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反난민 정서 고조 속 각국에 선례될까…인권단체 "시기상조"


2015년 9월 헝가리에서 오스트리아 국경을 향하고 있는 시리아 난민들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로마=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신창용 특파원 = 오스트리아가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 유럽연합(EU) 국가 중 최초로 시리아인을 본국으로 강제 송환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게르하르트 카르너 내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늘 한 명의 시리아인 범죄자가 시리아, 정확히는 다마스쿠스(시리아 수도)로 송환됐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송환이 뒤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카르너 장관은 "오스트리아는 엄격하고 단호하면서도 공정한 난민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면서 "타인에게 위협이 되는 범죄자들은 반드시 추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송환된 32세의 시리아 남성이 2014년 오스트리아에서 난민 지위를 부여받았으나, 2018년 11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7년 형을 선고받으면서 난민 지위를 박탈당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이 남성이 어떤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 남성의 법적 조력자인 루산드라 슈타이쿠 변호사도 범죄 혐의에 대해서는 입을 닫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지난해 12월 시리아 독재자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하자 오스트리아 정부는 시리아 난민에 대한 망명 심사를 중단하고 시리아인들의 본국 송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난민 지위를 상실한 이 시리아 남성을 지난주 송환하려고 했으나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로 중동 영공이 폐쇄된 탓에 송환 절차가 지연된 것으로 전해졌다.

상당수 인권 단체와 변호사들은 시리아 난민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아직 위험하다며 오스트리아의 이번 조치가 '시기상조'라고 반발하고 있다. 또한 반(反)난민 정서가 팽배한 다른 EU 회원국들도 속속 비슷한 조처를 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오스트리아 NGO 연합체인 '오스트리아 난민 조정 위원회'의 변호사이자 대변인인 루카스 가흘라이트너-게르츠는 "시리아의 새 정권이 귀환자를 어떻게 대할지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가 없다"며 "이렇게 불안정한 상황에서 단순히 보여주기식으로 추방을 단행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유엔난민기구(UNHCR) 역시 시리아의 전반적인 상황 탓에 "시리아인들은 EU를 포함해 어떤 나라에서라도 본국 어디로도 강제로 송환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인권 단체들과 유엔에 따르면 아사드 정권의 몰락 이후 시리아에서는 소수 민족이나 소수 종파 등에 대한 공격이 횡행하고 있고, 시리아 인구 90%가 빈곤선 아래에서 생활하는 등 인도적인 위기가 아직 심각한 상황이다.

한편, 시리아 내전이 격화된 2015년 이래 유럽 국가들이 수용한 시리아 난민은 약 168만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독일 등 일부 국가들은 당초 시리아 난민을 따뜻하게 환대했으나 대규모 난민 유입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며 유럽 각국에서는 반난민 정서를 앞세운 극우 정당들이 최근 급속도로 세력을 키우고 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186 "일본은 정말 버릇없어"…관세협상에 날 세우며 '페널티' 경고한 트럼프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5 한성숙, 네이버 스톡옵션 6만주 행사 40억원 차익…4만주는 포기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4 BTS 컴백 예고에도 주가 ‘와르르’...하이브, 초대형 악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3 이언주 "외국인 부동산 소유 급증…규제 피하는 역차별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2 정진우 중앙지검장 취임…“검찰권 행사 되돌아보고, 잘못된 것은 바로 잡아야”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1 '신지 예비신랑' 문원 입 열었다 "혼전임신 사실, 양다리는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80 호텔 뺨치는 고품격 임대주택, 서울에 짓는다…이 동네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9 "국군이다. 안내하겠다"…MDL수풀 숨어있던 北민간인 1명 신병확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8 이 대통령 7월 첫주 지지율 65%···전주 대비 1%포인트 상승[갤럽]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7 신지 예비신랑 문원 “전처와 혼전임신은 사실”… 사생활 논란에 입 열어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6 與 “추경안 여야 합의 처리 불발… 오늘 본회의서 통과시킬 것” 단독 처리 시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5 [단독] 밤에 편의점 알바생 협박… 돈·담배 뺏은 40대 현행범 체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4 "성대가 빨갛게 멍들었겠죠"…이미자 1만번 불렀던 '18번' [더 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3 임은정 동부지검장 "검찰, 바뀌지 않으면 해체 수준 개혁 당해"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2 지하철 2호선 30분 지연…출근길 패닉·지각 속출(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1 "국평 시세차익 13억"…올림픽파크포레온 '줍줍' 떴다 [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70 한성숙 중기부 장관 내정자, 네이버 스톡옵션 4만주 포기···6만주 행사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69 [금융포커스] “빚 갚지 마세요”… 배드뱅크 뜨자 SNS서 불법 개인회생 영업 기승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68 임은정 “검찰 바뀐 모습 안보이면 해체 가까운 개혁 당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7.04
51167 송언석 “민주당, 집권하자 대통령실 특활비 증액? ‘내로남불’ 사과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