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계청·법무부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
지난해 국내 상주 외국인 143만명… 전년比 10%↑
근로자 64%, 300만원도 못 벌어… 300만원↑ 36%
90%는 아시아계… 수도권 거주하는 외국인 최다

한국에 거주하며 일하는 외국인 임금 근로자 절반 이상이 월평균 200만~300만원을 버는 것으로 집계됐다. 300만원 이상을 버는 외국인 임금 근로자는 36%에 달했는데, 전문인력·영주 목적 체류 자격자들이 대부분이었다.

통계청·법무부는 17일 이런 내용의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국내 체류 외국인들을 체류자격별로 세분화하고, 이들의 한국 생활상을 분석한 자료다.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에 외국인 근로자가 입국하고 있다. /뉴스1

우리나라 사는 15세 이상 外人 143만 ‘역대 최대’
우선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에 상주하는 15세 이상 외국인 수는 143만명으로 전년보다 12만9000명(9.9%) 증가했다. 증가 폭과 인구 수 모두 2012년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남성과 여성 비중은 각각 56.8%, 43.2%였다. 외국인 남성은 주로 취업을 위해, 여성은 주로 결혼을 위해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조사됐다. 체류자격별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비전문취업(91.2%), 전문인력(63.1%), 방문취업(58.3%) 등으로 높았다. 한편 결혼이민에선 여성이 79.6%를 차지했다.

이들 가운데 취업자 비중은 64.5%였다. 나머지 31.8%는 비경제활동인구, 3.7%는 실업자로 분류됐다. 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광·제조업이 44.6%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숙박음식업(18.4%), 사업·개인·공공서비스(15.5%), 건설업(12.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거주 외국인의 고용 현황 및 총소득 대비 지출 현황. /통계청 제공

외국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00만~300만원 미만’ 구간(50.6%)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300만원 이상’은 35.8%를 나타냈고, ‘100만~200만원’(9.9%)과 ‘100만원 미만’(3.7%)이 그 뒤를 이었다.

소득이 가장 많은 구간인 ‘300만원 이상’은 영주(51.8%), 재외동포(43.0%), 전문인력(43.0%) 등에서 많았다. ‘100만원 미만’과 ‘100만~200만원 미만’은 유학생(43.4%·44.6%)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임금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외국인의 월평균 총소득 비중은 ‘200만~300만원 미만’(32.8%), ‘없음’(29.8%), ‘300만원 이상’(24.4%)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총소득 대비 부문별 지출 비중은 생활비(39.4%), 국내외송금(23.2%), 저축(15.7%), 주거비(11.8%) 순이었으며, 국내외송금 횟수는 연평균 9.8회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9일 오후 경기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에서 열린 '아주 인터내셔널 데이'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각국의 국기와 전통의상을 입고 있다. /뉴스1

아시아계 비중 90% 달해… 60%는 수도권 살아
외국인의 국적은 아시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기타 아시아(33.8%), 한국계 중국(33%), 베트남(14.1%), 중국(9.4%) 등이다. 우즈베키스탄·필리핀·인도네시아·태국·몽골·캄보디아 등 기타 아시아 인구를 합친 아시아계 비중은 전체 90.3%에 달했다.

세부적으로 비전문취업은 기타 아시아(86.9%) 비중이 가장 높았고, 방문취업은 한국계 중국(84.5%)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인력은 기타 아시아(32.3%), 베트남(17.2%) 순이며, 유학생은 베트남(34.6%), 중국(29.9%)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결혼이민의 경우 기타 아시아(33.6%) 비중이 가장 컸고, 베트남(30.1%), 중국(15.1%) 순으로 집계됐다.

전체 외국인의 60.7%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방문취업(79.4%), 영주(76.7%), 재외동포(76.1%) 순으로 수도권 거주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문취업은 경기(40%), 동남권(16.8%), 충청권(16.2%) 순으로 거주 비중이 컸다.

거주 유형은 일반주택(58.3%), 아파트(18.8%), 기숙사(13.8%) 순으로 나타났다. 방문취업(84.6%), 재외동포(71.6%), 유학생(70.9%) 순으로 일반주택 거주 비중이 컸고, 비전문취업은 기숙사(52.0%), 비거주용 건물(20.2%) 등의 비중이 컸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4210 이재명, ‘1인당 25만원’ 민생지원금 공식 제안 랭크뉴스 2024.04.17
14209 위장전입·위장이혼은 기본?…‘아파트 부정청약’ 실태 보니 랭크뉴스 2024.04.17
14208 영국 ‘흡연퇴출법안’ 추진…“09년생부터 평생 담배 못 사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4.17
14207 [인터랙티브] 무죄, 승진, 사면…여전히 건재한 '그날'의 책임자들 랭크뉴스 2024.04.17
14206 [단독] 서울 대치동서 길 가던 여성 신체 만지고 도주했던 남성 붙잡혀 랭크뉴스 2024.04.17
14205 27조5000억원 현금배당 풀린다…코스피 평균 시가배당률 5년래 최고 랭크뉴스 2024.04.17
14204 한화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랭크뉴스 2024.04.17
14203 여전히 ‘자녀 돌봄’은 여성 몫···작년 ‘아내’ 분담 비율 78% 랭크뉴스 2024.04.17
14202 총선 1석 ‘새로운미래’ 지도부 총사퇴… 이낙연 “패배 책임” 랭크뉴스 2024.04.17
14201 '하루에 2년치?' 막 쏟아졌다‥사막도시 두바이에 생긴 일 랭크뉴스 2024.04.17
14200 난데없이 사막에 폭우… 홍수에 항공기 침수 대혼란 랭크뉴스 2024.04.17
14199 ‘사막 도시’ 두바이 폭우…“하루에 1년치 비 쏟아져” 랭크뉴스 2024.04.17
14198 비행기가 배처럼 떠다녔다…'사막 도시' 두바이 삼킨 1년치 폭우 랭크뉴스 2024.04.17
14197 양정철·박영선 기용설에 용산 발칵...박지원 "尹과 친한 건 맞아" 랭크뉴스 2024.04.17
14196 '박영선·양정철 인선설'에 與 한때 술렁…일각선 "후폭풍" 거론도 랭크뉴스 2024.04.17
14195 건국대 거위 때린 남성 붙잡혀…“장난쳤는데 먼저 공격” 주장 랭크뉴스 2024.04.17
14194 댓바람 인사보도에 정치권 '발칵'‥대통령실 "검토된 바 없다" 랭크뉴스 2024.04.17
» »»»»» 韓 거주 외국인 근로자 ‘절반’은 月 200만~300만원 번다 랭크뉴스 2024.04.17
14192 조국, ‘윤 비공개 사과’ 대통령실 주장에 “거짓말이라고 본다” 랭크뉴스 2024.04.17
14191 전국 미세먼지 ‘나쁨’…강원 영동·경북 황사 위기경보 ‘주의’ 랭크뉴스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