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김문수 모두 ‘경제 성장’에 방점
대통령 힘 빼고, 균형발전 등 ‘권력분산’ 의지도
미래세대 위한 주4.5일제 도입, 주거 지원 등도 경쟁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열린 부처님 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대화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이념과 진영은 달라도 ‘시대적 과제’에 대한 진단은 비슷했다. 대선 후보들이 12일 내놓은 공약과 메시지를 관통하는 키워드로 △경제성장 △민주주의 △미래희망이 꼽힌다. 멈춰 선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을 되살리고, 집중에 따른 폐해를 방지하며,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이들의 약속이 유권자의 표심을 얼마나 움직일지에 선거의 승패가 달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제21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12일 경기 화성시 동탄 센트럴파크 음악분수중앙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두 손을 들어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김문수 '경제성장'이 1호 공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최우선 공약은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이다. 인공지능(AI) 산업에 100조 원을 투자하고, K콘텐츠와 K방산에 대한 지원과 육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2022년 대선 당시 ‘코로나 팬데믹 완전극복과 피해소상공인 지원’을 1호 공약으로 내세웠던 것과 확연히 다르다. 미국의 관세 압박은 거센 반면 국내 신산업 육성은 부진한 탓에 경제 위기가 가중됐다는 판단에서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도 ‘경제 대통령'을 내세웠다. 1호 공약은 ‘자유 주도 성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다. 신기술·신산업 분야의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투자를 활성화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다짐했다. 이 후보와 비교하면 좀 더 기업에 허용적이다. 2호 공약에는 ‘AI 3대 강국 도약’을 올렸다. 양당 후보 모두 경제를 앞세우고 성장에 방점을 찍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2일 대구 서문시장을 방문해 시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주의 회복하고 국토 균형발전 추진



이 후보는 2호 공약으로 '내란 극복'과 '민주주의 회복'을 강조했다. 비상계엄과 탄핵을 거치면서 대통령과 국가기관의 권력집중에 따른 폐해를 절감한 탓이다. 자연히 권력분산에 초점을 맞췄다. 대통령 계엄권에 대한 국회 통제를 강화하고, 지방 분권을 위해 세종시에 대통령 집무실을 만들겠다고 거듭 약속했다. 검찰 개혁과 국방 문민화도 공약에 비중 있게 포함됐다.

김 후보는 구체적인 국토 균형발전 청사진에 공을 들였다. 광역급행열차(GTX)를 수도권에서 충청·호남 등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장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지역균형발전과 미래 전략산업 활성화를 위해 이들 권역에 메가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지방으로 무게 중심을 옮겨 인구 절벽과 지방 소외를 함께 해결하려는 구상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12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본격적인 선거 유세 활동에 나서며 학생들과 만나 점심 식사를 하고 있다. 뉴스1


'미래세대' 잡기에도 주력



미래세대를 잡으려는 공약 경쟁도 치열했다. 이 후보는 고강도·장시간 노동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주4.5일제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이날 경기 판교에서 정보기술(IT)업계 종사자들을 만나 “우리가 세계를 선도하는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려면 억압적인 노동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세대의 생존에 직결되는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는 내용도 공약에 담았다.

김 후보 역시 취업과 부동산 가격 폭등에 고민하는 청년 세대를 끌어안기 위한 공약을 내놨다. 대기업 신입 공채를 장려하고 AI청년인재 20만 명을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맞춤형’ 정책으로 총 9년간(결혼하면 3년·첫 아이 출산 시 3년·둘째 아이 출산 시 3년) 주거비를 지원하는 청년주택 공급계획이 포함됐다. 고용노동부 장관 출신인 그는 앞서 “청년의 절망을 희망으로 바꾸기 위해 출마했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1호 공약으로 ‘대통령 힘 빼고, 일 잘하는 정부 만들기’를 제시했다. 통일부와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고 19개 부처를 13개로 축소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권력 분산 의도지만 통일부, 여가부 폐지는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아울러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위해 5,000만 원 한도의 든든출발자금(대출상품)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제성장과 관련, 해외로 이전한 한국 기업을 국내로 유인하는 ‘리쇼어링’ 정책을 담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33 서울버스 이용객 10년새 19%↓…운행 축소로 이어지나[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5.13
47132 [재테크 레시피] 月 10만원 저축하면 정부가 30만원 얹어주는 이 적금은 랭크뉴스 2025.05.13
47131 "테러범 1100명 제거, 인간한계 넘었다" 美국방 칭찬한 이 부대 [밀리터리 브리핑] 랭크뉴스 2025.05.13
47130 세입자 피눈물 흘린 그 집...사기범은 깔세 놓고 감옥서 돈 번다 랭크뉴스 2025.05.13
47129 [단독] “‘2000만’ 틱토커 접촉 중”… 민주당, MZ 잡기 나선다 랭크뉴스 2025.05.13
47128 [가만한 당신] "마지막 나치 전범" 여성의 삶과 재판 랭크뉴스 2025.05.13
47127 '영끌' 한계 달했나…서울 주담대 연체율 두달 연속 최고치 경신 랭크뉴스 2025.05.13
47126 美 '마트 빌까봐' 中 '공장 놀까봐'…트럼프·시진핑, 90일 관세휴전 랭크뉴스 2025.05.13
47125 [샷!] '정년 연장'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랭크뉴스 2025.05.13
47124 대학 축제 들이닥친 대포카메라들…'홈마존'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5.13
47123 연 7억 벌고 월 800만원 쓴다, 강남도 제친 ‘여의도 부자들’ 랭크뉴스 2025.05.13
47122 부동산 냉각기에도 강남·‘준강남’은 신고가 행진… 신고가 비중 60% 육박 랭크뉴스 2025.05.13
47121 김문수 앞에 놓인 난관 셋…강성이미지, 韓·韓 포섭, 이준석 랭크뉴스 2025.05.13
47120 "尹과 관계 끊어라"... 한동훈 안철수 맹공에 김문수 대응 주목 랭크뉴스 2025.05.13
47119 칼 빼드나 했는데…이재명, '기재부 해체론' 한 템포 쉬어가나[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5.13
47118 뉴욕증시, 미중 관세완화에 ‘환호 랠리’…나스닥 4%↑ 랭크뉴스 2025.05.13
47117 이재명·김문수·이준석, TK서 3자 격돌…'보수텃밭' 쟁탈전 랭크뉴스 2025.05.13
47116 [단독] AI위원회 설치, 청와대 이전... 이재명, 하루 단위로 '100일 집권 로드맵' 준비 랭크뉴스 2025.05.13
47115 이재명의 적은 이재명 이미지? 'YS 성대모사' 유세까지 한다[대선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5.13
» »»»»» 표심 잡을 키워드는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대선 공약에 담긴 시대정신 랭크뉴스 2025.05.13