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금개혁안 국회 문턱 넘었지만…MZ세대 속내는 '폰지사기·이민·폐지'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25.4.8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지난 3월 보험료율을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43%로 상향하는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이 18년 만에 국회 문턱을 넘었다.

하지만 이 극적인 타결에 앞서, 미래 세대인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는 이미 온라인상에서 '고갈'과 '개혁'을 외치며 연금 제도의 미래에 대한 깊은 불안감을 표출해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이 위태로운 민심 위에서 이뤄졌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이 발표한 '국민연금 인식에 대한 키워드 분석'보고서는 이런 MZ세대의 속내를 여실히 보여준다.

8일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가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국민연금 관련 담론은 2018년을 기점으로 2023년에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논의의 핵심은 '연금개혁'으로 뚜렷하게 모아졌다.

이는 당시 2055년으로 예측되던 기금 소진 시점에 대한 청년층의 깊은 불안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연구진이 서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 커뮤니티와 디시인사이드, 네이트판 등 개방형 커뮤니티의 게시글을 분석한 결과, 청년층의 관심은 수치로도 확인됐다.

대학 커뮤니티의 관련 게시글은 2018년 117건에서 2023년 996건으로 8.5배 급증했으며, 같은 기간 개방형 커뮤니티에서도 143건에서 613건으로 4.3배 늘어났다.

특히 담론의 내용에서 질적인 변화가 두드러졌다. 2018년 대학 커뮤니티에서는 '국민연금 공단 취업' 등 다소 산발적인 주제가 논의됐으나, 2023년에는 '연금개혁'과 '기금 고갈'이라는 키워드가 강력한 군집을 형성했다. 이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청년 세대의 핵심 관심사로 자리 잡았음을 의미한다.

주제별 모델링 분석 결과, 대학 커뮤니티 이용자들은 주로 ▲ 국민연금 납입과 수령 ▲ 제도에 대한 신뢰 문제 ▲ 기금 운용 ▲ 연금개혁에 대해 논의했다. 개방형 커뮤니티에서는 ▲ 세대 간 연금 부담 ▲ 노후소득 보장 ▲ 재정 안정성과 지속가능성 ▲ 연금개혁 등이 주요 주제로 도출됐다.

두 집단 모두에서 '연금개혁'이 핵심 주제로 나타나 기금 소진에 대한 공통된 우려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MZ세대의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이 막연한 불만이 아니라, 기금 고갈이라는 현실적인 위협에 기반한 구체적인 우려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들이 사용하는 "이민", "폰지사기", "폐지"와 같은 극단적인 키워드는 현행 제도에 대한 깊은 불신을 드러낸다.

결국 지난 3월의 연금 개혁은 이처럼 들끓는 여론을 배경으로 이뤄진 셈이다.

연구진은 특정 인터넷 커뮤니티를 분석한 만큼 MZ세대 전체의 의견을 대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지만, 미래 세대의 목소리를 가감 없이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의미를 지닌다.

18년 만에 이뤄진 연금 개혁의 첫 단추는 끼워졌지만,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완전히 담보하고 MZ세대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진짜 과제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30 '기관단총' 든 경호처‥"총 보여줘" 지시 따라서? 랭크뉴스 2025.07.08
52829 트럼프 "한국·일본에 8월 1일부터 25% 관세 부과할 것" 통보 랭크뉴스 2025.07.08
52828 “대출 규제 안 받는 주담대”… 대부업체, 고소득자 유혹 랭크뉴스 2025.07.08
52827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급락... 트럼프 관세 서한 여파 랭크뉴스 2025.07.08
52826 [단독] 이재명·트럼프 대통령, 한국형 이지스함·중형잠수함 ‘동승’ 하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7.08
52825 트럼프, 한국 서한 공개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 관세” 랭크뉴스 2025.07.08
52824 [단독]서울 집 산 40% '갭투자'였다…1주택자 전세대출 금지 검토 랭크뉴스 2025.07.08
52823 외식 소주 가격 열달만에 올라…맥주도 7개월 만에 상승 랭크뉴스 2025.07.08
52822 "中서 대학 자율성 부러워할 줄이야"…딥시크 탄생의 힘 [창간기획-평화 오디세이] 랭크뉴스 2025.07.08
» »»»»»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 MZ세대의 불신 잠재울까? 랭크뉴스 2025.07.08
52820 "못 버틸 것 같아, 사랑해"…텍사스 폭우 속, 아버지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 랭크뉴스 2025.07.08
52819 "8월부터 한국에 25%"‥"미국 내 투자" 여지 랭크뉴스 2025.07.08
52818 한 달 전 봉제공장 방화 참극 뒤엔… 벼랑 끝 '객공'이 있다 랭크뉴스 2025.07.08
52817 [단독] '초·중등 교육 전문성 결여 논란' 이진숙 후보자, 두 딸도 미국서 조기 유학 랭크뉴스 2025.07.08
52816 ‘전세사기 후폭풍’ 올해 서울에 준공된 빌라 1800가구 뿐 랭크뉴스 2025.07.08
52815 캠프 참가 어린이 27명 주검으로…美 텍사스 홍수 사망자 91명 랭크뉴스 2025.07.08
52814 전국 무더위 속 곳곳 소나기…낮 최고 36도 랭크뉴스 2025.07.08
52813 백악관, 한·일 관세 서한 먼저 공개한 이유에 “트럼프의 선택” 랭크뉴스 2025.07.08
52812 韓 고위급 방한 중 관세 유예 ‘3주 연장’…산업부 “협상 박차” 랭크뉴스 2025.07.08
52811 "미루다 동력 떨어질라"... 검찰개혁 가속페달 밟는 민주당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