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0세 이상 돌봄인식 조사…35% "배우자"·21% "스스로", "자녀가 돌볼 것" 4%뿐
40% "긴급상황 도움줄 이웃 없다"…58% "고독사 가능성"·48% "집서 임종하고파"


노인 복지 (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령이나 질병이 닥쳤을 때 요양보호사에 의존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돌봐줄 것이라는 사람도 10명 중 3∼4명에 달했고, 자녀에 의존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40세 이상 남녀 1천명을 상대로 지난달 25∼30일 실시해 21일 공개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배우자가 돌볼 것'(35%), '스스로 나를 돌봐야 한다'(21%)고 응답했다.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4%에 그쳤다.

배우자의 돌봄 여부 예상치는 성별 간 차이가 있었다.

남성의 49%는 '내가 아프면 아내가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했지만, 여성은 22%만이 '내가 아프면 남편이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해 격차가 두 배가 넘었다.

전체 응답자 과반인 58%(기혼자 52%·미혼 87%)는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고 10%는 '매우 높다'고 말했다.

'자주 교류하는 이웃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20%였다. 39%는 '이웃과 가끔 인사만 나눈다', 27%는 '특별한 교류는 없고 얼굴은 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0%는 '긴급 상황 시 가족 외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했다.

돌봄 필요 시 예상 돌봄 주체
[돌봄과미래 제공]


선호하는 돌봄 장소와 관련, '현재 살고 있는 집'(47%)이나 '살던 지역 내 돌봄받기 좋은 집'(32%) 등 거주지에서 살면서 돌봄받기를 원한다는 비율이 80%에 육박했다. 노인복지주택과 요양원은 각각 7%에 그쳤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를 물었을 때 '자택'이라는 답이 절반 가까운 48%로 가장 많았다. 종합병원이 31%, 요양병원이 12%였다. 그러나 실제 임종 장소로는 종합병원(29%)을 가장 많이 예상했으며, 이어 요양병원(25%)이었다.

요양시설이 '긍정적'이라고 답한 이는 58%였다. '친구를 사귈 수 있다'(74%) 등의 기대도 많이 나왔으나 '학대가 빈번하다'(53%) 등의 우려도 나왔다.

응답자의 64%는 '노인·장애인 돌봄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거주 지역 내 노인돌봄 서비스가 잘 제공되고 있다'고 말한 비율은 36%에 불과했다.

가장 지원이 필요한 서비스(복수 선택)로는 '건강관리·의료'(61%)가, 우선으로 갖춰야 할 서비스로는 '가정방문 돌봄'(71%)이 각각 가장 많이 답했다.

노인돌봄 정책 중 최우선 과제로 꼽은 것은 '자부담 경감'(42%)이었다.

노인돌봄 서비스의 책임 주체는 '국가'라고 한 비율이 85%로 대다수였다. 또 노인돌봄 정책의 중요 가치로도 공공성(51%)이 가장 많이 나왔다. 노인돌봄을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자는 데에는 85%가 찬성했다.

돌봄 제공 수준 인식
[돌봄과미래 제공]


한편 응답자의 41%는 '거주지역 내 병원 이용 시 불편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노년기 돌봄을 위한 거주지 개선 사항으로도 '병원'이라는 응답 비율(36%)이 가장 높았다.

'연명의료를 원하지 않는다'는 답은 전체의 93%로 대다수였고, 임종에 대한 결정은 '스스로', '가족과 상의하겠다'는 비율이 각각 44%로 동일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909 김용태 “김건희 여사 문제, 진심으로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8 “여기까진 어떻게 왔죠?”… 경찰서 방뇨한 50대, 음주운전 들통(영상)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7 [속보] 김용태 "김건희 여사 문제 진심 어린 반성"... 국민의힘 첫 공식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6 의식없는 여성 성폭행 생중계, 아무도 신고 안했다…충격 BJ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5 이재명 "전력 생산지는 전기료 싸게"···재생에너지 공약, 김문수·이준석은 답변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4 "정치권, 일선 재판 우습게 봐" 조용하던 법관들, 행동 나선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3 국힘 박정훈, '권성동 사퇴' 촉구… "유세현장서 야유 쏟아져, 용단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2 “쌀이 넘쳐 사본 적 없다”···‘보릿고개’ 와중 망언한 일본 농림상 경질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1 [속보] 김용태 “김건희 문제 진심어린 반성과 사과 드린다” new 랭크뉴스 2025.05.21
50900 ‘김건희 무혐의’ 이창수 사임, 공천개입·도이치 주가조작 등 수사 영향은?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9 "올 1∼4월에만 개인정보 유출 3천600만건, 전년比 3배 폭증"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8 [속보] 김용태 "김건희 여사 행위에 국민 우려 못 헤아려…정중히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7 [속보] 김용태 “김건희 여사 문제, 진심으로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6 ‘건진 샤넬백’ 받은 김건희 최측근 유경옥 전 행정관은 누구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5 이준석 측, 단일화 제안 폭로 “당권 줄 테니 김문수로 가자”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4 [속보] 김용태 "김건희 행위에 대한 우려 헤아리지 못한점 사과·반성"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3 이준석 쪽 “친윤, 국힘 당권 줄 테니 단일화하자고 제안”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2 "삼겹살과 궁합 최고"... 일본서 인기 폭발한 '이 한국 음식'은?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1 이재명, '김건희 무혐의' 이창수 사의에 "사퇴해도 정치 편향 책임 면치 못해" new 랭크뉴스 2025.05.21
50890 “전광훈 내란 선동에 고통, 2억 배상하라”…시민 427명 뭉쳤다 new 랭크뉴스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