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철수 '쌍권 탈당' 요구에 지도부 거절
혁신위원 인선도 송언석 지도부와 충돌
친윤·영남 기득권 구도에 혁신위 좌초
인적 쇄신 명분에도 전대 전망은 불투명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7일 국회에서 혁신위원장직을 사퇴하고 당대표 출마 선언을 마친 뒤 취재진에게 사퇴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7일 혁신위원장직을 사퇴하고 당대표 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의가 안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5명의 혁신위원 인선을 발표한 지 불과 20분 만에 혁신위원장직을 내려놓은 것이다. 대선 패배 이후 한 달이 넘도록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국민의힘의 혁신 시도가 이번에도 좌초한 모양새다. 안 위원이 당대표가 돼 강력한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나선 배경에는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와의 사이에 친윤석열계를 겨냥한 인적 쇄신안을 둘러싼 충돌이 있었다.

안철수 '쌍권 탈당' 요구에 송언석 거부



안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을 위한 절박한 마음으로 혁신위원장 제의를 수락했지만 혁신의 문을 열기도 전에 거대한 벽에 부딪혔다"
"당대표가 돼 단호하고 강력한 혁신을 직접 추진하겠다"
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인적 쇄신 대상으로 두 사람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으로 거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지난 대선 기간 일종의 정치적 책임을 지는 자리에 계셨던 분들"
이라며 대선 후보 교체를 주도한
쌍권 지도부(권영세 전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전 원내대표)
임을 에둘러 말했다. 당초 안 의원은 송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와 두 사람의 탈당 조치에 뜻을 모은 뒤 결단을 요구할 방침이었다. 두 사람이 거부한다면 출당 조치까지 검토했다고 한다. 그러나 송 비대위원장은 완강하게 거절했다.

안 의원은 혁신위원으로 당 소장파 모임인 '첫목회' 소속 이재영 서울 강동을 당협위원장, 박은식 전 비상대책위원을 영입하려 했지만 지도부 반발로 무산됐다. 안 의원은 이날 비대위가 자신과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혁신위원 일부를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비대위는 최형두(경남 창원 마산합포) 의원과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송경택 서울시의원, 김효은 전 교육부 장관 정책보좌관을 혁신위원으로 임명했다.

친윤·영남 기득권에 김용태 이어 안철수 좌초



안 의원은 혁신으로 나아가기 위해선 두 사람에 대한 인적 청산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두 사람은 2021년 7월 대선 주자로 급부상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입당을 주도하며 친윤계 핵심 인사로 분류돼 왔다. 친윤계는 원내 다수를 차지하는 영남 의원들과 결합해 당내 의사결정을 좌우해 왔다. 송 비대위원장이 원내대표에 당선된 것도 친윤계·영남 의원들의 물밑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계엄과 탄핵 정국을 거치며 친윤계·영남 기득권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말뿐이었다.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철회, 대선 후보 교체 과정에 대한 당무 감사 등 '5대 개혁안'을 추진했으나, 반향이 없었다.
김 전 비대위원장 퇴임 후 구성된 송언석 비대위는 친윤계·영남 의원을 전면 배치하는 등 민심과 역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만큼 친윤계·영남 의원을 중심으로 한 기득권 구조가 공고하다는 방증
이다. 친윤계에선 안 의원에 대해 "혁신위 내부 논의도 없이 독자적으로 두 사람(권영세 권성동)에 대해 탈당을 요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친윤·친한, 안철수와 거리 두기



'인적 쇄신' 명분을 갖췄지만 8월 중하순쯤으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안 의원의 승부수가 통할지는 불투명하다.
당내 고질적인 기득권 구조를 비판하면서 혁신위원장 사퇴를 선언한 만큼 현 주류인 친윤계·영남 의원들의 지지를 기대하기 힘들다.
친한동훈계 지지도 속단할 수 없다. 친한계에선 혁신위 구조적 한계를 알고도 혁신위원장을 수락한 뒤 갑작스럽게 사퇴한 것에 대해
"
정치적 몸값을 올리려는 시도"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송 위원장은 안 의원의 회견과 관련해 "혁신을 위한 견해 차이일 뿐"이라며 "안 의원이 혁신안을 가지고 전대에 나선다고 하니 앞으로 흥행이 잘 될 것 같은 기대감이 있다"며 수습에 나섰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99 한·일, 군함도 문제로 국제무대서 충돌···이재명 정부 ‘한·일 관계’ 첫 변수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8 [속보] 美재무 "48시간내 여러 무역합의 발표…새 제안 많이 받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7 중국서 유치원생 70명 집단 납중독... 흰머리 나고 치아 까매져 new 랭크뉴스 2025.07.07
» »»»»» '쌍권 청산' 거부당하자 '당대표 출마'로 선회한 안철수의 승부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5 경기 온열질환자 100명 넘어…폭염특보 속 사흘째 열대야 기승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4 폭염 뚫고 날아오른 'K팝의 여왕들'...블랙핑크 더 강력해졌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3 유럽연합 “9일까지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 목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2 인도네시아 화산 분화…발리 오가는 항공기 수십편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1 영남 내륙 39도 훌쩍…사람도 가축도 지친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0 김선교 출금에 국힘 “이제 시작”…특검 수사 전방위 확대될라 ‘술렁’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9 "경찰에 총 보여줘라"‥체포영장 집행 저지 그날엔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의 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7 尹과 한뜻 '계엄 정당화'‥메모 왜 남겼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6 이진숙 후보자, 지자체장 인수위 ‘양다리’에 정부·지자체 위원 최소 37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5 [속보]유네스코서 ‘군함도 안건 상정’ 무산···일본과 표결서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4 “동네약국 7만원 비타민이 여긴 3만9천원”…약국계 코스트코 가보니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3 [단독] "선관위 다 잡아족쳐야"‥끝까지 '부정선거론'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2 [단독] "국민께 알려야"‥尹 '망상의 계엄' 씨앗 됐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1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표대결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0 [속보] 法, 노상원 전 사령관 추가 구속…"증거인멸·도주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