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긴급조치 해제하라" 외쳤다 징역형

46년 전 징역형이 선고된 '대통령긴급조치 제9호' 위반 사건에 대한 재심 청구가 지난 2월, 대전지방법원에 접수됐습니다. 재심을 청구한 사람은 올해 69살이 된 김용진 씨입니다.

김 씨는 유신정권 시절이던 지난 1977년, 서울 소재의 한 대학에서 소위 '데모'를 하다 체포됐습니다. 대통령긴급조치 제9호를 위반했다는 이유였습니다. 긴급조치 9호는 1975년 5월 13일 선포됐는데, 긴급조치 9호에는 '집회, 시위 또는 신문, 방송, 통신 등 공중 전파 수단이나 문서, 도서, 음반 등 표현물에 의해 헌법을 부정, 반대 또는 비방하거나 그 개정, 폐지를 주장하거나 청원 또는 선전하는 행위'가 포함됐습니다.

체포된 김 씨는 징역 3년의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1978년 서울구치소와 공주교도소에서 '긴급조치 해제하라', '민주정치 이룩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추가 기소됐고, 두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로 이듬해인 1979년, 징역 1년 6월이 추가됐습니다.

대전지방법원 피고인석

■46년 지났지만 "그래도 나는 무죄"

그로부터 46년이 지나 김 씨는 두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으로 다시 법정 피고인석에 서게 됐습니다. 김 씨는 이미 10여 년 전, 민주화 시위를 하다 징역 3년을 선고받았던 첫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또다시, 선고 46년이 지나 두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에 대해서도 재심을 청구하게 된 이유를 묻자 김 씨는 지난해 있었던 '12·3 계엄' 얘기를 꺼냈습니다. 김 씨에게 계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불법체포, 고문, 생명 위협'이라고 합니다. 지난해 12월 김 씨는 생각도 못 한 '계엄'이 다시 선포됐다는 소식에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한 채 TV 생중계를 지켜봐야 했습니다. 12.3 계엄 당시 시민과 국회의원 등이 국회로 모여 목숨을 걸고 필사적으로 막아 내는 모습을 지켜봤다는 김 씨는 "민주주의를 환기하고 싶어 재심을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늘(16일) 대전지법에서 열린 재심 첫 공판에서 검찰은 김 씨에게 무죄를 구형했습니다. 김 씨의 변호인도 2013년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만장일치 의견으로 긴급조치 9호를 위헌으로 결정했고, 대법원도 같은 해 위헌으로 판단한 점을 들어 무죄 선고를 주장했습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이후 광장에 나온 시민들

■"당시 검사도 '무죄' 구형하고 싶었을 것…"

김 씨는 피고인 최후 진술에서 "당시 우리나라는 국민주권, 삼권분립, 언론자유가 보장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고 아시아에서 민주주의 모범국가로 꼽히는 나라가 됐다"며 지난해 12월 3일 계엄 사태가 발생했지만, 잘 극복하는 모습을 보고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은 끊임없이 나올 것이지만 결국 잘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당시에는 "민주주의를 극복하는 데 오랜 시간 걸리고 많은 희생을 치렀지만, 지금은 50년 전과 다르다"며 빠른 시간 안에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형을 선고받은 지 46년이 지났는데, 되돌아보니 당시 저에게 구형했던 검사님과 형을 선고했던 판사님도 당시 제 마음과 다르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도 했습니다. 당시 김 씨의 사건을 맡았던 이는 영화 <1987>에서 하정우가 역할을 맡은 최환 검사였습니다. 김 씨는 "최환 검사가 제 사건 이후 서울지검 공안부장으로 자리를 옮겨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실을 밝히고 민주주의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재판부는 이 사건을 다음 달 4일 최종 선고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77 [속보] 서울 기습폭우에 청계천·안양천 등 주요 하천 18곳 통제 랭크뉴스 2025.05.16
48776 [속보] 기습 폭우에 서울 도림천·안양천 등 하천 18곳 출입 통제 랭크뉴스 2025.05.16
48775 검찰, 이철규 의원 아들 마약 혐의로 구속 기소…며느리도 재판행 랭크뉴스 2025.05.16
48774 한국서 미국서…연달아 조선 협력 논의한 한·미 랭크뉴스 2025.05.16
48773 김용태 "尹탈당" 외치는데…김문수 아내, 尹측근 유튜버 만났다 랭크뉴스 2025.05.16
48772 [속보] 서울 기습폭우에 도림천·안양천 출입 통제 랭크뉴스 2025.05.16
48771 [단독] 지난해 '용산 대통령실 진입 시도' 대학생들 무더기로 재판행 랭크뉴스 2025.05.16
48770 서울 기습폭우에 청계천·안양천 등 주요 하천 18곳 통제(종합) 랭크뉴스 2025.05.16
48769 [속보] 서울 기습폭우에 청계천 등 주요 하천 통제…퇴근길 차량 정체 랭크뉴스 2025.05.16
48768 '일본도 살인' 희생자 명예 훼손한 가해자 부친... 검찰, 징역 2년 구형 랭크뉴스 2025.05.16
48767 수도권에 예상 밖 집중호우…올해 첫 '호우 긴급재난문자' 랭크뉴스 2025.05.16
48766 한동훈 "김문수, 18일 토론 전까지 '尹 부부 절연' 결단해라" 랭크뉴스 2025.05.16
48765 서울 기습폭우에 도림천·안양천 출입 통제 랭크뉴스 2025.05.16
48764 김재원 "대구·경북 지지율 부진 뼈아파‥80% 득표 못 하면 난관" 랭크뉴스 2025.05.16
48763 이재명은 이틀째 ‘집토끼’ 호남 집중 유세… 김문수·이준석은 중원 공략 랭크뉴스 2025.05.16
48762 민주, 이재명 유세에 방탄유리막 설치…“경호 우려 커” 랭크뉴스 2025.05.16
48761 이재명 51%…1987년 이후, 대선 직전 지지율 역대 최고치 [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5.16
48760 헌재, 민주당 추진 ‘재판소원법’ 찬성…대법은 반대 랭크뉴스 2025.05.16
» »»»»» “계엄에 민주주의 환기”…‘긴급조치 위반’ 46년 만에 재심 청구 이유 랭크뉴스 2025.05.16
48758 [단독]"임원들도 이코노미석 타라" 삼성 TV사업부 '비상경영'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