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마 합법화에 마약 밀매 등 범죄 급증…"'코리안 데스크' 확충 필요"


드럼통에 든 시신 발견한 태국 경찰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최근 태국에서 한국 관광객이 납치·살해된 사건이 태국 안팎에 충격을 줬다.

신체 일부를 훼손한 시신을 드럼통에 넣어 저수지에 유기한 엽기적인 범행이 현지 매체에도 상세히 보도됐다.

태국은 6.25 전쟁에 참전한 우방이자 동남아 한류 중심지다. 한국 관광객이 즐겨 찾는 여행지이기도 하다.

올해 태국에 입국한 외국인 중 한국인이 중국, 말레이시아, 러시아에 이어 네 번째로 많았다. 올해 들어 지난 19일까지 한국인 76만여명이 입국했다.

이처럼 교류가 활발한 가운데 최근 한국인 연루 범죄 등 불미스러운 사건이 늘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약 관련 범죄가 자주 발생한다.

태국은 2022년 대마를 합법화해 관광객이 손쉽게 대마를 구할 수 있다. 대마 외에 각종 합성마약도 성행한다.

태국은 한국으로 밀반입되는 불법 마약의 최대 공급국이기도 하다.

'골든 트라이앵글'로 불리는 미얀마·라오스·태국 접경 지역에서 생산된 마약이 태국을 거쳐 한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태국 한국대사관은 지난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한국 국민이 필로폰(메스암페타민), 케타민 등 불법 마약을 투약하거나 밀반출하는 등 범죄에 연루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우리 국민이 관련 범죄에 연루돼 검거·체포되면 현지에서 중형을 선고받게 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한국에서는 불법인 대마초를 피우는 경우도 문제지만, 마약 밀매 등 중범죄 사례도 늘고 있다.

대사관에 따르면 A씨는 한국으로 밀반출할 목적으로 다량의 마약을 몸에 숨기고 출국하려다 검거돼 태국에서 복역 중이다.

B씨는 금전을 대가로 모르는 사람 요청을 받아 마약이 든 가방을 한국에 전달해 주려다 검거됐다.

C씨는 다량의 마약 소지·판매 혐의로 방콕 거리에서 체포됐고, D씨는 모르는 사람에게 마약이 든 것으로 추정되는 커피를 받아 마시고 이상 증세를 보였다.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은 마약 외에 불법 도박 사이트나 보이스피싱 등 온라인 범죄 근거지로도 꼽힌다.

방콕 시내 대마 판매점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태국은 동남아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국가로 꼽히지만 완전한 '안전지대'는 어디에도 없다.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태국은 총기 소지가 허용된 국가다.

지난해 11월에는 태국 수도 방콕 시내 고급 쇼핑몰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발생해 중국 관광객 등 2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

태국 정부는 이 사건으로 '최대 고객'인 중국 관광객 입국이 주춤하자 안전 우려를 불식하겠다며 중국 경찰과 태국 경찰의 합동 순찰 계획을 내놨다.

주권 침해 논란 등이 일면서 중국 경찰 배치는 없던 일이 됐지만, 태국 당국은 중국 범죄자 단속 등 안전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태국에서 한국인 연루 범죄를 줄이는 것은 한국 국민 안전은 물론 양국 관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한 교민은 "한국인 연루 사건으로 교민 사회 분위기도 좋지 않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태국으로 오는 범죄자가 늘어난 것 같은데 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카지노 합법화가 이뤄지면 더 많은 범죄자가 들어올까 벌써 걱정"이라고 말했다.

정부 차원에서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 지역이 한국 범죄조직의 본거지가 되거나 범죄자 도피처가 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한국인 관련 범죄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단속과 처벌, 송환 등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며 "경찰 주재관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사관에서 전반적인 재외국민 보호 업무를 하는 경찰 영사 외에 한국인 관련 강력 사건 등을 전담하는 파견 경찰인 '코리안 데스크'는 태국에는 1명 뿐이다. 인근 필리핀의 경우 3명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4125 ‘아재 신발’로 불리던 아식스의 귀환 …실적·수익성·주가 모두 ‘힙’하네 랭크뉴스 2024.06.03
34124 "또 먹거리 가지고 장난을 쳐?" 질병 예방치료 식품 불법 부당광고 적발 랭크뉴스 2024.06.03
34123 "동해 석유·가스전 매장 가치 삼성전자 시총 5배…성공확률 20%" [속보] 랭크뉴스 2024.06.03
34122 접경지역 주민들 "대북전단 살포 중단해야‥군사충돌 비화 우려" 랭크뉴스 2024.06.03
34121 최태원 “심려 끼쳐 사과···반드시 진실 바로잡겠다” 랭크뉴스 2024.06.03
34120 정부 “대북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자제요청 불가 재확인 랭크뉴스 2024.06.03
34119 김호중 "날 먹잇감으로 던졌다"… 경찰 "인권침해? 동의 못해" 랭크뉴스 2024.06.03
34118 대표실을 화장실 앞에?···조국혁신당이 로텐더홀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연 이유는 랭크뉴스 2024.06.03
34117 박정희 때도 "석유 있다" 했지만 해프닝으로 끝난 포항 영일만 랭크뉴스 2024.06.03
34116 전공의 전원 복귀 방침 포기? 정부 "사직서 수리금지 명령 철회 검토" 랭크뉴스 2024.06.03
34115 R&D 예산 깎을 땐 언제고…“예타·일몰제 폐지해 장기 연구 지원” 랭크뉴스 2024.06.03
34114 천문학적 재산분할에···최태원 회장, 계열사 대표 긴급 호출 랭크뉴스 2024.06.03
34113 ‘석유 140만 배럴’… 한국, 세계 15위권 산유국 되나 랭크뉴스 2024.06.03
34112 곧 노인 되는 60년대생에게 물었더니 “부모·자녀 모두 부양” 15% 랭크뉴스 2024.06.03
34111 [속보] 최태원 "SK 성장史 부정 판결 유감…진실 바로잡겠다" 랭크뉴스 2024.06.03
34110 [단독] 北 '확성기 포비아' 근원은…"MZ 군인 동요할까 두려움" 랭크뉴스 2024.06.03
34109 푸틴 방문에도 가스관 계약 불발 이유는 中 “깎아달라” 요청 때문 랭크뉴스 2024.06.03
34108 고물가 속 ‘집밥’ 인기에 덩달아 잘 팔린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4.06.03
34107 警 "김호중 공개 귀가 조치 인권침해 아니다…다른 피의자도 그렇게 해” 랭크뉴스 2024.06.03
34106 지난해 종부세 납세자 61% 감소…1년 만에 78만 명 줄어 랭크뉴스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