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6.3 대선주자 탐구 6.3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 나라를 맡겠다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이 언제 어떻게 정치 무대에 올랐는지, 정치를 하기 전에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기억하시나요? 세월이 바꾸는 건 강산만이 아닙니다. 노래 가사처럼 사람들은 모두 변하고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6.3 대선주자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2)’입니다. 그들의 사상과 전략, 공약, 지지 기반 같은 것에 천착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서 탄생과 성장과 사랑과 투쟁의 이야기, 즉 땀냄새나는 삶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 탐구-이재명⑦

한·일 월드컵 4강 신화의 열기가 아직 식지 않은 2002년 7월 초 어느 날 경기도 성남시의 한 아파트에 소포 한 상자가 배달됐다. 어린 두 아들과 살고 있던 김혜경(당시 36세)씨가 소포를 받아 들었다. 보낸 이의 주소는 성동구치소. 며칠 전 남편이 구속 수감된 곳이었다. 상자 안에는 몇 점 없는 남편의 소지품이 있었다. 온 세상이 뿌옇게 번지더니 다리에 힘이 풀렸다. 바닥에 주저앉은 그는 남편의 소지품을 안고 한참을 울었다.

김씨는 제정신이 돌아올 때쯤 남편의 소지품을 하나 하나 살펴보기 시작했다. 지갑이 눈에 띄었다. 1991년 결혼 직후 우연히 본 남편의 지갑 속에는 박종철 열사의 가족들이 울고 있는 보도사진이 들어있었다. 김씨는 당시 “왜 이런 사진을 지갑에 넣고 다니냐”며 핀잔을 줬던 기억이 떠올랐다. 남편이 왜 그 사진을 품 속에 지니고 다니는지 모를 리 없었지만, 남편은 아내 말에 그 즉시 사진을 빼서 앨범에 보관했다. 기억 속 미안함이 다시 눈시울을 뜨겁게 했다.

" 우리 네 가족 사진이 들어있으려나. 아니면 내 사진? "
호기심 반, 기대 반으로 지갑을 연 김씨는 지갑 속 사진을 보고 인상을 찌푸렸다.

" 이게 뭐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부인 김혜경씨가 결혼 초기 아들을 안고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재명 캠프 제공
사진은 분명 가족사진이었는데, ‘우리 가족’은 아니었다.
" 하, 참…. 내가 이 사람하고 계속 살아야 하나. " 편한 변호사의 길을 두고 시민운동이라는 어려운 길을 택한 남편이었다. 기득권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겠다며 매번 강한 상대와 싸웠고, 결국 검사 사칭을 공모했다는 혐의로 수배를 받곤 도피생활을 하다 구속까지 됐다. 집에 일찍 들어오는 날은 없다시피했다. 집에 걸려오는 협박전화는 수시로 김씨를 괴롭했다. 그 중에서도 “애들 조심시켜라”는 협박은 견디기 어려웠다. 생명의 위협 속에 남편은 총기 소지 허가를 받아 6연발 가스총을 갖고 다니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 본 남편의 지갑 속 사진은 그를 끝 모를 절망감에 빠뜨렸다.

시민운동가 이재명, 성남시를 공격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이하 경칭 생략)에게 30대는 시민사회운동으로 점철된 10년이었다. 1995년 창립한 성남시민모임(현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 활동의 핵심은 성남시의 시정(市政)·시의정(市議政)을 감시하고, 시민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투쟁하는 것이었다.

이재명의 첫 작품은 1996년 수도권 남부 저유소 건설 저지 운동이었다. 대한송유관공사가 200만 배럴 규모의 정제유 저유소를 성남시 대장동에 짓겠다는 걸 사고 우려와 환경 파괴 등의 이유로 반대한 것이다. 공동대책위를 구성한 이재명은 성남시가 저유소 건축허가를 내주지 말 것을 지속적으로 압박해 3개월간 안전시설과 교통·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건축허가 여부를 결정한다는 합의를 끌어냈다.

