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 탓… 평년比 13.4% 올라
고물가에 당장 제품 출고가 인상 가능성은 작지만
업계 “쌀값 상승 추이 예의주시”

최근 쌀값 상승률이 평년 대비 13%를 넘어섰다.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로 인한 물량 부족 탓이다. 3월부터 이어지는 쌀값 고공행진에 쌀 소비량이 많은 식품·주류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고물가 기조가 여전해 당장 원가 인상분을 제품 출고가 등 가격에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쌀값 오름세가 계속될 경우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손민균

2일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20㎏ 기준 쌀값(소매가격)은 지난달 30일 기준 5만9059원이다. 이는 전년 대비 10.16%, 평년 대비 13.38% 각각 오른 수치다.

쌀값은 지난 3월 이후 오름세가 이어져 왔다. 지난 2월 기준 쌀값은 5만4438원으로 전년 대비 2.5% 하락했지만, 3월 5만5237원으로 4.5% 올랐다. 이후 4월에는 전년 대비 7.9% 오른 5만4831원, 5월엔 4.1% 오른 5만6178원이었다. 5월 23일부터 한 달 넘게 쌀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5만9000원대를 넘겼다.

이는 지난해 날이 더워 쌀 생산량이 감소한 데 따른 결과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KREI)가 최근 발표한 ‘6월 쌀 가격 강보합세 전망’에 따르면 지난 3~4월 산지 유통업체의 벼 매입량은 8만5000톤(t)이다. 전년 대비 5000t 늘었다. 상대적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물량이 감소해 쌀 공급 부족 인식으로 가격이 오르는 구조가 형성된 셈이다.

산지 유통업체의 보유 재고도 예년에 비해 적은 편이다. 지난 4월 말 기준 전체 쌀 재고는 71만2000t으로 전년 대비 21만t 감소했다. 쌀 생산·유통 판매업체 대표 A씨는 “작년에 날이 너무 더워서 쭉정이가 많더니 결국 쌀 물량이 모자라서 함평·목포·영암·나주 등 산지를 직접 내려가서 쌀을 구해야 할 지경”이라며 “계속 이 상태로 가다가는 제일 싼 등급의 쌀도 20kg 당 5만원을 넘길 것”이라고 했다.

그래픽=손민균

이런 상황에서 쌀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전통주 제조업체는 쌀값 인상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쌀 가공협회로부터 할당받는 쌀 물량과 금액의 변동이 관건”이라며 “지금 당장 원가 부담을 제품 출고가에 반영할 가능성은 낮지만, 인상분에 따른 영향을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6~7년 전에 쌀값 폭등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한 적이 있다. 현재 상황을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제품 가격을 올리는 건 최후의 보루인 만큼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즉석밥·급식업계도 쌀값 동향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 실제 급식업체 등에 가장 많이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진 전북 정읍산(産) 쌀이 5만원 안팎까지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즉석밥 생산 기업에 쌀을 납품하는 B씨는 “쌀값이 오른 상황이라 공급가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 회사와 조율해서 쌀 20㎏ 기준 2000원 정도 올렸다”며 “원가가 부담이 되니까 어쩔 수 없었던 결정”이라고 말했다. 급식업체 관계자는 “쌀값 상승으로 재료비 부담이 커진 건 사실”이라며 “통상적으로 고정가 계약을 하는 만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대부분의 업체가 산지와 연간 계약 재배로 농산물을 공급받고 있어 당장의 쌀값 인상으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쌀값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만큼 향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쌀값이 언제까지 오를지가 관건”이라며 “오는 10월 추석 전까지 쌀값이 계속 오른다면 정부 차원에서 비축미를 푸는 등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도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쌀값이 오르면 농가 가계 소득에는 도움이 된다. 소비자와 생산자, 중간 유통·제조업체가 적정한 균형가(價)를 고민해봐야할 때”라며 “쌀값 인상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제품 출고가 인상 혹은 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357 [속보] 여야 "상법 개정안 합의 처리…3%룰 통과 뒤 보완키로"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6 [속보] 여야,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처리 합의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5 대통령실 “李대통령, 中 전승절 기념식 참석 여부 소통 중"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4 “안전자산이 대세” 상반기 금거래량 역대 최대 기록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3 조국, 사면·복권론에 "내가 말하는 건 부적절…국민이 내 쓸모 판단"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2 특검, ‘북풍 공작’ 수사…‘평양 무인기 침투 윤석열 지시’ 녹취 확보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1 조배숙 “왜 자꾸 쿠폰만 고집하냐”…“의원님, 체크카드도 됩니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50 "아침에 과일 갈아마시면 최악…음주와 같다" 내과 전문의 조언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9 마감 3일 앞둔 ‘이준석 의원직 제명’ 청원, 60만명 넘겼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8 “계란 30구 7000원 돌파” 9월까지 오를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7 [단독]돌연 사라진 ‘윤석열 기념비’···처음부터 불법이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6 “한 병 거뜬했는데 한 잔만 마셔도 취해요”…‘이 암’ 신호일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5 안철수 "중수청·개혁인사로 혁신위 구성…친한·친윤 안 가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4 상법 개정안 통과 임박...재계 “부작용 우려, 더 논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3 "주부들 난리났다"...치킨 한 마리가 ‘3000원’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2 與 "이진숙, 염치 있다면 심우정처럼 사퇴해야"…거세진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1 ‘판다 학대설’에 칼 빼든 中 사법부…온라인 선동자 실형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40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순직해병 특검 소환 조사 출석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39 [단독] 이진동 대검차장 “수사·기소 분리, 전혀 납득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7.02
50338 국민의힘 "방송장악 위한 '방송 3법'은 악법‥총력 저지" new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