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탈당을 권유했던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8일 “계엄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기념, 광주 북구 망월동에 위치한 민족민주역사묘역(구묘역)을 참배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신묘역(국립 5·18민주묘지) 대신 이곳을 방문한 이유에 대해 “공식 묘역보다 비탈진 곳에 계신 분들을 기억하는 데서 저희가 반성을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계엄에 대해 여러 차례 사과드렸지만 저희가 잘못했다는 마음을 가지고 바뀌어 나간다는 진정성이 더 중요하다”며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계속 바뀌어 가서 광주 시민, 호남분들, 국민들을 실망시키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또 “탄핵 찬성, 반대를 갈라치기 하거나 비난할 것이 아니라 서로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정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묘역 입구에 자리 잡은 ‘전두환 비석’을 밟지 않고 넘어갔다.김 위원장은 “(비석을 넘은 것은) 이해와 관용으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김 위원장이 구묘역을 찾자 일부 시민들은 ‘여기가 어디라고 오냐’ ‘보여주기 식이 아닌 행동으로 하라’고 항의했다. 그러자 김 위원장은 “바뀌겠다.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인 18일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에 위치한 민족민주열사묘역(구묘역)에서 항의하는 시민들에게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뉴스1
김 위원장은 이날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기념, 광주 북구 망월동에 위치한 민족민주역사묘역(구묘역)을 참배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신묘역(국립 5·18민주묘지) 대신 이곳을 방문한 이유에 대해 “공식 묘역보다 비탈진 곳에 계신 분들을 기억하는 데서 저희가 반성을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계엄에 대해 여러 차례 사과드렸지만 저희가 잘못했다는 마음을 가지고 바뀌어 나간다는 진정성이 더 중요하다”며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계속 바뀌어 가서 광주 시민, 호남분들, 국민들을 실망시키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또 “탄핵 찬성, 반대를 갈라치기 하거나 비난할 것이 아니라 서로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정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묘역 입구에 자리 잡은 ‘전두환 비석’을 밟지 않고 넘어갔다.김 위원장은 “(비석을 넘은 것은) 이해와 관용으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서 당 대표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개혁신당 천하람 원내대표. /연합
한편 이날 김 위원장이 구묘역을 찾자 일부 시민들은 ‘여기가 어디라고 오냐’ ‘보여주기 식이 아닌 행동으로 하라’고 항의했다. 그러자 김 위원장은 “바뀌겠다.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