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혁신위 출범 본격화에 관심도 급증
'소신파' 안철수 향한 기대감 커져
실질적 개혁 두고선 회의적 시선도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오른쪽)와 혁신위원장으로 내정된 안철수 의원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원내대표실에서 회동하고 있다. 뉴스1

[서울경제]

대선 패배 후 무기력한 상태에 빠져있는 국민의힘을 재정비할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의원이 임명되면서 향후 개혁 속도·수위에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상계엄 반대·탄핵 찬성’ 기조를 유지하며 주류인 구 친윤(친윤석열)계와 대척점에 섰던 안 의원이 지리멸렬한 당을 구해낼 ‘적임자’라는 기대감이 나오는 한편, 과거 혁신위원회가 지도부와 갈등을 빚다 ‘빈 손’으로 물러났던 전례를 들어 이번에도 쇄신은 선언적 구호에만 그칠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선도 나온다.

서울경제신문이 6일 SNS 텍스트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주는 ‘썸트렌드’를 통해 지난 일주일 간 ‘안철수’에 대한 언급량을 분석한 결과 7월 2일 언급량은 전날 대비 25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은 안 의원이 혁신위원장에 임명된 날로 당 혁신에 대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의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2일 오후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만나기 위해 국회 본청 원내 대표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혁신위 구성은 송언석 원내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내건 사안이지만, 당내 진통이 이어지며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다. 직전 지도부인 김용태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대 개혁안'을 퇴임 직전까지 주장하면서 관련 논의가 뒷전으로 밀린 탓이다. 그러나 김 전 비대위원장이 임기를 마치며 물러나고 안 의원이 혁신위원장으로 전격 임명되며 혁신위 구성 작업도 급물살을 탔다. 안 의원은 임명 직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보수 정치를 오염시킨 고름과 종기를 적출하겠다”며 강한 개혁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국민의힘은 지금 사망 선고 직전의 코마(의식불명) 상태에 놓여 있다”며 “과거의 잘못을 철저히 반성하고, 냉정히 평가하겠다”고 강조했다.

6월 27일~7월 4일 SNS 상 안 의원 긍·부정 언급 키워드. 썸트렌드


안 의원의 결기 어린 다짐이 무색하게 그를 향한 민심의 반응은 싸늘했다. 지난 일주일 간 안 의원에 대한 긍정과 부정 언급은 각각 39%와 61%로 부정적 언급이 우세했다. 안 의원에 대한 긍정 단어 키워드를 언급 건수가 많은 단어부터 줄 세웠을 때 ‘지지하다’, ‘기대’, ‘최적’, ‘잘하다’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반면 부정적인 키워드로는 ‘비판’, ‘난항’. ‘패배’ 등의 단어가 다수 포착됐다.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 체제 아래서 가동됐던 ‘인요한 혁신위’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 초라하게 마무리되면서 ‘안철수 혁신위’에 대해서도 당 안팎에선 회의론이 잦아들지 않는 모습이다.

특히, 당내 역학 구도를 감안하면 안 의원이 실질적인 개혁을 밀어붙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지난 2022년 20대 대선 당시 국민의힘에 넘어온 안 의원은 ‘소신’ 행보를 보이며 당 주류와 각을 세워온 당내 대표적인 비주류 인사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그가 추진할 혁신안도 기득권의 반발로 동력을 상실할 것이라는 우려가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안 의원은 “국민이 찬성하는 혁신안에 대해서는 비대위에서도 받아야만 국민의힘이 국민 눈높이에 부합할 거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6월 27일~7월 4일 SNS 상 혁신위원회 긍·부정 언급 키워드. 썸트렌드


혁신위 자체에 대한 의구심도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주일 간 ‘혁신위원회’와 함께 언급된 단어들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언급이 53%로, 긍정적 언급(47%)을 웃돌았다. 부정적 키워드를 언급 건수가 많은 순으로 줄 세웠을 때 ‘반발’, ‘어렵다’, ‘우려’ 등의 단어가 눈에 띄었다. 혁신위가 당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을 지에 대해 여론의 기대감은 다소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07 일본 도카라 열도에서 규모 5.4 지진…보름 동안 1,400회 넘게 일어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6 로봇의 기막힌 발레파킹… 현대차그룹 AI 영상, 전 세계로 '역주행'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5 내란특검, 尹 추가소환 통지 안했다…바로 구속영장 청구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4 대통령실 특활비 늘리느라 검찰까지? 떨떠름한 민주당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3 주진우, ‘주담대 최대 6억’ 대출규제에 “文정부 실패 데자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2 "폭염 잊고 바다로 풍덩" 주요 해수욕장 피서 인파로 북적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1 숨진 동료 눈앞에서 봤는데… 트라우마 노동자 복귀 지시한 한전KPS new 랭크뉴스 2025.07.06
52100 "부산 시민은 25만원 필요없어" 국힘 박수영에…"그럼 본인이 소비쿠폰 주실 거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9 [단독] 특검, 김선교 의원 출금…원희룡에 '양평노선 변경 요청' 의혹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8 고강도 대출 규제 통했나… 끓어오르던 서울 아파트 거래 '뚝'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7 ‘상투 잡았나’ 집 계약 취소 속출… 李 ‘맛보기’ 발언에 숨죽이는 시장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6 ‘60만명 동의’ 이준석 제명 국회 청원, 역대 2위로 마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5 대구 아파트 14층서 불…“제습기서 화재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4 “억대 계약금 날려도 포기”...서울 집값, 드디어 잡히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3 "한끼에 30만원 초호화"…특급호텔 여름 보양식, 뭐가 나오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2 이진숙 후보자 '논문 중복게재 의혹'…野 "범죄수준 사퇴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1 “전세사기 공포에 세입자 외면” 빌라 공급 절벽 심화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90 '주담대 6억 제한' 약발 셌다…송파·서초 집거래 1주새 90% 급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89 “야구장 갈 맛 나네”...한화 팬들 난리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88 “삼성전자 시총의 13배”...AI 열풍 타고 ‘급등’ new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