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 관련 영상을 게시한 유튜버. 유튜브 갈무리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 가해자 신상을 폭로하며 주목받은 유튜버가 영상을 모두 삭제했다가 하루 만에 새로운 관련 영상들을 올리기 시작했다. 다른 유튜버들까지 신상 폭로나 사건 조명에 가세하는 한편 기성 언론이 이러한 유튜버들의 폭로 행보를 실시간으로 중계해 “사이버 렉카(온라인의 부정적 이슈에 관한 영상을 제작해 이익을 챙기는 사람)가 불 지핀 논란에 언론이 기름을 끼얹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유튜브 채널 ‘나락보관소’는 지난 7일 피해자의 동의 없이 가해자들의 신상을 공개했다는 비판을 받자 관련 영상을 모두 삭제했다. 그러나 하루 만인 8일 다시 신상공개 영상을 연달아 올리기 시작했다. 이어 또 다른 유튜버도 폭로에 가담하듯 피해자와의 통화라고 주장하며 녹취록과 판결문을 공개했다. 이런 유튜버들의 폭로는 실제 피해자가 동의했는지, 사실관계가 맞는지는 검증되지 않은 채 “○○○ 유튜버, 녹취록 공개” “밀양 성폭행 가해자 1명 ○○○ 근무” 등의 제목으로 기성 언론에서 다뤄졌다.

언론의 받아쓰기식 보도행태는 유튜버의 사적제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증폭시키고 콘텐츠화하는 핵심적 역할을 했다. 신미희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9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단순히 유튜브에 공개됐다고 해서 파장이 이토록 커지진 않는데 언론들이 유튜브나 커뮤니티에 올라온 내용을 경쟁적으로 받아쓰면서 사회적 파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며 “기성 언론의 무분별한 선정적 보도가 이번 사건에서도 휘발유를 끼얹는 격이 됐다”고 말했다.

윤김지영 창원대 철학과 교수는 “유튜버들은 레거시 미디어가 자신들의 일거수일투족에 따라서 왔다 갔다하는 모습을 보며 (자신들의 활동에 대한) 일종의 승인 장치로 느낀다”며 “단순히 ‘유튜버가 어떻게 했다’라고 쓰는 보도야말로 자극적인 콘텐츠를 소비하고 생산하게 만드는 트리거(방아쇠)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유튜버의 폭로에 언론이 추임새를 넣으며 사적제재 ‘광풍’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 관련 영상을 게시한 유튜버. 유튜브 갈무리


광풍 속에서 피해자의 목소리는 배제됐다. 앞서 나락보관소는 영상을 삭제할 땐 “피해자와 긴밀히 소통했다”며 또다시 거짓말을 반복했다. 영상 게시를 재개하면서는 “피해자분들의 연락을 간곡히 기다린다. 연락 두절이라 어찌할 방법이 없다”며 합리화했다. 이날 피해자에게 직접 받았다며 판결문을 공개한 다른 유튜버에 대해서도 피해자 동의 없이 판결문 전문을 올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들은 영상을 제작하기 전 피해자의 동의를 구하기보단 영상을 공개한 뒤 ‘피해자가 싫다면 영상을 내리겠다’고 통보하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 윤김 교수는 “피해자가 유튜버에게 연락을 취하는 것마저 통화가 녹음되거나 또 다른 유튜브 콘텐츠로 소비될 위험이 있다”며 “그럴 때 유튜버는 자신이 피해자와 직접 연락되는 사람이라는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피해자와의 관계를 언제든지 소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가해자 신상공개는 ‘정의구현’이라는 허울을 쓰고 유튜버와 언론의 사익 추구에 이용됐다. 지난 1일까지 구독자수가 4만8000명이던 나락보관소는 신상공개 영상 게재 후 4일 만에 구독자 50만명을 기록했으며 댓글을 통한 후원금을 받기도 했다. 유튜버 스스로도 커뮤니티 댓글을 통해 “수익은 달달한 게 맞다”고 밝혔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밀양 사건으로부터 20년이 지났지만 피해자가 유튜버들의 상업적 이윤 창출을 위한 경쟁에 이용되면서 피해자를 보호하지 못했던 과거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 사무처장은 “온라인상 조회 수가 폭발하는 사건이라서 그런지 언론이 유튜버 영상 중 네티즌의 분노를 자극할 만한 내용을 인터넷판 중심으로 받아쓰기했다”며 “유튜버들의 일방적 폭로와 다르게 사실 확인과 검증이라는 역할을 다 해야 한다는 언론의 책무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피해자 동의 없는데…누구를 위한 ‘정의 구현’인가2004년 발생한 ‘밀양 집단 성폭력 사건’의 가해자 신상을 폭로한 영상으로 주목을 끈 유튜버가 “피해자의 허락을 받았다”고 했지만 사실과 달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튜버...https://www.khan.co.kr/national/incident/article/202406070600045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6737 "중학생 입장 가능" "노래 맛집" 새벽까지 춤췄다…김포 청소년 클럽 적발 랭크뉴스 2024.06.09
36736 악성 루머 휘말린 손아섭...NC “사실무근, 법적 조치 예정” 랭크뉴스 2024.06.09
36735 의협 18일 하루 ‘총파업’…낮았던 참여율, 이번엔 다를까? 랭크뉴스 2024.06.09
36734 야당 주도 ‘상임위 배정’ 임박…“의회 독재”, “대통령 방탄” 프레임 공방 랭크뉴스 2024.06.09
36733 중국 간 푸바오, 2개월 만인 12일 공개…'학대 의혹' 진화될까 랭크뉴스 2024.06.09
36732 대북 방송 재개…“우발적 충돌 누그러뜨릴 수단 있어야” 랭크뉴스 2024.06.09
36731 “민희진, 하이브 떠나라” BTS 해외팬 국제청원 5만명 육박 랭크뉴스 2024.06.09
36730 "잠깐 할 얘기 있다"…여자친구 불러내 흉기로 살해한 20대 랭크뉴스 2024.06.09
36729 [영상]'오물 풍선' 도발에 '대북 확성기' 맞불… 남북 정면충돌 랭크뉴스 2024.06.09
36728 애플 새 AI는 ‘애플 인텔리전스’?…10일 WWDC 개막 랭크뉴스 2024.06.09
36727 숏폼 대응 부족했나…네이버, 인스타에 두달 연속 밀렸다 랭크뉴스 2024.06.09
» »»»»» 신상공개 유튜버식 ‘정의구현’이 남긴 것…“기성 언론도 렉카 따라가” 랭크뉴스 2024.06.09
36725 청와대 근처까지 오물풍선… 7월 남풍 불면 ‘무용지물’ 랭크뉴스 2024.06.09
36724 이정우 “민주당이 나서 종부세 폐지라니 억장 무너진다” 랭크뉴스 2024.06.09
36723 이재명은 반대했다는데···민주당 ‘대표 사퇴 예외’ 허용하기로, 왜? 랭크뉴스 2024.06.09
36722 與박대출 "전국민 25만원 줄 돈으로 동해 시추 130번 가능" 랭크뉴스 2024.06.09
36721 의협 “18일 전면 휴진…찬반투표서 90.6% 찬성” 랭크뉴스 2024.06.09
36720 군, 오늘부터 최전방 여러 곳에서 대북 확성기 가동 랭크뉴스 2024.06.09
36719 "민망해요" 여름철 남성들 남모를 고민 '여유증'이 뭐길래 [건강한 가족] 랭크뉴스 2024.06.09
36718 연신내역 직원 감전사…"29년차 전기 베테랑" 동료는 오열했다 랭크뉴스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