서 입주예정자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입주를 거부하고 있다.

입주예정자들은 ▶벽지 마감 불량 ▶화장실 변기 미설치 ▶공용 공간 보수 불량 ▶화장실·거실의 전선 노출 ▶스위치·싱크대·타일 등 마감 상태 불량 ▶계단 손잡이 미고정 등을 주된 하자로 꼽고 있다. 이들은 시공사 측에 하자보수를 촉구하는 한편, 인·허가권자인 동구에는 입주 시기 연장을 요청했다.



“집 곳곳이 하자보수” VS “75% 보수 완료”

광주광역시 동구의 한 신축 아파트가 1차 사전 점검 당시 세대 당 100~150건에 달하는 하자 지적을 받았다. 사진은 입주 예정자들이 하자로 지적한 아파트 공용 공간의 모습. 황희규 기자
입주예정자들은 H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고가의 아파트라는 점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크다. H아파트의 3.3㎡(평)당 분양가는 2330만원으로, 분양 당시인 2022년 광주지역 평균 분양가(1530만원)를 크게 웃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분양 당시 ‘광주지역 최초 2층집(펜트하우스)’으로 홍보한 H아파트는 지하 4층~지상 25층 2개 동 규모로 총 99세대가 분양됐다. 이중 34세대는 분양됐고, 나머지 65세대는 미분양 상태다.

입주예정자 박모(45·여)씨는 “발코니 확장 비용 등을 감안하면 17억원을 들인 아파트인데, 하자보수조차 안됐다”며 “현장 상황이 심각한 데도 준공 승인을 내준 동구청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동구청 관계자는 “해당 아파트는 중대한 하자가 아닌, 마감 자제에 대한 하자 부분이어서 준공 승인이 이뤄졌다”며 “광주시의 품질검수를 마쳤고, 75%가량 하자보수가 완료됐다는 게 시공사 측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준공승인 취소하라”…동구청 앞 규탄 집회

광주광역시 동구의 한 신축 아파트가 1차 사전 점검 당시 세대 당 100~150건에 달하는 하자 지적을 받았다. 사진은 상가 계단과 벽면 틈 사이가 벌어진 모습. 사진 독자
입주예정자 20여명은 이날 오전에도 동구청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열고 준공 승인 철회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계약 당시 호텔급 인테리어로 입주 예정자들을 꼬드겨 광주지역 다른 아파트보다 평당 400~500만원 비싸게 분양해놓고 부실시공을 했다”며 “동구청은 준공 승인을 취소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공사 측에 ▶입주 지정일 연기 ▶중도금 이자 대납 ▶2년간 잔금 납부 유예 ▶분양가 하향 조정 ▶발코니 확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민 대표는 “시공사 측에 입주예정자들의 요구사항을 담은 내용증명까지 보냈지만, 아무런 답변도 없다”며 “평당 2300만원이라는 높은 가격에 분양받은 입주예정자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340 대통령실도 거든 ‘배임죄 폐지’, 주무부처 법무부는 “검토 없어” 랭크뉴스 2024.06.16
35339 미 전문가 “조류 인플루엔자 사람 감염 확산 시간 문제” 랭크뉴스 2024.06.16
35338 명의는 "거세" 21번 말했다…50대 되면 이 검사 필수다 랭크뉴스 2024.06.16
35337 이재명 팬클럽, 급기야 판사 탄핵 돌입…"국회가 파면시켜라" 랭크뉴스 2024.06.16
35336 '박세리 도움'으로 3천억 골프관광?‥정부, 뒤늦게 "속았다?" 랭크뉴스 2024.06.16
35335 대통령실, 상속세율 50%→30% 대폭 완화 검토…종부세 폐지와 동시에 랭크뉴스 2024.06.16
35334 정부, 의협 ‘3대 요구안’ 거부…집단휴진 현실화 랭크뉴스 2024.06.16
35333 지하주차장서 여성 납치해 카드로 900만원 인출…30대 체포 랭크뉴스 2024.06.16
35332 초청 못 받은 러·바이든은 불참…힘 빠진 ‘우크라이나 평화회의’ 랭크뉴스 2024.06.16
35331 당정 “취약층에 에너지 바우처 5만3000원 지원” 랭크뉴스 2024.06.16
35330 동해 ‘심해 탐사 시추’ 착수비 120억 일단 확보했지만… 랭크뉴스 2024.06.16
35329 ‘세계 최대 습지’ 브라질 판타나우, 올해 화재 733건…서울의 5.6배 면적 불탔다 랭크뉴스 2024.06.16
35328 “로켓배송 중단” 쿠팡 엄포에 “안 써” 뿔난 시민들 랭크뉴스 2024.06.16
35327 AI 대장 엔비디아 “오늘이 가장 싸다”…나만 소외될라 ‘포모’에 ‘빚투’ 고개 랭크뉴스 2024.06.16
35326 서울대병원 내일부터 무기한 휴진…다음 주 ‘의료대란’ 우려 랭크뉴스 2024.06.16
35325 "어릴 때 갖고 놀던 다마고치가 300만원?"…추억의 장난감들 얼마에 팔렸나 보니 랭크뉴스 2024.06.16
35324 테마주 열풍에 다시 불붙는 빚투… 20兆 돌파 올해 최대 랭크뉴스 2024.06.16
35323 독일서 유로2024 경기 앞두고 '곡괭이 위협'…경찰 총쏴 제압 랭크뉴스 2024.06.16
35322 "한국 공정위가 전 세계 관행을 법 위반이라 했다"...쿠팡, 美증권거래위원회에 공시 랭크뉴스 2024.06.16
35321 롯데하이마트, 판촉 사원 파견근무 종료하고 매장직 1400명 직고용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