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 관세폭탄 후 발표한 첫 소비자물가(CPI)
지난달 미국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보다 소폭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일단 누그러졌다. 지난달 초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처음 공개한 물가 지표인데, 아직은 ‘관세 전쟁’에 따른 직접적 영향이 크지는 않은 걸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재고를 소진하고, 90일 관세 유예 이후의 협상 결과가 좋지 않다면 올해 여름부터는 수입품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은 지난달 미국 CPI가 전년 동월과 비교해 2.3%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2.4%)뿐 아니라 지난 3월 상승률(2.4%)보다도 소폭 낮다. 지난달 CPI는 전월 대비로는 0.2% 상승했다.(시장은 0.3% 상승 예상)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8% 올라 시장 예상치와 같았다. 전달 대비 0.2% 올랐다. (시장은 0.3% 상승 예상)

정근영 디자이너
CPI를 끌어내린 것은 3월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가격이었다.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에너지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3.7%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에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유가가 하락한 영향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애나 웡 이코노미스트는 “소매업체가 수요를 크게 떨어뜨리지 않고 가격을 올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며 “만약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관세의 순영향은 생각보다 물가 상승을 덜 초래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물가 상승은 ‘지연된 미래’로 보는데 무게가 실린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4월 수치를 “관세 폭풍 이전의 평온함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평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관세가 결국은 물가 상승을 가져올 수밖에 없고, 이는 미국 기업들이 기존 재고를 소진하고 신제품을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해야 하는 올여름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고음은 수치로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가 지난달 집계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6.5%로 지난 3월(5%) 대비 크게 뛰었다. 1981년 이후 44년 만에 최고치에 해당한다. ‘5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4.4%로 3월(4.1%)보다 0.3%포인트 올랐다. 연방준비제도(Fed)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2%)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기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향후 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실제 물가 상승률도 시차를 두고 따라 오를 가능성이 크다.

앞서 지난 7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further) 커졌다”며 기준금리를 세 번 연속 동결했다. Fed가 금리를 낮출 지 결정하는데 물가 지표가 핵심 근거인 만큼 당분간 금리 '멈춤'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중 무역 협상 타결 후에도 Fed가 6월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87.2%에서 88.6%로 높아졌다.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뉴욕타임스(NYT)와 인터뷰에서 "미·중 발표의 일부는 주요 결정을 미래로 미룬다(90일 유효)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Fed는 (금리 인하를) 결정하기 전에 시간을 가질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92 S&P500, 연내 손실 회복…트럼프 “훨씬 더 오를 것” 낙관[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5.14
47591 이재명 48.2% 김문수 29.8% 이준석 7.7%…보수층 결집 추세 랭크뉴스 2025.05.14
47590 세종시, 전세시장도 3년6개월만에 ‘집주인 우위’ 랭크뉴스 2025.05.14
47589 78세 트럼프, 사우디 행사서 졸았나…"눈 뜨고 있기 힘들어 해" 랭크뉴스 2025.05.14
47588 호반, 대한항공 가족 갈등 재점화 노렸다… 개인 지분율 낮은 조원태 대비책은 랭크뉴스 2025.05.14
47587 트럼프 “영원한 적 없다”…“시리아 제재 해제·이란도 대화 응해야” 랭크뉴스 2025.05.14
47586 흔들리는 닛산… 2만 명 감원에 공장 폐쇄까지 랭크뉴스 2025.05.14
47585 아버지 지고 금강산 오른 '지게 효자'…중국에서 전화가 왔다[신성식의 9988] 랭크뉴스 2025.05.14
47584 ‘최저임금 미만율’ 높으니 최저임금 올리지 말자?···“음주운전자 많으니 단속하지 말자는 격” 랭크뉴스 2025.05.14
47583 [현장+] "진짜 대구 맞아예?"…이재명, '사투리·박정희 마케팅' 꺼냈다 랭크뉴스 2025.05.14
47582 [단독]여야 갈등에 ‘등 터진’ 공수처, 올해 포렌식 예산 결국 ‘반토막’ 랭크뉴스 2025.05.14
47581 챗GPT 써도 ‘답다’에 끌린다…AI 일기장 인기 비결은[경제밥도둑] 랭크뉴스 2025.05.14
47580 “완전 엉망이 된 나라…극도의 효율적 리더십 가진 지도자 필요”[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 랭크뉴스 2025.05.14
47579 [H공약체크]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의무화...재확인된 이재명의 지역화폐 사랑 랭크뉴스 2025.05.14
47578 글로벌 보험산업 5대 메가 트렌드, 위기 속 생존전략 [베인의 위닝 전략] 랭크뉴스 2025.05.14
47577 이 ‘군사 긴장 완화’ vs 김 ‘북핵 이기는 힘’… 대북정책 극명 랭크뉴스 2025.05.14
47576 "박정희든 김대중이든"‥'흑묘백묘'로 TK 공략 랭크뉴스 2025.05.14
47575 후보들 앞다퉈 달려간 TK... 보수의 심장이 대선 승부처로 랭크뉴스 2025.05.14
47574 '가장 검소한 대통령' 우루과이 좌파 아이콘 호세 무히카 별세(종합) 랭크뉴스 2025.05.14
47573 스타벅스에서 “이재명님” “김문수님” 못 부른다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