그러나 성남시는 돌연 입장을 바꿔 합의 후 5일만에 건축허가를 내줬다. 이 때문에 이재명은 저유소 건설에 함께 반대했던 주민들로부터 “이면합의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아 멱살이 잡히기도 했다. 그는 이후 오성수 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시장실 앞에서 농성을 벌였고, 그를 끌어내려는 시청 직원과 몸싸움을 벌이는 과정에서 욕설을 내뱉기도 했다. 훗날 그는 “시민운동과 동네싸움을 구별하지 못한 치기였다”며 후회했다.

첫 작품이 실패에 가까웠다면, 두 번째 작품은 이재명 이름 석자가 전국적으로 알려질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김혜경 “하…이혼해야 하나” 이재명 지갑 속 사진 뭐길래 [이재명 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657

더중앙플러스 - 6.3 대선주자 탐구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생가마을서 만난 노인 “재맹이? 아버지 닮아 머리 좋아”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대낮 납치된 성남노조 간부…“이변”이라 불린 청년의 등장 [이재명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95

이재명도 아버지도 움찔했다…“내를 때리소!” 모친의 반란 [이재명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71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욕먹고 여당 간 혁명가 김문수…첫 상대, 무려 박지원이었다 [김문수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312

김문수에 “밥 한끼 사주고 싶소”…98년 성탄전야, 한 노인의 접대 [김문수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432

43세 김문수, 서울대 졸업…모친의 ‘마지막 유언’ 지켰다 [김문수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86

“니들은 되고 김문수는 안되냐” 30년 동지 홍준표 ‘마지막 의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47

허벅지 피멍 가득한 여고생…분노한 이준석, 그때 朴이 왔다[이준석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999

“우리가 거지냐, 왜 구걸해” 이준석 바꾼 ‘삼성전자 사건’[이준석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263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48 푸틴, 이스탄불 협상장 갈까…크렘린궁 "대표단 발표는 나중에"(종합2보) 랭크뉴스 2025.05.14
47547 머스크 "스타링크, 사우디 내 항공기·선박에 위성인터넷 제공" 랭크뉴스 2025.05.14
47546 검찰, 김건희 14일 출석 통보…‘윤 부부 공천개입’ 의혹 랭크뉴스 2025.05.14
47545 中 국무원 “14일부터 對美 추가 관세율 125→10%”… 무역 합의 이행 랭크뉴스 2025.05.14
47544 트럼프, “사우디 방문으로 대미투자 1조달러 늘어”…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 랭크뉴스 2025.05.14
47543 멕시코 동부서 시장 후보, 유세 중 피살… "20발 총성 생중계" 랭크뉴스 2025.05.14
47542 전광훈 “천만명 가입 땐 백만원 연금” 광고, “가능성 없어” 거짓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14
47541 ‘재매이가 남입니까”…TK 민심 다지는 이재명, 전국 압승 노린다 랭크뉴스 2025.05.14
47540 美 4월 CPI 안정됐지만…‘널뛰기 관세’에 연준 동결 길어질 듯 랭크뉴스 2025.05.14
47539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검찰서 구속 청구…"수사감찰 의뢰" 랭크뉴스 2025.05.14
47538 빈 살만 만난 트럼프, 850조원 투자유치…'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 랭크뉴스 2025.05.14
47537 [속보] 트럼프 "美국무,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우크라종전 협상에 참석" 랭크뉴스 2025.05.14
47536 정명훈 ‘라 스칼라’ 깜짝기용, 베니스의 인연도 한몫 랭크뉴스 2025.05.14
47535 갓난아이가 사고, 금 구입에 쓰고… 변질되는 온누리상품권 랭크뉴스 2025.05.14
47534 李 “중국에 셰셰, 틀린 말 했나… 러시아와도 관계 잘 유지해야” 랭크뉴스 2025.05.14
47533 ‘코로나 저금리’ 영끌족 후폭풍… 서울 주담대 연체율 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5.14
47532 카타르 왕실서 선물한 5600억 전용기…트럼프, 에어포스원 불가능? 랭크뉴스 2025.05.14
47531 “음주운전 깊이 반성, 선처해달라”…검찰, ‘환승연애2’ 김태이에 징역 2년 구형 랭크뉴스 2025.05.14
47530 [사설] 대선후보들 “AI·반도체 강국”…규제 혁파 등 실천 방안 제시하라 랭크뉴스 2025.05.14
47529 연필보다 얇은데 성능은 울트라급…베일 벗은 S25 엣지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