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보수의 위기
국민의힘 → 유동층, 유동층 → 민주당 변화 '뚜렷'
계엄 전 유동층 20% 계엄 후 민주당 지지로 돌아서
계엄 전 국민의힘 지지층 15%… 지지 철회 '유동층'화

편집자주

경마식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합니다. 한국일보는 지지율 숫자를 뽑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선의 의미, 후보 역량과 자질, 공약 평가 등을 심도 있게 살피고자 일간지 최초로 유권자 3,000명 규모의 대선 인식 '웹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총5회 심층조사로 국민의 위대한 선택을 안내하겠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문화광장 앞에서 열린 집중유세에 나선 가운데 이 후보 지지자들이 연설을 지켜보고 환호하고 있다. 뉴시스


특정한 지지 정당이 없던
'유동층' 5명 가운데 1명이 불법계엄 사태를 겪으면서 더불어민주당 지지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국민의힘 지지층은 계엄 전후로 지지를 철회하고 관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자연히 정당 지지율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과 격차를 벌렸다. 선거의 주요 변수인 유동층의 입장 변화가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독주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 여론조사 결과
, 민주당 지지율은 36%로 국민의힘(25%)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계엄 전 지지 정당 조사'에서 민주당 32%, 국민의힘 29%로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인 것과 대조적이다. 계엄 이전 유동층은 27%였는데, 계엄 이후엔 23%로 줄었다. 개혁신당 지지율은 3%에서 6%로 올랐다.

'
국민의힘→유동층', '유동층→민주당'
으로 이동이 두드러졌다. 계엄 전후 지지율이 민주당은 4%포인트 오른 반면 국민의힘은 4%포인트 하락했다.
27%에 달했던 유동층이 지지대상을 옮기면서 눈에 띄는 변화
가 생겼다.
유동층만 놓고 보면 그중
20%가 계엄 이후 민주당을 지지하게 됐다
고 답변했다. 대선 후보를 내지 않은 조국혁신당 지지층의 24%도 계엄을 거치면서 민주당 지지로 돌아섰다. 유동층이 계엄 후에 국민의힘을 택한 비율은 8%에 불과했다. 유동층의 64%는 계엄 후에도 지지 정당이 없다고 답했다.

반대로
국민의힘 지지층은 유동층으로 성향이 바뀌는 이탈세
가 두드러졌다. 계엄 전
국민의힘 지지층의 15%가 계엄 이후 지지를 철회하고 유동층으로
돌아섰다. 다만 이들은 다른 정당 지지로 넘어가지 않은 상태다.
국민의힘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시 지지층으로 합류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민주당의 경우 유동층으로 돌아선 비율이 4%에 불과한 것과 대조적이다.

그래픽=김대훈 기자


이 같은 유동층의 흐름은 대선에서 민주당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요인이다. 대선은 통상 51 대 49의 대결로 불릴 만큼 양 진영이 팽팽하게 결집한다. 그 결과 뚜렷한 지지 정당이 없는 유동층이 승부를 가르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국민의힘과 민주당 지지 사이에서 오가는 극적인 변화는 미미했다. 계엄 전에 국민의힘을 지지했지만 계엄 이후 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답한 비율은 3%에 그쳤다. 그 반대의 경우(민주당→국민의힘)도 2%에 불과했다. 보수 정당 간의 지지층 이동도 적었다. 국민의힘 지지자가 계엄 후 개혁신당 지지로 마음을 바꾼 비율은 4%에 그쳤다.
계엄 사태 이후에도 민주당 지지층의 86%, 국민의힘 지지층의 75%는 원래 지지정당을 바꾸지 않았
다.

이번 대선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답한 투표 의향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더 높았다. 42%가 민주당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은 각각 25%와 6%에 그쳤다.

한국일보 여론조사


회차순으로 읽어보세요

  1. ① 국민 64% "尹 내란죄로 처벌해야"... 아스팔트 보수만 동떨어진 민심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1918410002750)
  2. ② 보수층조차 기대 접은 '반명 빅텐트'... "김문수 통합 못할 것"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4540005771)
  3. ③ 계엄으로 길 잃은 15%, 국민의힘 놓치고 있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5080003847)
  4. ④ 이재명 지지층 절반도 '개헌 빅텐트' 공감... 기회 날린 김문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3310002775)
  5. ⑤ "강제 단일화, 해서는 안 될 일"... 유권자 70% '친윤 쌍권 지도부'에 철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5450003043)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41 中 "美, 화웨이 제한하면 제재"…왕이, 강경화 만나 반도체 언급 랭크뉴스 2025.05.21
50840 늙고 병들면 누가 날 돌봐줄까…“배우자” 제친 1위는 랭크뉴스 2025.05.21
50839 이재명 “국힘 조만간 ‘석고대죄 쇼’ 하겠지만…윤석열과 일심동체” 랭크뉴스 2025.05.21
50838 윤석열 전 대통령, 메가박스 깜짝 등장…전한길 作 다큐 관람 랭크뉴스 2025.05.21
50837 올해 1분기 ‘산재 사망’ 137명…대형사고 잦았던 건설업 7명 늘어 랭크뉴스 2025.05.21
50836 尹, '부정선거' 주장 영화관람…대선 앞 음모론 논란 부추기나 랭크뉴스 2025.05.21
50835 박현주 글로벌 전략 통했다…미래에셋운용, 운용자산 400조원 돌파 랭크뉴스 2025.05.21
50834 이재명, 윤석열 ‘부정선거’ 영화 관람에 “이해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5.21
50833 "尹, 이재명 선거운동원이냐"…부정선거 다큐관람에 국힘 '부글' 랭크뉴스 2025.05.21
50832 "난 쌀 사본 적 없다"…'쌀값 폭등' 속 망언한 日농림상 결국 사퇴 랭크뉴스 2025.05.21
50831 [단독] 금호·LX·이수·삼천리… 대기업 각축전 된 중부CC 인수전 랭크뉴스 2025.05.21
50830 ‘중국 간첩 99명 체포’ 허위 보도 스카이데일리 기자 오늘 구속기로 랭크뉴스 2025.05.21
50829 “정부지원 대출입니다”…서민 울리는 보이스피싱, 10명 중 4명은 ‘대출빙자 사기’ 랭크뉴스 2025.05.21
50828 [르포]中 가전 약점 '신뢰성·보안성' 파고 들어라...삼성·LG 전자의 승부수[뛰는 차이나, 기로의 K산업] 랭크뉴스 2025.05.21
50827 이재명 “尹, 본인이 이긴 선거시스템이 부정선거인가…이해안돼” 랭크뉴스 2025.05.21
50826 이재명,‘부정선거’ 영화관람 尹겨냥 "본인이 이겼는데, 이해 안돼" 랭크뉴스 2025.05.21
50825 ‘대선 바로미터’ 충청 돌아섰다…“계엄은 아니잖여, 정권 바꿔야지” 랭크뉴스 2025.05.21
50824 수익률 상위 1% 투자자, LNG 자재 기업 주목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5.21
50823 “쌀이 집에 넘쳐서 사본 적 없다” ‘보릿고개’ 와중 망언한 일본 농림수산상 결국 경질 랭크뉴스 2025.05.21
50822 "뒤 보여요?" 묻더니 두리번‥'돌발상황' 경호원 동공이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