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크렘린궁, 1시간 통화 후 브리핑
트럼프, 전쟁 종료 재차 제안에
푸틴 “목표 포기 안해” 사실상 거절
트럼프-젤렌스키 4일 통화할 듯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연합뉴스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현지 시간) 전화 통화로 우크라이나 상황을 논의했지만 별다른 합의없이 종료됐다.

타스통신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약 1시간 동안 전화로 의견을 나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을 통해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예고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한번 (우크라이나 내) 적대 행위의 조기 중단 문제를 거론했다”며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특별군사작전의 목표를 달성할 것이고, 현 상황과 대립에 이르게 한 모든 근본 원인을 제거한다는 목표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두 정상의 대화에 대해 “솔직하고 업무에 충실했으며(businesslike), 구체적이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러시아 측 설명으로 미뤄 두 대통령은 이번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휴전에 관한 합의에 진전을 이루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는 무조건적인 휴전을 요구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근본 원인 제거가 먼저라며 맞서고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 추진 등이 갈등의 근본 원인과 관련 있다고 주장한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과 트럽프 대통령의 회담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전했다. 다만 푸틴 대통령이 지난달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러시아·우크라이나 2차 협상에서 합의된 인도주의적 협정 이행 상황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렸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포로 교환과 전사자 시신 인도에 합의해 이를 시행했다.

러시아 측은 이란과 중동 상황 전반에 대해 상세히 논의했다며 “러시아는 모든 분쟁, 이견, 갈등이 정치적·외교적 수단을 통해서만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와 미국이 이 문제에 대해 각급 수준에서 연락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감세·이민에 관한 핵심 법안이 미 의회에서 성공적으로 통과한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했다면서 “그는 이 법안을 ‘크고 아름다운 법안’이라고 불렀고, 푸틴 대통령은 개혁 성공을 기원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는 올해 1월 트럼프 2기 정부가 들어선 이후 이번이 6번째다. 직전 통화는 지난달 15일 이스라엘·이란 충돌과 우크라이나 협상을 주제로 이뤄졌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포병탄과 방공 시스템 지원을 중단하기로 한 결정과 관련 4일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통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덴마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내일이나 며칠 안에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과의 양자 관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우리는 군사적 지원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79 "더워 죽겠는데 이걸 산다고? 대체 왜?"…매출 5억 '대박' 터진 상품 뭐길래 랭크뉴스 2025.07.06
51978 尹 3차 소환? 구속영장 청구?…2차조사 마친 내란특검 고심 랭크뉴스 2025.07.06
51977 참아라? 스폰지밥? 먹방? 러브버그가 부른 각양각색 '민낯들' 랭크뉴스 2025.07.06
51976 [샷!] 외국인이 한국 오면 꼭 하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06
51975 '샤워하는 모습 보려고'…지인 집 몰래 들어간 30대 징역형 집유 랭크뉴스 2025.07.06
51974 납북자가족모임, 8일 임진각서 “대북 전단 살포 전면 중단” 공식 선언한다 랭크뉴스 2025.07.06
51973 '트럼프法'에 반기 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72 갈 곳 못 정한 채···미 과학재단도 난데없이 내쫓긴다, 트럼프 몽니에 랭크뉴스 2025.07.06
51971 55년 만에 열린 ‘하늘 아래 가장 높은 샘’…한라산 백록샘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6
51970 "스타벅스가 한국에만 들여오더니"…'이것' 도입한 매장이 돈 더 벌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69 거리에서 제철 과일을 파는 여성 노인, '탄소 중립'의 조용한 실천자 랭크뉴스 2025.07.06
51968 1주일 만에 또 워싱턴행‥"관세 유예 또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7.06
51967 전 국민 15만 원‥비수도권·취약계층 더 두텁게 랭크뉴스 2025.07.06
51966 ‘트럼프 반기’ 머스크, 신당 창당…“오늘 아메리카당 출범” 랭크뉴스 2025.07.06
51965 초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
51964 동물복지일까 농가 담합일까…달걀값이 오른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6
51963 “상반기 주인공 나였는데”… 증권가 하반기 금 가격 전망은 엇갈려 랭크뉴스 2025.07.06
51962 ‘라면 사무관’ 대신 ‘원가 분석’?···심상찮은 물가, 정부 대책은[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7.06
51961 “안그래도 힘든데 관리비 80% 넘게 올라”…자영업자의 눈물 랭크뉴스 2025.07.06
51960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랭크뉴스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