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총선 선거방송심의위원장 지낸 강대인
강대인 21대 총선 선거방송심의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8일 서울 정동 경향신문사에서 최근의 선거방송심의위 논란과 관련해 이야기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미세먼지 1·대파값 875원 등

안건 상정 자체가 우스운 일

이전엔 정당 민원 거의 없고

제재 결정 과정도 숙의 거쳐


“‘미세먼지 1’과 ‘대파 875원’ 보도가 선거방송 심의 안건으로 올라오는 것 자체가 우스운 이야기다.”

2020년 제21대 총선 선거방송심의위원회(선방위) 위원장을 지낸 강대인 미디어미래연구소 고문은 제22대 총선 선방위의 ‘월권·과잉심의’ 논란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선방위는 대선·총선 등 선거기간에 선거 관련 방송의 공정성을 심의하는 기구다.

현재 운영 중인 제22대 총선 선방위(백선기 위원장)는 정부·여당 비판 보도에만 무더기로 법정 제재를 내리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다음달 10일까지 운영되는 현 선방위는 현재까지 역대 최다인 18건의 법정 제재를 의결했다. 강 고문이 위원장을 맡았던 선방위에서는 2건의 법정 제재가 나왔다. 강 고문은 “마치 기간 내 빨리 처리해서 어디에다 보고하듯이 할 필요가 없다”며 “심의를 해도 지금처럼 하면 결과적으로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거나 침해할 소지가 커지게 된다”고 했다.

강 고문을 지난 8일 서울 중구 경향신문사에서 만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 최근 선방위에서 MBC ‘미세먼지 1’ 보도에 대해 ‘관계자 징계’를 의결했다. 또 MBC의 ‘대파값 논란’ 보도에 대한 민원이 접수되기도 했다.

“(그 보도들이) 심의 안건으로 올라오는 것 자체가 우스운 이야기다. 심지어 MBC <복면가왕> 9주년 방송이 조국혁신당을 연상시킬 것을 우려해 불방된 것은 코미디다. 후보자나 후보를 낸 정당들을 다루는 방송 내용이 공정성·균형성 등을 훼손시킬 만큼의 위험도가 드러났을 때 선방위가 안건으로 다룬다. (선거 방송이 아닌 것은) 방심위나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등에서 안건으로 다루면 된다. 왜 이것을 선방위에서 다뤄야 하는지 잘 이해가 안 가더라.”

- 말대로 선거방송이 아닌 것을 왜 선방위에서 다루냐는 ‘월권 심의’ 논란이 있다. 지난 총선 선방위에선 어떻게 했나.

“(안건을 올리기 전) 사무처에서 사전에 검토한다. 예를 들어 민원이 10건이 들어오면 이 중 6건 정도는 안건화하고 나머지는 안건이 안 되는 것이다. 지난 선방위 때는 ‘민원이 왜 빠졌냐’며 민원인이 이의제기를 한 적 있다. 그때 선방위원들이 다시 검토해 몇건을 부활시켰다. 그렇게 다룬 적은 있지만 민원이 제기된 것을 다 안건으로 올리라는 것은 맞지 않다. 사무처 직원들은 선거방송심의규칙 조문을 잘 아는 전문가들인데 그들이 걸러낸 안건에 대해 논의하는 게 맞다.”

- MBC ‘미세먼지 1’ 보도와 윤석열 대통령의 ‘대파’ 발언 보도 등에 대해 민원을 넣은 주체가 국민의힘이었다. 지난달 방심위에 접수된 정당·단체 민원 총 189건 중 국민의힘이 제기한 것이 137건이라고 한다.

“지난 총선 선방위에선 정당이 민원을 낸 경우가 거의 없었다. 왜 이미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는 여당이 민원을 무더기로 제출하나. 이해당사자 개인이 자신의 기본권을 보호받는 장치로 민원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이고, 사무처가 공론화해 다뤄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때 안건이 되는 것이다. 만에 하나 야당이 그런 일을 한다고 하더라도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 선거방송에 부합하는 안건이더라도 전반적으로 과잉 규제를 하고 있다는 비판도 많다. 현재까지 선방위가 의결한 법정 제재가 18건이나 된다.

