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용태, "정중히 결단 권고" 취임 일성…김문수, 尹과 통화서 "판단·결정 존중"
중도확장·지지층 관리 분담한 듯…윤상현 "분열의 정치" 반발·당원들 찬반 문자도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류미나 최평천 안채원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에서 15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당을 스스로 떠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공개 분출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탈당을 '권고'하고 나선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윤 전 대통령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찾아뵙고 '당과 대선 승리를 위해 결단해줄 것을 요청 드리겠다"며 "비대위원장으로서 대통령께 정중히 탈당을 권고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의 결정과 별개로, 대법원·헌법재판소 판결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 당적을 제한하는 등의 '또 다른 절차'를 고려할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이는 윤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하지 않더라도 당 차원에서 강제로 당원권을 금지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혔다.

김 위원장이 이 같은 '강수'를 던진 것은 대선 공식 선거운동이 나흘 차에 접어든 상황에서 김문수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30% 박스권'을 맴도는 데 대한 위기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중도 확장을 위해선 당과 김 후보가 '12·3 비상계엄' 및 탄핵 반대 입장에 대해 사과하고, 윤 전 대통령과 결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최근 당 안팎에서 끊이지 않는다.

이정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이날 중앙선대위 회의에 처음 참석한 자리에서 "오늘 중으로 윤 전 대통령 자진 탈당을 권고할 것을 제안한다"고 촉구하고 나선 것도 이런 기류를 보여준다.

회견장 향하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임명된 김용태 의원이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회견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5.15 [email protected]


김 후보는 이날도 기자들의 질문에 "대통령의 탈당 문제는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김 후보는 최근 윤 전 대통령과의 직접 통화에서도 같은 취지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원 후보 비서실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두 사람의 통화 내용과 관련해 "여러 논란이 벌어지고 있지만 정확한 것은 단 한 가지"라며 "김 후보는 탈당 문제에 전혀 의견을 제시한 바 없고, 윤 전 대통령의 판단과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것이 일관된 답변"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다만 김 후보가 탈당을 만류했다거나, 계엄과 관련해 사과한 김 후보를 윤 전 대통령이 질책했다는 등의 보도에 대해선 모두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이를 두고 김 후보가 당 일각에서 제기된 제명·출당 등 강제 조치 요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서도,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정리'가 필요하다는 인식 자체에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기조를 택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후보로서는 대선 국면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강성 보수층도 외면하기 어려운 입장이다. 이에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하는 역할은 김용태 비대위원장을 필두로 당·선대위 지도부에 분담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것이다.

발언하는 김문수 후보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5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 앞에서 열린 사법부 수호 및 더불어민주당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5.15 [email protected]


실제로 김 위원장의 '자진 탈당 요구 드라이브'는 당내에서도 적지 않은 저항이 예상된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김 위원장 회견 직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내부 분열과 감탄고토(甘呑苦吐·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의 정치는 국민 공감을 얻을 수 없다"며 "대통령과 후보의 지지층이 겹치는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을 내치는 듯한 메시지를 반복한다면 과연 그 지지층이 후보에게 표를 줄까"고 즉각 반발했다.

최근 국민의힘 의원들에게는 당원·지지자들로부터 '출당 찬반' 문자가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지도부 인사는 "대통령을 '당장 출당시키라'는 요구부터, '출당시키면 가만히 두지 않겠다'는 경고 문자까지 쏟아지고 있어 아주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용산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탈당 요구에 대한 거부 반응이 감지됐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이 김문수 후보의 득표에 도움이 될지 미지수라는 것이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에게는 개인적인 지지세가 있다"며 "차기 당권을 노리는 측에게는 가장 큰 걸림돌이 바로 윤 전 대통령 지지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묵묵부답'
사진은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3차 공판을 마친 뒤 법정을 나서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52 美 사법당국, 건강보험사 유나이티드헬스 사기 의혹 조사 랭크뉴스 2025.05.16
48451 배우 황정음, 43억 횡령 후 코인 투자… “미숙한 판단 죄송” 랭크뉴스 2025.05.16
48450 트럼프 행정부, 北 여행금지 유지…내년 8월까지 1년 연장 랭크뉴스 2025.05.16
48449 “90세 넘으니 되돌릴 수 없더라”…워런 버핏,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서 ‘은퇴 결심’ 이유 밝혀 랭크뉴스 2025.05.16
48448 [영상] 2차례 "임신 폭로" 협박에 손흥민측 "명백한 허위, 선처없어" 랭크뉴스 2025.05.16
48447 구글, 수학·과학 난제 푼다…새 AI 에이전트 '알파이볼브' 공개 랭크뉴스 2025.05.16
48446 이재명 “법정은 깨끗해야”…사법부 격랑 예고 랭크뉴스 2025.05.16
48445 “탈당은 본인 판단” 윤 못끊는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5.16
48444 “죄송합니다”로 시작하는 요즘 운동회… ‘초품아’ 시대 씁쓸한 자화상 랭크뉴스 2025.05.16
48443 서정진 회장 “미국의 의약품 관세부과, 사업 성장 기회” 랭크뉴스 2025.05.16
48442 오늘 안덕근·그리어 회담…‘한·미 관세안’ 윤곽 나올까 랭크뉴스 2025.05.16
48441 젤렌스키도 '이스탄불 회담' 불참…고위급 회담은 열릴 듯 랭크뉴스 2025.05.16
48440 "어? 메시지 쓰고 있네?"…카카오톡에서도 메시지 입력 상태 보여준다 랭크뉴스 2025.05.16
48439 몇 시간 주무세요? 수면 부족 ‘3일’이면 심장 망가진답니다 랭크뉴스 2025.05.16
48438 사법부 공격, 이재명 방탄입법 이어가는 민주…선대위원장 말도 ‘패스’ 랭크뉴스 2025.05.16
48437 검찰, 이승기 장인 등 13명 기소…코스닥 상장사 3곳 연달아 주가조작 랭크뉴스 2025.05.16
48436 뉴욕증시, 급등 후 숨고르기…일제히 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5.16
48435 마일리지 통합 전 소진 이끈다… 대한항공·아시아나, 용처 확대 랭크뉴스 2025.05.16
48434 황정음, 회삿돈 횡령해 42억원 코인 투자…"심려 끼쳐 죄송"(종합) 랭크뉴스 2025.05.16
48433 'MB계' 이재오, 친명계와 만찬 "단순 사제지간·선후배 모임"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