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상회담 앞둔 고위급 대화 무산에 우려 목소리
대통령실 "개인적 일정 때문… 외교 사안 아냐"
10일 새 정부 첫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개최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국방비 증액 논의 가능성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초대 외교 수장.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워싱턴=AP 연합뉴스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다음 주 방한이 예상됐던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일정이 취소됐다. 대통령실은 '미국 내부 사정'을 이유로 루비오 장관의 방한이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는데, 이에 따라 이달 말로 조율 중이던 한미 정상회담 일정도 연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한편 다음 주 미군 합참의장이 새 정부 들어 처음 방한해, 주한미군 관련 논의가 이뤄질지도 주목된다.

3일 대통령실은 "한미는 루비오 장관의 방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협의해왔으나 미국 내부 사정상 조만간 방한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한미는 고위급 인사 교류에 대해 지속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1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 참석에 앞서 8일 한국 방문을 추진해왔다. 외교가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을 갖고 중동 휴전 등을 논의하는 일정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루비오 장관의 방한이 한미 정상회담 의제 및 세부 일정 사전 조율 성격으로 추진됐기 때문에, 이번 방한 취소로 한미 정상 간의 만남이 더 늦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우상호 정무수석은 이와 관련해 "루비오 장관의 방한 일정이 취소된 건 개인적 일정 때문이며, 한국과의 협상이나 외교적 사안이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한미·한일 정상회담 일정이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이유는 각국 사정에 따른 것일 뿐이고, 정부 차원에서 적극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주한미군 논의 나올까

댄 케인 미군 합참의장.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한편 댄 케인 미국 합동참모의장은 10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Tri-CHOD) 참석을 위해 다음 주 한국을 찾을 것으로 알려졌다. 3국 합참의장의 만남, 미군 고위 당국자의 방한은 모두 새 정부 들어 처음이다. 미군 합참의장의 방한은 재작년 11월 찰스 브라운 의장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이날 군 당국에 따르면 김명수 합참의장, 케인 미 합참의장, 요시다 요시히데 일본 통합막료장은 10, 11일 서울에서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를 갖는다. 이번 회의에선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전략하에서 한미일 3국이 협력 관계를 지속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또 이 회의에서 이재명 정부의 당면한 안보 과제인 주한미군 감축 및 전략적 유연성 강화, 미국이 유럽에 이어 동맹국인 한일에 요구하고 있는 '국내총생산(GDP) 5% 국방 예산 인상안'도 논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케인 의장은 지난달 상원 군사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한일에 주둔하는 미군 규모를 평가할 것"이라며, 중국 견제라는 최우선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해외 주둔 미군의 규모와 역할을 재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앞서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도 "주한미군의 초점은 북한 격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태전략의 역내 작전에도 초점을 맞춘다"고 말했다. 대만 유사시 주한미군이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할 것이란 점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이다.

또 미 국방부와 백악관은 최근 잇따라 GDP의 5%까지 국방비를 증액하기로 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회원국과 아시아 동맹국을 비교하며, 한일 양국을 향해 국방 예산을 늘리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045 벨라루스 대통령 "폴란드, 세계지도서 사라질 수도"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4
51044 푸틴·트럼프 통화…"빠른 우크라 휴전" "목표 포기 안해" 랭크뉴스 2025.07.04
51043 프랑스, ‘허위 할인·그린 워싱’ 논란 쉬인에 640억 과징금 랭크뉴스 2025.07.04
51042 봉준호 '기생충', NYT 독자가 뽑은 '21세기 최고영화'도 1위 랭크뉴스 2025.07.04
51041 9일 만에 또…부모 나간 새 참사 랭크뉴스 2025.07.04
51040 "내 친구가 유명 고기 유튜버인데"…육회·냉면 싹 비우고 도망간 '먹튀남' 결국 랭크뉴스 2025.07.04
51039 여름휴가 시작에 佛관제사 파업…항공 1천500편 취소 랭크뉴스 2025.07.04
51038 러 크렘린궁 "푸틴과 트럼프 통화 현재 진행 중" 랭크뉴스 2025.07.04
51037 내란 특검, 김주현·김성훈 동시 소환…‘계엄 국무회의’ 집중 수사 랭크뉴스 2025.07.04
51036 [사설] 이 대통령의 소통과 통합 기조, 정권 내내 유지하길 랭크뉴스 2025.07.04
51035 김민석 임명동의안, 야당 불참 속 통과…“새벽 총리 되겠다” 랭크뉴스 2025.07.04
51034 시총 1위 아스트라제네카도 탈출 고려… 런던증시의 몰락 랭크뉴스 2025.07.04
51033 "담배 한 번도 안 폈는데 폐암이라고요? 왜요?"…바로 '이것' 때문이라는데 랭크뉴스 2025.07.04
51032 "美-이란 핵 회담, 다음 주 오슬로서 재개"… 대화 물꼬 다시 트나 랭크뉴스 2025.07.04
51031 유흥주점서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한 서울시 공무원 랭크뉴스 2025.07.04
51030 [단독] 인천 의사가 평창에서 농사?… 정은경 남편 ‘농업직불금 부당 수령’ 의혹 랭크뉴스 2025.07.04
51029 ‘고열에 딸기혀’ 성홍열, 8년만에 유행… 지난달 환자 작년의 배 랭크뉴스 2025.07.04
51028 핀란드서 대낮 흉기난동에 여러명 부상 랭크뉴스 2025.07.04
51027 "이상민 자택서 거액 돈다발"... 특검, 출처·성격 규명하나 랭크뉴스 2025.07.04
51026 주말 37도 펄펄, 벌써 8월급 찜통…올여름 역대 최악 폭염 덮치나 랭크뉴스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