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金 30% 초반서 지지율 정체, 이준석도 한자릿수
경제 부문서 ‘이재명 때리기’ 나설 듯
尹 자진 탈당 등도 다음 주 여론조사 변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50% 안팎의 지지율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를 큰 격차로 앞서고 있는 가운데, 18일 열리는 대선 후보자 간 첫 TV토론(경제)이 판세를 뒤집을 주요 변수로 주목받고 있다.

토론 이후 다음 주 초 나오는 여론조사 결과에서 김문수·이준석 후보가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어느 정도 줄일지가 향후 선거 방향을 예측할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최근 여론조사(NBS, 5월 12~14일)를 보면 이재명 후보는 49%, 김문수 후보는 27%, 이준석 후보는 7%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16일 공개된 리얼미터 조사(5월 13~14일)에서는 이재명 51.9%, 김문수 33.1%, 이준석 6.6%로 나타났다. 한국갤럽(5월 13~15일) 조사에서도 51%, 김문수 29%, 이준석 8%로 격차가 컸다.

16일 전북 익산, 경기 수원, 충남 천안에서 각각 유세하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연합뉴스

이처럼 이재명 후보가 40%대 후반~50% 초반의 견고한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김문수 후보는 20%대 후반~30% 초반, 이준석 후보는 한 자릿수에 머물러 있다.

특히 김 후보는 단일화 파동 이후에도 지지층 결집에 한계가 드러났고, 이준석 후보 역시 두 자릿수 진입에 실패하며 반사이익을 얻지 못하는 모양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주말 열리는 TV토론을 통해 김 후보가 이재명 후보와의 격차를 10%포인트 이내로 좁혀야만, 단일화나 연대 등 빅텐트 구상에 실질적 동력이 생긴다고 입을 모은다.

이재명 후보가 최소 40%대 후반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김 후보가 40%선을 뚫고 올라서야 중도·부동층 표심 흡수와 판 흔들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이준석 후보 역시 10%대로 올라서지 못하면 완주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선거법상 득표율 15% 이상이어야 선거비 전액을, 10~15%면 절반만 보전되기 때문에 계속 한 자릿수에 머물 경우 빅텐트 합류 압박이 당 안팎에서 커질 전망이다.

경제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TV토론에선 김문수·이준석 두 후보 모두 ‘이재명 때리기’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후보의 경제정책을 포퓰리즘이라고 공격하며, 자신의 보수·경제 리더십을 부각할 전망이다. 전날 이재명 후보가 해운사인 HMM을 부산으로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것 등이 타깃이 될 전망이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뿐 아니라 김문수 후보에 대해서도 비판하며 보수 진영에서의 차별화를 꾀할 수 있다. 이준석 후보는 이날 충남 단국대 천안캠퍼스에서 “국민의힘 당 지지율에서 확장을 못하고 있는 김 후보에게 얼마나 더 많은 기회를 줄 것인가. 시간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토론회를 앞두고 김문수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관계를 정리할지도 관심사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을 권고했지만, 김 후보는 이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라며 직접적 입장 표명을 삼가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18일 TV 토론 전까지 당이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절연하고, 탄핵 반대 입장을 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김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이나 출당을 요구하지 않을 경우 ‘내란 프레임’으로 이재명 후보에게 공격받을 가능성이 크다”며 “태세 전환은 선거 분위기를 바꿀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다. 이 조건이 충족돼야 이준석 후보도 단일화 등에 임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926 지지율 30% 박스권에 갇힌 김문수... 이준석은 아직 미풍 랭크뉴스 2025.05.17
48925 트럼프 감세법안, ‘친정’ 공화당 강경파에 막혔다…하원 위원회서 부결 랭크뉴스 2025.05.17
48924 헌재, 민주당 ‘재판소원’ 입법에 “취지 공감” 찬성 의견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17
48923 김문수, 5·18 하루앞 광주 방문…전야제·기념식은 불참 랭크뉴스 2025.05.17
48922 日 '생체실험' 증거 또 나오나…중국에 있던 '마루타 부대' 대원 명단 발견 랭크뉴스 2025.05.17
48921 "어디 총부리를 감히" "민주당이 원인 제공"…'강동' 엇갈렸다 [대선 족집게 지역구 르포] 랭크뉴스 2025.05.17
48920 "더 봐야쥬" "남들은 뭐래유"…대선 족집게 '청주'의 고민 [대선 족집게 지역구 르포] 랭크뉴스 2025.05.17
48919 "품에 안아보지도 못했는데"…만삭 임산부, 출산하러 가다 총격 테러에 숨졌다 랭크뉴스 2025.05.17
48918 ‘치킨 값 오르는 거 아냐’…최대 닭 수입처 브라질서 조류독감 랭크뉴스 2025.05.17
48917 "덩치 큰 남자가 5만원권 계속 뽑아가요"…30대男 잡고보니 차 속에 '깜짝' 랭크뉴스 2025.05.17
48916 [뉴욕유가] 이란 핵합의 의구심에 사흘만에 반등…WTI, 1.4%↑ 랭크뉴스 2025.05.17
48915 美서 애플 페이·카드 등 금융서비스 1시간 동안 '먹통' 랭크뉴스 2025.05.17
48914 '트럼프 감세법안', 美공화 강경파 반발로 소관 위원회에서 부결 랭크뉴스 2025.05.17
48913 [뉴욕유가]美·中 갈등 완화 기조에 상승…WTI, 1.4%↑ 랭크뉴스 2025.05.17
48912 오픈AI, AI 코딩 에이전트 공개…빅테크와 본격 경쟁 랭크뉴스 2025.05.17
48911 신도 성추행 및 사기 등 혐의 허경영... 법원, 증거인멸 우려 구속 랭크뉴스 2025.05.17
48910 [속보] '조류인플루엔자' 브라질 "60일간 한국에 닭고기 수출 중단" 랭크뉴스 2025.05.17
48909 [속보] 창덕궁 인근 주택서 가스폭발 추정 사고로 노부부 사망 랭크뉴스 2025.05.17
48908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증거인멸 우려" 랭크뉴스 2025.05.17
48907 사라졌던 ‘옴’의 습격… 노인시설 중심 재유행 랭크뉴스 202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