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22대 총선을 8일 앞둔 가운데, 지역구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여론조사마다 크게 달라 유권자 혼란을 일으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 간 ‘미니 대선’으로 불리는 인천 계양구를 비롯해 서울 용산, 경남 양산을 등 격전지를 중심으로 업체마다 ‘제각각인’ 여론조사가 발표되고 있다. 특정 지역에선 같은 시기에 10%포인트(p) 넘게 차이가 나는 조사도 나와 논란이 됐다.

2일 오전 서울 중구 퇴계로 중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투표용지 모형 공고문 게시를 준비하고 있다. /뉴스1

2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원회에 따르면, 한국갤럽이 지난달 25~26일 뉴스1 의뢰를 받아 계양을 성인남녀 5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46%)와 원희룡 국민의힘 후보(42%)가 4%p 차이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다. 반면 동아일보·리서치앤리서치의 지난달 24일 18세 이상 성인남녀 50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이 후보(50.5%)가 원 후보(37.5%)를 오차 범위 밖인 13%p 앞섰다.

용산의 경우, 한국경제신문·피앰아이가 지난달 22~27일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권영세 국민의힘 후보가 37.4%로 강태웅 민주당 후보(25.3%)를 12.1%p 차이로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JTBC·메타보이스의 같은 달 25~26일 조사(18세 이상 성인남녀 500명)에선 강 후보 44%, 권 후보 39%를 기록했다. 오차범위 내 접전이다.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PK(부산·경남)의 ‘낙동강 벨트’ 양산을도 마찬가지다. 한국경제신문·피앰아이가 지난달 26~30일까지 양산을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김두관 민주당 후보와 김태호 국민의힘 후보가 각각 34.3%, 32.3%로 오차범위 내 초접전을 벌였다. 반면 KBS창원·한국리서치(3월28일~30일, 양산을 유권자 500명)조사에선 김두관 후보(47%)와 김태호 후보(33%)가 14%p 이상 차이를 보였다. 이상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전문가들은 지역구 선거의 경우 조사 대상의 수가 전국 단위에 비해 작아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원인으로 꼽는다. 또 어느 정당의 지지자가 더 적극적으로 응했는지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여론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려면, 한 여론조사업체가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기별’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낫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준한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론조사 대상이나 설문 항목의 순서, 전화 응대 시간이나 유권자들의 성별, 세대 등 변수가 제각각이고, 업체별로 방식도 다 달라서 이런 현상이 생긴다”면서 “같은 후보를 놓고 비슷한 시기에 전혀 다른 여론조사 결과로 민심 동향을 보는 건 더욱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이어 “같은 조사업체의 1주일 후, 2주일 후 결과 등 시기별로 간격을 두고 지역구 지지율을 보면 민심을 좀 더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회의원 선거가 ‘여론조사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민심 동향을 파악하는 데 정확도가 높지 않다”며 “전국 단위의 여론과 지역 단위별 후보 지지율도 봐야 하는 등 요인이 많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표심을 정하지 못하거나 정치에 무관심한 유권자들은 조사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게 중요하다”며 “조사 결과는 민심 파악을 보조하는 참고용에 불과하고,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한편 여론조사 결과를 볼 수 없는 이른바 ‘블랙아웃’ 기간이 오는 4일부터 시작된다.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일부 편향된 조사가 여론을 왜곡하거나 호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현행 공직선거법 제108조에 따르면, 선거일 전 6일부터 선거일의 투표 마감 시각까지 정당 지지도나 당선인을 예상케 하는 여론조사 등을 인용해 보도할 수 없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139 '빅5' 잇달아 비상경영…서울대병원 "올해 예산 원점 재검토"(종합) 랭크뉴스 2024.04.02
3138 ‘당기시오’ 써 있는 출입문, 밀어서 사망…대법서 유죄 확정 랭크뉴스 2024.04.02
3137 생후 한 달 신생아와 함께 사는 아파트서 대마 재배·흡입한 외국인 랭크뉴스 2024.04.02
3136 서울대병원, ‘비상경영’ 전환…“올해 예산 원점 재검토” 랭크뉴스 2024.04.02
3135 "배달의민족 기다려라"...쿠팡이츠, 요기요 제치고 업계 2위 등극 랭크뉴스 2024.04.02
3134 ‘만취운전’ 사망 사고 DJ 쪽 “피해자가 법 지켰으면 사고 안 나” 랭크뉴스 2024.04.02
» »»»»» 두자릿수 차이도 빈번… 들쑥날쑥 여론조사에 ‘혼란’ 랭크뉴스 2024.04.02
3132 "벚꽃나무는 일본산?" 한국 특산종 '제주왕벚나무'로 여의도 수놓는다 랭크뉴스 2024.04.02
3131 대전 이어 하남서도…초교 식단표에 '투표는 국민의힘' 문구 랭크뉴스 2024.04.02
3130 공식 회의록도 없는 ‘의대 증원’ 37번 대화…공허한 대통령 담화 랭크뉴스 2024.04.02
3129 이스라엘, 개전 첫 이란 영토 타격 ‘7명 폭사’…중동 전체 확전 되나 랭크뉴스 2024.04.02
3128 尹, 민생토론회 후속조치 독려... “국민에게 ‘검토한다’는 안 한다는 말”(종합) 랭크뉴스 2024.04.02
3127 이재욱·카리나, 공개 연애 5주 만에 결별 랭크뉴스 2024.04.02
3126 건강보험 등골 빼먹은 한의원·요양병원…한 곳서 5억 챙기기도 랭크뉴스 2024.04.02
3125 '대구경북신공항 화물터미널' 집회서 자해…"생명엔 지장없어"(종합) 랭크뉴스 2024.04.02
3124 권성동 "당내서 '대통령 탈당' 극언…자중하라" 랭크뉴스 2024.04.02
3123 이재명, 여성후보 지원유세서 "살림은 역시 여성이 잘한다" 랭크뉴스 2024.04.02
3122 낮술 한잔 하고 뉴스 진행? 혀 꼬인 앵커 '음주 생방송' 사실이었다 랭크뉴스 2024.04.02
3121 [영상]단 몇초 차이로…날아든 대형 톱날 피해 목숨 건진 행운의 사나이 랭크뉴스 2024.04.02
3120 이화여대 “‘이대생 성상납’ 발언 김준혁, 후보직 물러나야” 랭크뉴스 2024.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