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5일(현지시간)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감세 법안이 의회를 통과할 경우 공화당과 민주당 양당 체제에 반기를 드는 제3당 창당을 예고했었다. 한때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머스크는 이제 '트럼프의 최대 정적'으로 돌아섰다.

머스크는 이날 X(옛 트위터)에 "찬반 2대1의 비율로 여러분은 새로운 정당을 원하고, 그것을 갖게 될 것"이라며 "오늘, 여러분의 자유를 되찾아주기 위해 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을 창당한다"고 밝혔다. 또 "국가가 낭비와 부패로 파산할 수 있는 문제에서 우리는 민주주의가 아닌 단일 정당 체제 속에 살고 있다"며 창당 취지를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가 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AFP=연합뉴스

그는 미 독립기념일이었던 지난 4일 X에 "독립기념일은 양당제로부터 독립하고 싶은지 물어볼 완벽한 때"라며 창당에 대한 찬반을 묻는 온라인 투표 창구를 올렸다. 머스크가 말한 '2대 1의 비율'은 찬반 비율이 각각 2대 1이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실제 투표엔 약 125만 명이 참여해 65%가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크는 신당의 전략도 일부 공개했다. 그는 X에서 "상원 의석 2~3석과 하원 선거구 8~10곳에 집중하는 것이 한 방법"이라며 "논쟁적인 법안에 결정적인 표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했다. 그는 또 "내년 중간 선거에서 후보를 내겠다"고도 했다. 현재 양당이 근소한 차이의 상·하원 의석수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소수 의석을 차지해 캐스팅보트를 거머쥐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머스크가 트럼프의 감세 법안을 공개 비판한 후 두 사람은 서로에게 막말을 퍼부으며 공개 결별했다. 그러다 JD 밴스 부통령 등의 중재로 화해하는 모습이었으나 감세 법안 의회 표결을 앞두고 재충돌했다. 머스크는 "법안이 통과되면 다음 날 창당하겠다"고 했고, 트럼프는 머스크를 향해 "더 많은 것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가 "크고 아름다운 법"이라 자부하는 감세 법안은 상·하원을 통과한 데 이어 4일 트럼프의 서명으로 공식 효력을 갖게 됐다. 이 법안은 세금을 대폭 삭감하고, 불법 이민자 단속 등에 더 많은 예산을 써 결과적으로 정부 지출을 늘리는 내용이다. 머스크는 이 법을 두고 "국가 부채를 늘릴 수 있다"며 폐기를 요구해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일론 머스크의 한때 다정한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다만, 현지 언론은 양당제가 정착된 미국에서 전례를 볼 때 제3당의 성공은 어렵다고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에서 새로운 전국 정당을 만드는 데는 수많은 장벽이 존재한다"며 "극심한 정치적 양극화, 엄청난 비용·시간과 주별로 다른 까다로운 관련 법률들이 그 예로, 머스크조차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짚었다.

CBS는 "녹색당과 자유당 등 기존 제3당들이 겪었던 고난들만 봐도 새 전국 정당 창당 과정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고 했다.

한편, 머스크는 자신의 X에 한국어로 글을 올려 화제가 됐다. 그는 지난 3일 자신이 올린 인공지능(AI) 경쟁을 풍자한 밈(meme·온라인 유행 콘텐트)에 "일론 일어남"이란 한글 답글이 달리자 한글로 "나는 깨어있다"고 답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416 '어닝 서프라이즈' LG에너지솔루션, 장초반 3%대 급등[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7.07
52415 성추행 신고 직원 19개 사유로 징계한 종교재단…법원이 제동 랭크뉴스 2025.07.07
52414 폭싹 속았수다·사랑의 불시착… K드라마 속 사랑의 순간 랭크뉴스 2025.07.07
52413 트럼프 “9일까지 관세 서한이든, 합의든 마무리 될 것”…막판 압박 계속 랭크뉴스 2025.07.07
52412 대선 때 '옷차림 정치색 논란'… 카리나 "너무 무지했다" 해명 랭크뉴스 2025.07.07
52411 트럼프 "12개국 또는 15개국에 '관세레터'…9일까지 협상 마무리" 랭크뉴스 2025.07.07
52410 李 대통령 국정지지율 2.4%p 상승…첫 60%대 돌파[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7.07
52409 진안 구봉산서 50대 등산객 숨져… 열사병 추정 랭크뉴스 2025.07.07
52408 與 "재개발·재건축으론 불충분…5년내 공급가능 토지 찾아야" 랭크뉴스 2025.07.07
52407 정주영 내걸고 “사고 책임 다하겠다”던 현대산업개발의 돌변 랭크뉴스 2025.07.07
52406 李대통령 국정지지율 첫 60% 돌파…민주 53.8%·국힘 28.8%[리얼미터](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405 회생절차 개시한 초록마을,영업은 그대로 랭크뉴스 2025.07.07
52404 트럼프 "9일까지 대부분 협상 마무리…관세 서한 아니면 합의"(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403 "순식간에 물바다" 美 텍사스 폭우, 사망자 71명으로 급증…트럼프 재난지역 선포 랭크뉴스 2025.07.07
52402 트럼프 “관세율 통보서 12∼15개국에 발송” 랭크뉴스 2025.07.07
52401 '취임 한 달' 李대통령 지지율 62.1%…민주 53.8%·국힘 28.8%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7.07
52400 트럼프 "12개국 또는 15개국에 관세 서한 발송할 것" 랭크뉴스 2025.07.07
52399 진안서 '폭염 속 산행' 50대 숨져…체온 40.5도 랭크뉴스 2025.07.07
52398 정부, 미국에 “차 운반선 입항 수수료, 한국은 빼달라” 랭크뉴스 2025.07.07
52397 "총은 경호관들이 훨씬 잘 쏜다"… 尹 체포저지 구체 정황 영장 적시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