“지난 선방위에서는 논쟁거리가 있는 안건에 대해선 쉽게 결정하지 않고 숙의 과정을 더 거쳤다. 법정 제재를 결정할 때 마치 기간 내 빨리 처리해서 어디에다 보고하듯이 할 필요가 없다. 너무 서두르지 않고 신중하게 운영하는 지혜가 반드시 필요하다.”

- 선방위가 악용될 가능성을 막을 수 있는 개선 방안은.

“선방위원들의 정치적 편향성을 견제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고민해야겠다. 심의를 해도 지금처럼 하면 결과적으로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거나 침해할 소지가 커지게 된다. 선거방송 및 방송 심의가 존속할 필요가 있을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질 필요도 있다고 본다. 방송 내용 심의를 정부가 관여하는 기관에서 하는 것은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위배하는 것 아니냐는 논쟁이 있다. 더 민주적인 사회로 가려면 정부의 방송 내용 심의에 대한 위헌적 소지들을 논의해야 하지 않을까.”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0918 관광명소 기대했는데…정크아트 하던 테마파크, ‘쓰레기장’으로 랭크뉴스 2024.04.10
10917 맞대결 '방시혁의 아일릿 vs 양현석의 베이비몬스터'...전문가들 선택은? 랭크뉴스 2024.04.10
» »»»»» 전 방심위원장 “여당이 왜 선방위에 민원 넣나…표현의 자유 위축 우려” 랭크뉴스 2024.04.10
10915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장, 내일 북한 방문…김정은 방중 논의? 랭크뉴스 2024.04.10
10914 단백질바·고급 생수…美 밀레니얼·Z세대 사치품으로 떠오른 ‘식료품’ 랭크뉴스 2024.04.10
10913 韓·日, 컨테이너 확보 경쟁… 해운업계 ‘치킨게임’ 시작 랭크뉴스 2024.04.10
10912 국가운명 갈린다…민주 과반? 국힘 1당? 총선 후 시나리오 다섯 랭크뉴스 2024.04.10
10911 IS, 유럽챔피언스리그 경기장 테러 위협…보안 비상 랭크뉴스 2024.04.10
10910 "딱 한 표 부족‥투표로 나라 구해달라" 랭크뉴스 2024.04.10
10909 구글, 클라우드 판 흔든다…자체 개발 CPU·제미나이 업데이트로 ‘AI 생태계’ 구축 랭크뉴스 2024.04.10
10908 '4개월째 잠행' 김건희 여사, 5일 용산서 사전투표 마쳤다 랭크뉴스 2024.04.10
10907 [총선] 이재명, 재판 출석 후 유세…“국정 실패에 경고장 날려야” 랭크뉴스 2024.04.10
10906 6대 은행, 작년 41건 금융사고 발생… 내부통제 강화도 소용없어 랭크뉴스 2024.04.10
10905 이재명 "권력" 823회, 한동훈 "범죄" 781회…네거티브 말폭탄 랭크뉴스 2024.04.10
10904 재건축 밀어주기에도…리모델링 최대어 '우극신' 그대로 간다 랭크뉴스 2024.04.10
10903 국민의 선택 시작됐다…22대 총선, 전국서 일제히 투표 시작 랭크뉴스 2024.04.10
10902 "5만원이면 고치는데, 140만원 주고 새 폰 사야 될까요?" 랭크뉴스 2024.04.10
10901 전국 1만 4천여 곳에서 본투표 시작‥이 시각 서울 자양동 투표소 랭크뉴스 2024.04.10
10900 [총선] 오늘 밤 당선 윤곽…비례대표는 내일 확정 랭크뉴스 2024.04.10
10899 [사설] 정치를 바꾸고 미래를 만드는 힘, 나의 한 표다 랭크뉴스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