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작년 2월부터 1년 2개월째 금리 3.5% 유지
2% 웃도는 물가·美 연준 인하 지연 고려한 듯
”환율 변동성·지정학적 리스크 불안 등 여전”
소수의견 등장 가능성 주목… “인하 여건 조성”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물가안정 목표인 2%에 도달하지 않은 데다, 당초 6월로 예상되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도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2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5%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2·4·5·7·8·10·11월과 올해 1·2월에 이어 이번까지 10번 연속 금리를 묶어둔 것이다.

금통위는 의결문을 통해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높은 수준이고 주요국 통화정책과 환율 변동성, 지정학적 리스크의 전개 양상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여전히 크다”면서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고 대내외 정책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이날 동결 결정으로 기준금리는 1년 2개월째 유지됐다. 한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6%대로 치솟은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 지난 2021년 8월부터 작년 1월까지 금리를 연 0.5%에서 3.5%까지 올렸다. 그러나 지난해 연간 경제 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등 경기 부진이 예상되자 작년 2월부터 금리 인상을 멈췄다.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동결에 무게가 실렸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3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59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98%가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답했다. 직전 같은 조사 결과(100%)보다 동결 확률이 소폭 작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동결 전망이 우세한 가장 큰 이유는 여전히 불안한 물가 상황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올랐다. 올해 2월부터 2개월째 3%대 증가율을 유지하면서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웃돌고 있다. 사과·배 등 과일을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세를 지속하면서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국제유가 불안이 고개를 들면서 석유류 물가도 1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위축된 것도 한은이 금리 동결을 망설이는 배경으로 꼽힌다. 미국 노동부가 지난 10일(현지 시각) 발표한 3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5%오르면서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3.4%)를 웃돌았다. 작년 9월(3.7%)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연준이 6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기대도 크게 꺾였다.

최근 중동에서 이스라엘·이란 간 군사적 갈등이 고조되면서 국제유가가 들썩이고 있는 것도 우려스럽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작년 말 배럴당 70달러대에 머물던 북해 브렌트유(6월물)는 이달 초 91.17달러에 거래되면서 작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올 여름 유가가 배럴당 9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래픽=손민균

한은은 올해 상반기까지 현재 금리 수준을 오랫동안 끌고 갈 가능성이 크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월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개인적으로 6개월 내 금리 인하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 변화에 따른 연준의 금리 결정과 국제유가의 흐름 등을 지켜봐야 한다는 점에서다.

다만 일각에서는 경기 부진을 우려한 금통위원 중 일부가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소수 의견을 낼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높은 물가 수준도 문제지만 심화하는 경기 부진이 더욱 큰 골칫거리이기 때문이다. 수출 회복에도 고금리와 고물가,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민간 소비 위축 가능성은 커졌다. 한은은 지난 2월 발표한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민간소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6%대로 하향조정한 바 있다.

실제로 지난 2월 금통위에서도 3개월 후 적정 금리 수준을 묻는 질문에 금통위원 6명 중 1명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바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국내만 놓고 보면 통화정책 전환 여건이 충족된 만큼 금리인하 소수의견 출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한편 이날 금통위는 오는 20일 임기가 만료되는 조윤제·서영경 금통위원이 참여하는 마지막 통화정책방향회의다. 두 위원은 2020년 4월 21일 금통위에 합류한 뒤 4년 가까이 기준금리 결정에 참여하고 있다. 한은 내에서는 매파(긴축 선호)로 분류된다. 둘 중 매파색이 더 짙은 조 위원은 마지막 회의에서도 취재진에게 “(기준금리를) 확 올려버릴까요?”라는 농담을 던지며 자신의 성향을 드러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2046 이재명 “尹 당연히 만나 대화해야…지금까지 못한 것이 아쉬워” 랭크뉴스 2024.04.12
12045 "집에 가서 애나 봐!" "김 주인님"... 악플도, 실수도 세탁이 되나요 [치유 레시피] 랭크뉴스 2024.04.12
12044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5%로 10회 연속 동결 랭크뉴스 2024.04.12
12043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3.50%로 결정...10연속 동결 랭크뉴스 2024.04.12
12042 쿠팡와우 멤버십, 내일부터 월 7890원으로 변경 랭크뉴스 2024.04.12
12041 한은, 기준금리 연 3.5%로 10연속 동결 랭크뉴스 2024.04.12
12040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3.5%로 동결…“물가 아직 높은 수준” 랭크뉴스 2024.04.12
12039 ‘총선 압승’ 야권 “사실상 정권교체” “윤, 정신차리고 이재명 만나라” 랭크뉴스 2024.04.12
12038 금감원, OK캐피탈 현장 검사… 부동산 PF 수수료 실태 점검 랭크뉴스 2024.04.12
12037 "정치 아이돌 착각한 한동훈, 셀카로 말아먹어" 또 독설 랭크뉴스 2024.04.12
» »»»»»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5% 동결… 10연속 제자리 랭크뉴스 2024.04.12
12035 쿠팡, 와우 멤버십 2년만에 인상…4990원→7890원으로 랭크뉴스 2024.04.12
12034 국민의힘 박정훈, “‘쓴소리 당대표’ 프레임은 함정···내부 총질 많이하는 분 있더라” 랭크뉴스 2024.04.12
12033 '슈스케2' 출신 가수 박보람 사망…"지인 집 화장실서 쓰러져" 랭크뉴스 2024.04.12
12032 30대 여성, 이혼 요구한 남편에 빙초산 테러... 고글·장갑 치밀한 준비 랭크뉴스 2024.04.12
12031 檢 "오타니 계좌서 219억 빼돌렸다"…오타니 전 통역사 기소 랭크뉴스 2024.04.12
12030 가수 박보람 30세 나이로 갑작스레 숨져…“비통하고 가슴 아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4.12
12029 한은 기준금리 연 3.5%로 또 동결‥10연속 랭크뉴스 2024.04.12
12028 민주 "尹대통령, 총선 결과 직접 사과하고 이재명 만나야" 랭크뉴스 2024.04.12
12027 한-미 확장억제강화협의…“북한 핵사용 가정한 도상훈련” 랭크뉴스 2024.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