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3일 국회를 통과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당일 총리 후보자로 지명한 지 29일 만이다. 김 총리 임명을 반대하던 국민의힘은 표결에 불참했다.

국회는 이날 재석 179인 중 찬성 173표, 반대 3표, 무효 3표로 김 총리 임명동의안을 가결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등이 표결에 참여한 가운데 국민의힘 소속 의원 107명은 전원 불참했다. “새 정부가 제대로 일을 하려면 국정 안정이 중요하다. 내각을 진두지휘할 총리 인준을 더 지체한다면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김병기 원내대표)이라며 인준 강행을 예고한 민주당은 별다른 이탈 없이 인준이 성사되자 환호를 쏟아냈다. 우원식 국회의장의 가결 선포에 박수가 터져나왔고, 일부 의원은 김 총리에게 다가가 “파이팅”을 외치며 격려했다.

국민의힘은 표결이 진행되는 동안 국회 본회의장 밖에서 규탄대회를 열었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의 독재 본능이 드러난 정치적 선언”이라며 “부패의 상징을 국무총리로 올리면서 독재와 폭거라는 몰락의 길로 내딛고 있다”고 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상법 합의했지만, 의원 절반이 반대·기권
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무기명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 의원들은 ‘스폰 의혹, 배추 투자 김민석은 사퇴하라’ 피켓을 들었고, 의원들은 “털지 않아도 먼지 풀풀 나는 후보”(이종배)라거나 “국민에 대한 모독”(김희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총리는 표결 뒤 환한 표정으로 본회의장 밖으로 나와 “폭정 세력이 만든 경제위기 극복이 제1의 과제”라며 “대통령의 참모장으로서 일찍 생각하고 먼저 챙기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고 말했다. ‘야당과의 협치는 어떻게 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임명 동의를 놓고 대립했던 여야는 나머지 법안은 순조롭게 처리했다. 임명동의안 처리 뒤 본회의장에 복귀한 국민의힘은 민주당과 함께 전날 합의한 상법 개정안을 처리했다. 상법 개정안은 ▶기업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하고 ▶감사위원을 선출할 때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지분을 합산해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쟁점 법안 합의 처리였다.

다만 여야 원내지도부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재석 272인 중 찬성은 220인에 그쳤다. 반대 29인, 기권 23인으로 국민의힘 재적 의원(107명)의 절반 정도가 동의하지 않았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상법에) 기업을 옥죄는 사항이 추가돼 합의에 시간이 걸렸고, 그런 부분 때문에 각자 소신에 따라 상법 개정안 표결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전날 국민의힘이 공청회를 개최하자고 제동을 건 ▶집중투표제 의무화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 등 나머지 상법 쟁점 사항에 대해서도 7월 임시국회 내 처리를 예고했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공청회를 연 뒤에도 국민의힘이 계속해서 반대하면 단독으로라도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국회는 이날 계엄법 개정안 등 17개 법안 및 결의안도 처리했다. 개정 계엄법은 계엄 선포 이후 군과 경찰 등의 국회 출입을 제한하고, 국회의원의 국회 출입 및 회의 진행을 방해하는 걸 금지했다. 국회는 4일 본회의를 열어 추가경정예산안을 처리한다. 정부는 30조5000억원을 편성했지만 국회 심사 과정에서 최대 40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061 ‘크고 아름다운 감세안’ 美 하원도 통과..트럼프 독립기념일 서명한다 랭크뉴스 2025.07.04
51060 "美, 내주 오슬로에서 이란과 회담 추진…핵 협상 재개 논의" 랭크뉴스 2025.07.04
51059 美재무 "상호관세, 약 100개국에 최저치인 10% 부과될 것"(종합) 랭크뉴스 2025.07.04
51058 '욱일기 논란' 고개 숙인 뉴캐슬, 오히려 좋다?…서경덕 "중요한 선례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057 트럼프 국정의제 담은 메가법안, 美의회 최종 통과…서명만 남아 랭크뉴스 2025.07.04
51056 ‘중국 원산지 세탁’ 막은 베트남, 한국 관세협상 참고서 됐다 랭크뉴스 2025.07.04
51055 "배런과 멜라니아부터 추방해라"…귀화자도 쫓아낸다는 트럼프, 역풍 맞았다 랭크뉴스 2025.07.04
51054 한국적 AI 모델 ‘오픈’ 합니다…SKT·KT 같은 날 소스 공개 랭크뉴스 2025.07.04
51053 러 "푸틴, 트럼프와 1시간 통화…우크라전 목표 물러서지 않겠다고 밝혀" 랭크뉴스 2025.07.04
51052 오스트리아, 시리아 난민 송환…시리아 내전 이후 EU 첫 사례(종합) 랭크뉴스 2025.07.04
51051 추석 전 검찰 개혁 법안 처리? “얼개 만드는 건 가능할 듯” 힘 실어 [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4
51050 NASA, 태양계 통과 성간 혜성 발견…"지구엔 위협 없어" 랭크뉴스 2025.07.04
51049 "뭐야? 물 튀잖아"…수영장 유아존서 아이들에 짜증 낸 여성,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4
51048 뉴욕증시, 관세 우려에도 끄떡없는 고용…동반 강세 마감 랭크뉴스 2025.07.04
51047 "'민소매' 입었다고 일당 제대로 못 받았어요"…10대 베이비시터에게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7.04
51046 "태극기 문신 보고 역겨운 표정 짓더니"…日 공항서 취조당한 외국인, 왜? 랭크뉴스 2025.07.04
51045 벨라루스 대통령 "폴란드, 세계지도서 사라질 수도"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4
51044 푸틴·트럼프 통화…"빠른 우크라 휴전" "목표 포기 안해" 랭크뉴스 2025.07.04
51043 프랑스, ‘허위 할인·그린 워싱’ 논란 쉬인에 640억 과징금 랭크뉴스 2025.07.04
51042 봉준호 '기생충', NYT 독자가 뽑은 '21세기 최고영화'도 1위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