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시흥시 거북섬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인공서핑장인 웨이브파크. 시흥시 제공
6·3대선을 앞두고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인공서핑장인 웨이브파크가 있는 경기 시흥시 거북섬 논쟁이 뜨겁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연설에서 웨이브파크 유치를 치적으로 홍보하자 국민의힘 등이 상가 공실률 90%에 육박하는 거북섬의 문제를 이 후보의 실패작·비리 의혹으로 몰아가며 공방이 가열되는 모양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거북섬 개발 자체는 국가 주도 사업으로, 이 후보의 책임이 아니지만, 거북섬이 처한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 치적 홍보에 역풍을 맞은 셈이다. 웨이브파크 자체는 활기를 띠지만, 주변 상업지구는 ‘유령상가’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거북섬 개발은 국가 사업이었다. 거북섬은 시화호 북쪽 시화멀티테크노밸리(MTV) 내 만든 인공섬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경기도지사 시절이던 2010년 수자원공사와 시흥시와 협약을 맺고 시화엠티브이 개발에 착수했다. 김 후보가 도지사에서 물러난 뒤인 2015년 7월 거북섬이 마리나항만 예정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해양레저 복합단지 개발로 본격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 사업의 핵심 랜드마크 시설이 인공서핑장이었다. 이 후보가 도지사로 취임한 2018년 11월 경기도와 시흥시, 수자원공사, 민간사업자인 대원플러스그룹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웨이브파크를 조성했다. 민간업체가 시설과 땅을 시흥시에 기부채납하고, 20년 동안 무상으로 사용하는 조건이었다. 이 후보는 지난 24일 시흥시 유세현장에서 ‘웨이브파크 기업을 유치하고 2년여 만에 개장하는 데 기여했다’고 자평했다.
국민의힘과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행정 실패를 반성하기는커녕 자랑으로 포장했다. 공실률이 87%에 달하고, 폐업으로 눈물 흘리는 자영업자를 두번 죽이는 일’이라고 맹비난했다. 웨이브파크가 아닌 거북섬 전체의 문제로 논란을 키운 것이다. 국민의힘은 더 나아가 해당 사업의 비리 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거북섬 비리 의혹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대선을 앞둔 2022년 한 보수시민단체가 “민간에 막대한 특혜를 줬다”며 이 후보와 당시 시흥시장, 수자원공사 사장 등을 직권남용, 직무유기,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고발했으나, 경찰은 2023년 상반기 혐의를 입증할 만한 정황이 없다며 무혐의 종결했다.
민주당은 “거북섬 개발은 국가기반사업으로 추진됐고, 이 후보는 민간 투자 유치에 기여했을 뿐 거북섬 상업시설과는 무관하다”며 국민의힘과 이준석 후보에 대해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공직선거법 위반)로 고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