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네, 그럼 오늘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 대통령실 출입하는 강연섭 기자와 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강연섭 기자, 윤 대통령이 5·18 정신을 헌법에 담겠다고 이야기를 할지 주목됐는데, 결국에는 언급이 없었네요?

◀ 기자 ▶

네. 여야 정치권이 모처럼 한목소리를 냈기 때문에 이번에는 담기지 않을까? 이런 기대와 관측이 많았는데요.

오늘 대통령의 기념사에서 개헌과 헌법이라는 단어조차 없었습니다.

재작년과 작년 기념사에는 "오월 정신이 헌법 그 자체"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었습니다.

이번에 오히려 후퇴했다고 볼 수도 있는데요.

맹탕 기념사였다는 혹평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윤 대통령은 오늘 경제적 불평등을 언급하며 "풍요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게 오월 정신을 계승하는 거다"라고 말했는데요.

'5·18 민주화운동 기념사를 한다면서 약속 실천 대신 남은 3년의 국정 기조만 강조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오월 정신은 계승하되 '당장 개헌 요구는 수용할 수 없다.' 이렇게 보이는데요.

왜 개헌에 대해 침묵했을까요?

◀ 기자 ▶

네 '개헌'이라는 말 자체를 입에 담기가 부담스러웠을 겁니다.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개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5·18 정신을 헌법에 담는 것을 넘어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제한하는 '원포인트 개헌'을 주장하고 있고, 조국혁신당은 윤 대통령의 임기를 1년 단축하는 '4년 중임제'를 꺼내 들었습니다.

22대 국회가 압도적인 여소야대인 상황에서 실제 개헌 가능성도 그만큼 커졌다고 할 수 있는데요.

윤 대통령 입장에서는 개헌이라는 말 자체가 굉장히 불편할 거고, 그래서 개헌 논의의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언급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여야 입장차도 큰 것 같은데요.

이 5·18 정신을 담는 원포인트 개헌은 지난해에도 얘기가 나왔었는데, 가능성이 있을까요?

◀ 기자 ▶

여야는 개헌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지만, 시점과 방법을 놓고는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은 빠르게 개헌 논의를 하자는 입장인 반면에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원포인트'가 아닌 '제대로 된 개헌'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천천히 하자는 이야기인데요.

과거처럼 실질적인 진전 없이 서로 입장차만 확인하다가 결국, 아무런 결과물도 내놓지 못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 앵커 ▶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강연섭 기자 잘 들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476 “본인도 속상하겠죠”… 김호중 콘서트에 인파 수천명 운집 랭크뉴스 2024.05.18
27475 목줄 없는 개, 일가족 습격… 신고했더니 “증거 있냐” 랭크뉴스 2024.05.18
27474 신월성 2호기 원자로 자동 정지···원자로 냉각재 펌프 이상 랭크뉴스 2024.05.18
27473 '콘서트 강행' 김호중 "모든 죄와 상처 내가 받겠다" 심경 고백 랭크뉴스 2024.05.18
27472 결혼식장에 나타난 대형뱀 맨손으로 잡은 女…용감한 이유 보니 랭크뉴스 2024.05.18
27471 트레이닝복에 인형 끌어안고…한강 공원서 ‘잠 퍼자는 사람들’ 왜? 랭크뉴스 2024.05.18
27470 한달 만에 입 연 한동훈…“직구 때 KC인증 의무화는 과도한 규제” 랭크뉴스 2024.05.18
27469 "한번 써보면 멈출 수 없어" 사지마비 환자 뇌에 칩 이식‥결과는? 랭크뉴스 2024.05.18
27468 한동훈 “개인 직구 KC인증 의무화, 과도한 규제”...한 달 만에 입장 랭크뉴스 2024.05.18
27467 “온난화 피해는 전쟁에 필적… 1도 상승 때마다 GDP 12% 감소” 랭크뉴스 2024.05.18
» »»»»» 대통령, 왜 묵묵부답?‥여야 개헌엔 '속도 차' 랭크뉴스 2024.05.18
27465 한동훈 “해외직구 KC인증 의무화 규제 소비자 선택권 지나치게 제한” 랭크뉴스 2024.05.18
27464 4억 시세차익…세종서 줍줍 아파트 나온다 랭크뉴스 2024.05.18
27463 “정부 정책, 80년대식”… 법정싸움 패배에 전공의 격분 랭크뉴스 2024.05.18
27462 서울 아파트로 몰리며 전세가 1년 내내 상승…“비아파트 대책 필요” 랭크뉴스 2024.05.18
27461 한동훈 “개인직구 KC인증 의무화는 과도한 규제”…총선 이후 첫 현안 메시지 랭크뉴스 2024.05.18
27460 ‘멍 때리기’ 이어 ‘잠 퍼자기’ 대회…우승자 어떻게 뽑나보니 ‘웃음’ 절로 랭크뉴스 2024.05.18
27459 한동훈 "개인직구 KC인증 의무화는 과도한 규제…재고돼야" 랭크뉴스 2024.05.18
27458 법원에 탄원서 낸 뉴진스 멤버들‥"민 대표 해임 안 돼" 랭크뉴스 2024.05.18
27457 뺑소니 혐의 가수 김호중 18일 공연 그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