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광주 시민들의 반발로 기념식장에 들어가지 못하고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18일 광주 시민들의 반발로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안 위원장이 이날 5·18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 나타나자 광주 시민과 5·18 단체들은 “여기가 어디라고 오느냐, 돌아가라”며 거세게 항의했다. 안 위원장은 묘지 입구인 ‘민주의 문’은 통과했지만 참배광장으로 들어가기 전 검문검색대 앞에서 발걸음을 돌렸다.
광주 시민들은 안 위원장이 주차장으로 돌아가는 중에도 ‘내란 부역자 안창호 위원장 사퇴하라’ ‘혐오 차별 조장하는 안창호 사퇴하라’ 등의 손팻말을 들고 규탄했다. 경호 인력과 경찰에 가로막혀 충돌은 벌어지지 않았다. 안 위원장은 전날 경찰에 신변보호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5·18 단체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난해 12·3 불법계엄 사태에 안 위원장이 동조했다며 5·18 기념식 참석을 반대해왔다. 안 위원장은 불법계엄에 입장을 내지 않고 침묵하다 윤 전 대통령 등 내란죄 피고인들의 방어권 보장을 권고하는 안건에 찬성했다.
오월어머니집과 5·18서울기념사업회는 지난 16일 성명을 발표해 “안 위원장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상징인 5·18기념식에 참석할 자격이 없다”며 “위헌적 12·3 비상계엄에 침묵하고 내란 우두머리를 옹호한 내란 공범”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