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자파 전자레인지 절반 수준인데
인근 주민, 건강·집값 이유로 기피
오해 방지할 ‘전자파 신호등’ 4대뿐
서울 구로구에 들어설 KT클라우드 구로데이터센터 부지 인근 아파트 외벽에 1일 센터 건립을 반대하는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가 현실에서는 ‘혐오 시설’ 취급을 받고 있다. 전자파, 소음, 발열 문제 및 집값 하락 등에 대한 우려로 거주지 인근에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님비’(NIMBY·지역 이기주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 데이터센터 확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시민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30일 서울 구로구 개봉동 한 아파트 단지 바로 옆 부지에선 KT클라우드 구로데이터센터 신축 공사가 한창이었다. 지하 4층~지상 8층, 대지면적 총 3354㎡(약 1015평)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지어질 예정이다. 공사 현장과 맞닿은 아파트 외벽에는 ‘생명 위협하는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 즉각 중단하라’는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2023년 데이터센터 건축허가를 받은 구로구 오류동 부지 인근 빌라에도 빛바랜 ‘결사반대’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건립 반대 주민들은 ‘전자파’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한다. 데이터센터에 설치되는 고압전선에서 대량의 전자파가 발생해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70대 주민 A씨는 “아파트에 젊은 부부와 아이들이 많이 사는데 전자파가 성장기 아이에게 더 안 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싶어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집값 하락도 현실적 고민 중 하나였다. 김모(45)씨는 “기피 시설이 들어오면서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본다”며 “앞으로의 (집값 변동) 추이를 주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실제 수도권에서 인허가를 받은 데이터센터 2곳 중 1곳은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 글로벌 부동산서비스 기업 세빌스코리아가 지난해 4월 발간한 보고서를 보면 수도권에서 건설 인허가를 받은 데이터센터 총 33곳 중 17곳(51.5%)이 공사가 지연되는 상태였다. 주민 민원이 주요 이유였다.

전문가들은 먼저 전자파를 둘러싼 오해부터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전파공학연구소가 실시한 측정 평가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전력 설비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최대 14mG(밀리가우스)로, 가정용 전자레인지(29.21mG)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는 정부가 인체보호 기준으로 삼는 국제비이온화방호선위원회 기준(883mG)의 1.5%에 불과한 수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4월부터 데이터센터 인근에 ‘전자파 신호등’을 설치해 운영 중이다. 전자파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공개해 시민 불안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다만 현재 설치된 데이터센터용 전자파 신호등은 4대뿐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고가 장비인 전자파 신호등 증설을 위한 예산이 국회 최종 심의에서 제외돼 2026년도 예산으로 다시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기업 차원에서는) 소음이 발생하는 장비를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 일부에 식당·상점을 운영한다면 주민 수용성이 굉장히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51 "경매도 대출 6억까지만 나온다"…토허제 반사이익 사라지나[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50 경북 산불 석 달…“함께 살자” 국회 올라온 피해 주민들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9 “쌀값 오름세 심상치 않네”… 원가 상승 우려하는 전통주·즉석밥·급식업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8 코스피 상승 일등 공신은 SK하이닉스… 삼성전자 기여도는 ‘뚝’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7 "월급 못 받는데 야근까지"…정규직 되기 위해 밤낮없이 일하는 '인턴' 정체가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6 상법 개정에 지주사 급등하는 이유…“쪼개기 상장·헐값 합병 제동” [마켓시그널]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5 여야 ‘상법 개정안’ 합의 처리 공감…2일 법사위 소위서 ‘조율’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4 트럼프 “상호 관세 유예 연장 없다…일본에 30%나 35%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3 10년 뒤 북극 얼음 녹아도···이재명 정부 ‘북극항로’ 구상 앞의 삼중벽[경제밥도둑]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2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1 [단독]안동 병산서원 ‘윤석열 기념식수비’ 감쪽같이 사라졌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40 '영끌' 틀어막기…금융위 "'연소득 내' 신용대출에 카드론 포함"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9 '심정지 1시간' 아빠, 간호사 자매는 연명의료를 선택했다 [유예된 죽음]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8 자영업자 소득, 월급쟁이와 다른데…국민연금 재정전망 착시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7 [단독]기재부 ‘예산처·재경부’로 쪼갠다···국정기획위, 분리안 사실상 확정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6 군함도 세계유산 10년에도…日, '강제노동 설명' 약속 지속 외면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5 '윤 석방·비화폰'의 주역‥결국 '법복' 벗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4 [2025 중앙재테크박람회] "서울 집값 초과열 상태…고강도 대출 규제로 빠르게 식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3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수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132 '시청역 참사' 꼭 1년 만에 또…전기차 돌진에 울타리 뽑혀나가 new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