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EDITOR's LETTER]




“못살겠다, 갈아보자.”

지지리 가난했던 1956년 치러진 대통령 선거. 야당 후보 신익희가 내건 슬로건입니다. 직관적인 데다 행동 지침까지 담겨 있었습니다. 시대상, 정체성, 유권자들과의 교감이라는 좋은 슬로건의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 지금도 회자되고 있습니다. 신익희 후보가 선거기간 중 급사해 당선되진 못했지만 슬로건만은 남았습니다. 이에 응수한 여당 후보 이승만의 슬로건은 “갈아봤자, 더 못산다”였습니다. 변명 같지만 위트는 있었던 것 같습니다.

선거철입니다. 머리도 쉬어갈 겸 한국과 미국 대통령 선거의 전설적 슬로건을 돌아볼까 합니다. 어떤 슬로건이 생각나시는지요.
직선제가 부활한 1987년 여당 후보 노태우는 ‘위대한 보통사람의 시대’를 내걸었습니다. 군사반란의 주역이라는 과거를, 친근함이라는 이미지 전략으로 덮어버렸습니다. 그 덕에 대통령 자리에 오를 수 있었습니다. 한국 정치사에서 손꼽히는 슬로건으로 평가받습니다.

외환위기 와중에 치러진 1997년 대선. 김대중 후보는 “경제를 살립시다”를 내걸었습니다. 더 강조한 구호는 “준비된 대통령”이었습니다. 4번째 대권 도전이라는 약점을 ‘경험이 풍부한’이란 이미지로 전환한 역전의 슬로건이었습니다. 좋은 스토리가 구전되듯, 좋은 슬로건은 다시 부름을 받습니다.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는 이를 차용, ‘준비된 여성 대통령’을 내걸었습니다. 19대 때 문재인 후보도 “준비된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썼습니다.

대통령이 되지 못했지만 기억나는 슬로건도 몇 개 있습니다. 손학규의 “저녁이 있는 삶”,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가 들고 나온 “내 삶을 바꾸는 시장”은 구체적이고 인간적인 서사가 있는 슬로건이었습니다.

또 코믹하지만 2007년 기호 8번으로 등록한 허경영의 슬로건도 기억납니다. “8번을 찍으면 팔자가 핍니다.” 그는 결혼수당 1억원, 출산수당 3000만원을 공약했습니다. 시대를 너무 앞선(?) 공약이었던 듯합니다.

미국에서는 빌 클린턴의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가 있습니다. 선거캠프 워룸에 붙어 있던 이 메모는 핵심 메시지에서 슬로건을 넘어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또 버락 오바마의 “Change. Yes, We Can”은 그 시대의 밈이 됐습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를 다시 내걸고 당선됐습니다. 1980년 로널드 레이건의 슬로건을 그대로 가져다 썼습니다. 레이건은 이 선거에서 “Are you better off than you were four years ago?(당신의 삶은 4년 전에 비해 나아지셨습니까)”란 슬로건도 남겼습니다. 국내에서는 2002년 권영길 후보가 각색해 “국민 여러분, 살림살이 좀 나아지셨습니까”로 화제가 됐습니다.

레이건이 재선에 성공한 1984년 사용한 “It’s morning again in America(다시 맞은 미국의 아침)”이란 슬로건도 성공적이라고 평가받았습니다. ‘저녁이 있는 삶’과 결이 비슷해 보입니다. 이처럼 좋은 슬로건은 시간이 흘러도 살아남고 새롭게 태어납니다.

슬로건은 잊혀졌지만 그 후보가 남긴 정서나 장면은 오히려 더 강렬하게 기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02년 한국 대선에서 노무현 후보의 슬로건은 “새로운 대한민국”이었습니다. 잘 기억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타를 치며 ‘상록수’를 부르는 그를 기억하고 그리워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어떤 이들은 슬로건을 ‘감정의 암호’라 부르기도 합니다. 슬로건과 후보자의 삶이 자연스럽게 겹쳐질 때 각인 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유입니다.

“삶 자체가 메시지”인 후보를 유권자들이 원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오바마는 피부색, 성장 배경, 언어감각 등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완성했습니다.

올해 대선에서 여론조사 1, 2위 후보는 “이제는 진짜 대한민국, 지금은 이재명”, “새롭게 대한민국, 정정당당 김문수”로 맞붙고 있습니다. 나름 의미를 찾으려는 흔적은 보입니다. 다만 그들이 만들고 싶은 세상의 풍경은 슬로건만으로는 잘 읽히지 않습니다. 계엄이라는 퇴행적이며 파괴적 행위, 그리고 이어진 탄핵의 결과로 벌어지는 선거여서 방어적이며 모호해 보입니다. 다음 대선에서는 희망과 미래가 담긴 슬로건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흔들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 대통령을 만든 슬로건, 그 속에 숨겨진 전략들 [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5.26
48202 트럼프, EU에 대한 50% 관세 “7월 9일까지 유예”…“러 제재 확대 검토” 랭크뉴스 2025.05.26
48201 [속보] 민주 선대위, ‘대법관 증원법’ 낸 의원들에 입법 철회 지시 랭크뉴스 2025.05.26
48200 [속보]민주당, 대법관 비법조인 임명 및 100명 확대 법안 철회 랭크뉴스 2025.05.26
48199 데드라인 임박에 애타는 김용태, 이준석에 "단일화 조건 제시해달라" 랭크뉴스 2025.05.26
48198 저출산이라며 워킹맘을 위한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는 없다[대선, 내 삶을 바꿀까⑧] 랭크뉴스 2025.05.26
48197 [속보] 민주당 선대위, 비법조인 대법관 임명·대법관 100명 증원 법안 철회 지시 랭크뉴스 2025.05.26
48196 트럼프 “일본제철, US스틸 일부 소유권만 갖게 될 것” 랭크뉴스 2025.05.26
48195 이준석 "노무현 정부 '대통령 과학장학생'과 '노무현 장학생' 달라" 랭크뉴스 2025.05.26
48194 이재명 "北인권 개선노력…軍 핫라인 복원, 국민공감하는 남북대화" 랭크뉴스 2025.05.26
48193 김용태, 개혁신당에 "단일화 조건 제시해달라…기적 만들 것" 랭크뉴스 2025.05.26
48192 "고객과 소통 중시한다"던 스타벅스, 결국 키오스크 도입 왜 랭크뉴스 2025.05.26
48191 고객 소통 강조하던 스타벅스, 한국·일본서 키오스크 첫 도입 랭크뉴스 2025.05.26
48190 휠체어 탄 남성, 라이터로 배달 음식 포장 뜯으려다 3도 화상 랭크뉴스 2025.05.26
48189 트럼프, EU에 대한 50% 관세 “7월 9일까지 유예”…“대러 추가 제재 검토” 랭크뉴스 2025.05.26
48188 쿠팡서 주문 폭주하더니‥중고거래 플랫폼에 랭크뉴스 2025.05.26
48187 직장 동료 결혼 축의금 5만원은 옛말?…고물가에 10만원 대세 랭크뉴스 2025.05.26
48186 [속보] 李 "한미일 협력 견고히…北 핫라인 복원 남북대화 추진" 랭크뉴스 2025.05.26
48185 "SKT 해킹 이후 '한국소비자원' 사칭 악성 앱 늘어" 랭크뉴스 2025.05.26
48184 이준석 "김문수·이재명·황교안 단일화하길‥그 외 단일화 관심 없어" 랭크뉴스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