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을 권고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e스포츠 지역리그의 성공적 정착 및 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리더십이 취임 하루 만에 시험대에 올랐다. 김 위원장은 16일 오전 KBS라디오에 출연해 “오늘 오후 중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연락을 취해 말씀드릴 것”이라며 “(탈당 문제를) 주말까지는 매듭을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난 김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과 통화를 했느냐’는 질문에 “통화 여부와 상관없이 당은 당대로 준비하는 부분이 있으니, 그것(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더 이상 논쟁이 아니다”고 말했다. ‘오늘 중 만남이 예정됐느냐’고 재차 묻자 “저희가 알아서 처리하겠다”고만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전날 취임 기자회견에서 “빠른 시일 내 윤 전 대통령을 찾아 정중히 탈당을 권고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중앙일보에 “윤 전 대통령은 국민의힘 경선 중에도, 대선 기간 등 민감한 때에도 정치인은 만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윤 전 대통령은 전날 저녁부터 국민의힘 친윤계 의원들에게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도와달라”는 전화를 돌렸다고 한다. 윤 전 대통령과 가까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윤 전 대통령은 김 후보의 승리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뭐든지 하겠다는 생각”이라며 “본인의 거취 문제도 시기와 방법을 따져 당과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탈당의 공개적 논쟁을 멈춰달라”고 썼다. 김 위원장에 대한 윤 전 대통령의 불쾌감을 전한 것으로 해석됐다. 또 다른 친윤계 의원도 통화에서 “김 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을 망신주고 있다. 떠밀려 당을 나가는 건 지지자들에게 상처를 줄 뿐”이라고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지난달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며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당장 윤 전 대통령이 버티면서 김 위원장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문수 후보는 지난 12일 30대 청년 정치인인 김 위원장을 비대위원장으로 지목하며 “내가 힘을 실어주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은 그 뒤부터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강조하며 “탄핵과 계엄의 강을 넘어야 한다”고 말해왔다.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두고 “윤 전 대통령이 결정할 문제”라며 결이 다른 입장을 취한 것도 일종의 역할 분담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김 후보 측에서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문제에 대해 김 위원장과 다른 메시지를 연달아 내고, 김 위원장을 향한 친윤계 의원들의 성토가 이어지자 당에선 “약속 대련이 아닌, 불협화음이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김 후보의 비서실장인 김재원 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에 출연해 “김 위원장의 판단에 대해 다르게 생각하는 분이 국민의힘에 모여있고, 김 후보께서는 자신의 의견을 강제하는 정치는 굉장히 혐오하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의 아내인 설난영 여사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즐겨보는 유튜브 채널 '고성국TV'에 출연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6일 충북 청주시 올리브영 청주타운 앞에서 집중 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후보의 선거를 돕는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김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자는데, 김 후보 측은 윤 전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유튜버를 만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답답함을 드러냈다. 전날 언론 보도로 윤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뒤 고씨와 수차례 통화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김 후보가 주저하는 사이 당내에선 윤 전 대통령의 퇴진과 절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5·18민주묘지 참배 뒤 기자들을 만나 “이번 대선의 시대 정신은 윤 전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동반퇴진”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도 김 후보를 향해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18일 대통령 후보 토론 이전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절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21 "어디 총부리를 감히" "민주당이 원인 제공"…'강동' 엇갈렸다 [대선 족집게 지역구 르포] 랭크뉴스 2025.05.17
48920 "더 봐야쥬" "남들은 뭐래유"…대선 족집게 '청주'의 고민 [대선 족집게 지역구 르포] 랭크뉴스 2025.05.17
48919 "품에 안아보지도 못했는데"…만삭 임산부, 출산하러 가다 총격 테러에 숨졌다 랭크뉴스 2025.05.17
48918 ‘치킨 값 오르는 거 아냐’…최대 닭 수입처 브라질서 조류독감 랭크뉴스 2025.05.17
48917 "덩치 큰 남자가 5만원권 계속 뽑아가요"…30대男 잡고보니 차 속에 '깜짝' 랭크뉴스 2025.05.17
48916 [뉴욕유가] 이란 핵합의 의구심에 사흘만에 반등…WTI, 1.4%↑ 랭크뉴스 2025.05.17
48915 美서 애플 페이·카드 등 금융서비스 1시간 동안 '먹통' 랭크뉴스 2025.05.17
48914 '트럼프 감세법안', 美공화 강경파 반발로 소관 위원회에서 부결 랭크뉴스 2025.05.17
48913 [뉴욕유가]美·中 갈등 완화 기조에 상승…WTI, 1.4%↑ 랭크뉴스 2025.05.17
48912 오픈AI, AI 코딩 에이전트 공개…빅테크와 본격 경쟁 랭크뉴스 2025.05.17
48911 신도 성추행 및 사기 등 혐의 허경영... 법원, 증거인멸 우려 구속 랭크뉴스 2025.05.17
48910 [속보] '조류인플루엔자' 브라질 "60일간 한국에 닭고기 수출 중단" 랭크뉴스 2025.05.17
48909 [속보] 창덕궁 인근 주택서 가스폭발 추정 사고로 노부부 사망 랭크뉴스 2025.05.17
48908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증거인멸 우려" 랭크뉴스 2025.05.17
48907 사라졌던 ‘옴’의 습격… 노인시설 중심 재유행 랭크뉴스 2025.05.17
48906 "위자료 46억 지급하라"…'SKT 유심 해킹' 뿔난 9175명 뭉쳤다 랭크뉴스 2025.05.17
48905 트럼프 “모든 나라와 협상 불가…2~3주내 각국에 관세율 통보” 랭크뉴스 2025.05.17
48904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구속…“증거인멸 우려” 랭크뉴스 2025.05.17
48903 엔비디아, 상하이 R&D 센터 설립 추진…"GPU 설계도 안 보낸다"(종합) 랭크뉴스 2025.05.17
48902 "택시비 절대 못 내"…난동 부리고 경찰관 뺨 때린 40대 여성 결국 랭크뉴스 202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