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도 2%p 올라 첫 두자릿수…TK·PK서 金 회복세, 수도권은 李 우세
민주 42%·국힘 36% 오차범위 내…갤럽 "尹 탈당, TV토론이 분기점 된 듯"
민주 42%·국힘 36% 오차범위 내…갤럽 "尹 탈당, TV토론이 분기점 된 듯"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
(거제·밀양·부산=연합뉴스) 14일 거제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는 이재명 후보(왼쪽부터), 밀양 찾아 유세하는 김문수 후보,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시민들 만나는 이준석 후보
(거제·밀양·부산=연합뉴스) 14일 거제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는 이재명 후보(왼쪽부터), 밀양 찾아 유세하는 김문수 후보,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시민들 만나는 이준석 후보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3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0∼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2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에 따르면 이같이 집계됐다.
유권자 중 8%는 의견을 유보했다.
직전 조사(5월 3주)와 비교하면 이재명 후보는 6%포인트(p) 하락했고,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각각 7%p와 2%p 상승했다.
갤럽은 "국민의힘은 민주당보다 후보 선출 과정이 늦은 데다 경선 후 단일화를 둘러싼 내홍으로 분분했으나, 지난 주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과 대선 후보 첫 TV 토론회가 모종의 분기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국갤럽 제공]
지난 조사에서 50%를 밑돌았던 대구·경북(TK)의 김문수 후보 지지율(48%)은 이번 조사에서 60%를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TK에서 이재명 후보는 22%, 이준석 후보는 9%였다.
부산·울산·경남(PK)에서도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이 지난 조사(39%)보다 6%p 오른 45%로 집계됐다. PK에서 이재명 후보는 36%, 이준석 후보는 10%였다.
광주·전라에서는 이재명 후보 지지도가 70%였고, 김 후보는 13%, 이준석 후보는 9%로 조사됐다.
수도권(서울, 인천·경기)에서는 이재명 후보(서울 46%, 인천·경기 48%), 김 후보(서울 35%, 인천·경기 32%), 이준석 후보(서울 12%, 인천·경기 10%)순이었다.
이념 성향별로 중도층의 49%는 이재명 후보, 25%는 김문수 후보, 14%는 이준석 후보를 지지했고,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진보층의 83%는 이재명 후보, 8%는 김문수 후보, 4%는 이준석 후보를 꼽았다.
보수층의 65%는 김문수 후보, 18%는 이재명 후보, 11%는 이준석 후보를 지지했다.
무당층에서는 이재명 후보와 이준석 후보가 각각 20%, 19%의 지지를 받았고 김문수 후보 지지도는 14%였다.
민주당 지지자의 93%는 이재명 후보를, 국민의힘 지지자의 91%는 김문수 후보를 지지했다.
연령별(이재명·김문수·이준석 후보 순)로 살펴보면 18~29세는 31%·18%·29%, 30대는 47%·23%·17%, 40대는 62%·26%·6%를 각각 기록했다.
같은 순서로 50대는 59%·31%·6%, 60대는 39%·55%·5%, 70대 이상은 26%·63%·2%로 각각 집계됐다.
응답자 중 남성의 45%는 이재명 후보를, 34%는 김문수 후보를, 14%는 이준석 후보를 지지했다. 여성의 경우 이재명 후보 45%, 김 후보 39%, 이준석 후보 6%였다.
[한국갤럽 제공]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6%, 개혁신당 6%, 조국혁신당 2%로 집계됐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은 13%였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6%p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6%p 상승하면서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
갤럽은 "개혁신당 지지도는 창당 후 최고치, 무당층은 지난 대선을 비롯한 주요 선거 직전 수준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44%가 민주당을, 26%가 국민의힘을 지지했고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는 18%였다.
보수층에서는 66%가 국민의힘을, 진보층에서는 79%가 민주당을 지지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접촉률은 40.5%, 응답률은 17.8%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고.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